맨위로가기

오론테스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론테스강은 레바논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터키를 거쳐 지중해로 흘러드는 강으로, 고대부터 여러 문명의 경계와 교통로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고대 아시리아인들은 아란투강, 이집트인들은 아라운티강으로 불렀으며, 그리스 시대에는 디오니소스와 관련된 전설이나 티폰과 제우스의 이야기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 주요 도시로는 홈스, 하마, 안타키아가 있으며, 여러 댐이 건설되어 관개 및 수자원 확보에 활용되었다. 역사를 통틀어 국경 역할을 하거나 주요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으며, 십자군 시대에는 안티오키아 공국과 알레포의 경계가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바논의 강 - 리타니강
    레바논에서 가장 긴 강인 리타니강은 우가리트 신화 속 뱀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 중요성과 농업 용수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만 심각한 오염 문제에 직면해 있다.
  • 레바논의 강 - 다무르강
    다무르강은 페니키아 시대 가나안인들이 불멸의 신 다모로스의 이름을 따서 지었으며, 사랑과 미의 여신 아슈타르와 관련이 있고, 레바논 산 에미리트에 통행권을 요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유역에 도시가 형성되었다.
  • 시리아의 강 - 요르단강
    요르단강은 이스라엘, 요르단, 시리아, 레바논을 거쳐 갈릴리 호수를 지나 사해로 흘러 들어가는 강으로, 역사적, 종교적, 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현재 유량 감소와 환경 문제에 직면해 일부 지역이 순례지로 보존되고 있다.
  • 시리아의 강 - 유프라테스강
    유프라테스강은 터키에서 발원하여 시리아와 이라크를 거쳐 페르시아만으로 흘러드는 서아시아의 가장 긴 강으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이며 댐 건설 등으로 유량 변화와 물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오론테스강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원어 이름아랍어: العاصي (al-‘Āṣī)
튀르키예어: Asi
기타 이름Nahr al-ʿĀṣī
어원알 수 없음
시리아 하마의 오론테스강에 있는 노리아
시리아 하마의 오론테스강에 있는 하마의 노리아
위치레바논, 시리아, 튀르키예
경유 도시홈스, 하마, 지스르 앗슈구르, 안타키야
길이571 km
평균 방류량67 m³/s
유역 면적24,660 km²
발원지라브웨
발원지 위치레바논 베카 계곡
발원지 좌표34°11′49″N 36°21′9″E
발원지 고도910 m
하구사만다으
하구 위치튀르키예 하타이주
하구 좌표36°2′43″N 35°57′49″E
하구 고도0 m
오른쪽 지류아프린강, 카라스 강

2. 지명

오론테스강은 역사적으로 여러 이름으로 불려왔다. 기원전 9세기 고대 아시리아인들은 이 강을 '''아란투강'''(Arantu)이라 불렀고, 이집트인들은 '''아라운티강'''(Araunti)이라 칭했다.[22] 그리스 신화와 관련해서는 강의 이름이 인도의 장군 '''오론테스'''에서 유래했다는 설[24] 또는 원래 이름이 '''티폰'''이었다는 설이 전해진다.[25]

시리아의 아파메이아에 정착했던 마케도니아인들은 이 강을 마케도니아의 강의 신 이름을 따 '''악시우스'''라 불렀다. 현재의 아랍어 이름인 العاصي|알아시ar는 '악시우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공교롭게도 아랍어로 '반항적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강의 특성과 연결 짓는 민간어원적 해석도 존재한다.[28][29]

또한, 홈스호에서 홈스 시로 흐르는 강의 일부 구간은 '''알미마스'''(al-Mimas)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성 마마를 기리는 성소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30][31][32]

2. 1. 고대 명칭

기원전 9세기에 고대 아시리아인들은 오론테스강을 '''아란투강'''(𒀀𒊏𒀭𒌅|아란투akk)이라 불렀고, 이집트인들은 '''아라운티강'''(jrwntj|아라운티egy)이라 칭했다.[22][3] 이 이름의 정확한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22][3] 일부에서는 시리아어로 '암사자'를 뜻하는 '아른트'(ܐܪܢܬ|아른트syc)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오론테스강의 발원지인 라브웨 마을 이름 역시 '암사자'를 의미한다.) 다른 학자들은 아람어로 '물의 여신'을 뜻하는 '알리마스'(אלימס|알리마스arc)에서 왔다고 보기도 한다.[23][4] 시간이 흐르면서 '아란투'는 그리스어 이름인 '오론테스강'(Ὀρόντης|오론테스grc)으로 점차 바뀌었다.

그리스 서사시 《디오니소스 이야기》(기원후 400년경)에 따르면, 이 강은 디오니소스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뒤 강에 몸을 던져 자결한 인도의 장군 오론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전해진다.[24][5] 한편,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은 그의 저서 《지리지》(기원후 20년경 저술)에서 오론테스강의 원래 이름이 티폰이었다고 기록했다. 전설에 따르면, 제우스가 벼락으로 괴물 티폰을 쓰러뜨렸을 때 티폰이 떨어진 자리에 강이 생겨났다고 한다.[25][6] 이후 오론테스라는 인물이 강에 다리를 건설하면서 강의 이름이 오론테스로 바뀌었다고 스트라본은 덧붙였다.[25][6] (대 플리니우스는 오론테스강의 지류 중 하나를 마르시아스의 이름을 딴 마르시아스강(Μαρσύας|마르시아스grc)이라고 언급했으며,[7] 리처드 포코크는 이 지류를 아파메이아 근처 알가브 평야의 오론테스강 동쪽 지역에 위치시켰다.[8])

아파메이아에 정착한 마케도니아인들은 이 강을 마케도니아의 강의 신 이름을 따서 '''악시우스'''(Ἀξιός|악시오스grc)라고 불렀다. 현대 아랍어 이름인 '''알-아시강'''(العاصي|알-아시ar)은 고대 명칭 '악시우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인다. 이 이름은 아랍어로 '반항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지는데, 이는 오론테스강이 이 지역의 다른 강들과 달리 남쪽에서 북쪽으로 거슬러 흐르는 특성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는 민간어원적 해석이 있다.[28][9][29][10]

홈스호에서 홈스 시로 흘러가는 강의 일부 구간은 '''알-미마스강'''(الميماس|알-미마스ar)으로 알려져 있는데,[30][11][31][12] 이는 성 마마를 기리는 데이르 미마스 성소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32][13]

2. 2. 그리스-로마 시대 명칭

그리스의 지리학자 스트라본이 남긴 기록(지리지, 서기 20년경)에 따르면, 오론테스강의 원래 이름은 '''티폰'''(Typhon)이었다. 이는 제우스가 벼락으로 괴물 티폰을 하늘에서 떨어뜨렸는데, 티폰이 떨어진 자리에 강이 생겨났다는 신화에서 유래했다.[6] 스트라본은 이후 오론테스라는 인물이 강에 다리를 건설하면서 강의 이름이 '''오론테스'''(Orontes)로 바뀌었다고 기록했다.[6]

한편, 서기 400년경에 쓰인 그리스 서사시 '디오니소스 이야기'에서는 다른 유래를 전한다. 인도의 장군 오론테스가 디오니소스와의 일대일 전투에서 패배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어 강에 빠졌고, 그의 이름을 따서 강 이름이 오론테스가 되었다는 것이다.[5]

또한, 시리아의 아파메이아 지역에 정착한 마케도니아인들은 이 강을 자신들의 고향에 있는 강의 신 이름을 따서 '''악시우스'''(Axius)라고 불렀다. 이 고대 이름 '악시우스'는 훗날 아랍어 이름인 العاصي|알아시ar의 어원이 되었다.[9][10]

2. 3. 기타 명칭

기원전 9세기경, 고대 아시리아인들은 이 강을 '''아란투'''(Arantu)라고 불렀으며, 인근 이집트인들은 '''아라우니'''(Arauni)라고 불렀다.[3] 이 이름의 어원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3] 일부 자료에서는 이 이름이 시리아어로 "암사자"를 뜻하는 ''Arnt''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고 하며(오론테스 강의 발원지는 "암사자"를 뜻하는 라브웨 마을이다), 다른 사람들은 이를 아람어로 "물의 여신"을 뜻하는 ''Alimas''라고 불렀다.[4] ''아란투''는 점차 그리스어로 "오론테스"가 되었다.

그리스 서사시 ''디오니시아카''(서기 400년경)에서는 이 강이 디오니소스와의 단독 전투에서 패배한 후 자살하여 강에 빠진 인도 군사 지도자 오론테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고 한다.[5] 그리스 지리학자 스트라본 (''지리지'', 서기 20년경)에 따르면, 이 강은 원래 티폰이라고 불렸는데, 이는 제우스가 용 티폰을 하늘에서 벼락으로 쳐서 쓰러뜨렸고, 티폰의 시신이 떨어진 곳에 강이 형성되었다고 전해졌기 때문이다.[6] 그러나, 오론테스라는 사람이 강에 다리를 건설하면서 이 강은 나중에 오론테스로 개명되었다.[6] 대 플리니우스는 오론테스의 지류를 마르시아스 강(마르시아스의 이름을 따서 명명)이라고 언급했으며,[7] 같은 지류가 리처드 포콕에 의해 아파메이아 근처 알가브 평야에서 오론테스 강 동쪽에 그려졌다.[8]

마케도니아 정착민들은 아파메이아에서 이 강을 마케도니아 강 신의 이름을 따서 '''악시우스'''라고 불렀다. 아랍어 이름 العاصي|알아시ar는 고대 ''악시우스''에서 유래되었다. 이 단어는 우연히 아랍어로 "반항적인"을 의미하며, 이는 강의 흐름이 이 지역의 다른 강들과 달리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는 민간어원에서 기인한다.[9][10]

홈스호에서 홈스로 흐르는 강의 일부는 '''알미마스'''(al-Mimas)로 알려져 있는데,[11][12] 이는 성 마마스를 기리는 데이르 미마스 성소에서 유래되었다.[13]

3. 흐름

385x385px


오론테스강은 레바논베카 계곡 동쪽, 라브웨 인근 샘에서 발원한다. 이곳은 서쪽의 레바논산과 동쪽의 안티레바논산맥 사이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흐르는 리타니강의 수원과 매우 가깝다.[21][1][19] 주요 발원 샘으로는 아인 에즈 자르카, 알 가브(Al Ghab), 알 루즈(Al Rouj), 알아즈라크(Al-Azraq) 등이 있다.[21][33][14]

강은 발원지에서 북쪽으로 흘러 지중해 해안선과 거의 평행하게 이동하며, 약 600m의 낙차를 두고 협곡을 통과하여 시리아로 들어간다.[21][1][19] 시리아 홈스주로 들어서면 홈스호(로마 시대에 댐으로 만들어진 인공 호수로, 카티나호라고도 불림)로 흘러들어가며 홈스 시를 통과한다.[21][1]

이후 하마주로 이동하여 주도인 하마와 옛 라리사(현재의 샤이자르) 유적지 부근을 지난다.[21][1] 강은 가브 평야로 흘러 들어가는데, 이 평야의 동쪽 가장자리에는 고대 도시 아파메이아 유적이 있고 서쪽에는 시리아 해안 산맥이 자리 잡고 있다.[21][1] 시리아에서의 마지막 경로는 이들리브주의 지스르 앗슈구르 지역이며, 지스르 알하디드의 바위 지대를 지나며 서쪽으로 방향을 튼다.[21][1]

서쪽으로 방향을 바꾼 강은 터키 하타이주안티오키아 평야(아미크 계곡)로 들어선다.[21][1] 안타키야(옛 안티오키아) 북쪽을 지나 남서쪽의 협곡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고대인들은 이 협곡을 그리스의 템페 계곡에 비유하기도 했다.[21][1] 마지막 16km 구간에서는 약 50m의 높이를 급격히 내려가며, 사만다(옛 수에디아, 고대 셀레우키아 피에리아) 남쪽에서 지중해로 흘러 들어간다. 강의 총 길이는 약 450km이다.[21][1]

3. 1. 주요 지류

오론테스강의 주요 지류는 터키 하타이주에서 합류한다. 북쪽에서 흘러드는 아프린강과 카라수강이 대표적이다.[21][1] 이 두 강은 옛 아미크호가 있던 자리를 지나 인공 수로(Nahr al-Kowsit|나흐르 알코우시트ar)를 통해 오론테스강 본류와 만난다.[21][1]

3. 2. 주요 도시 및 유적

왼쪽


하타이주 안타키야의 오론테스강


오론테스강 유역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육상 교통로 역할을 해왔다. 북쪽의 아나톨리아나 북동쪽의 아시리아, 아르메니아에서 오는 길이 안티오키아에서 교차하고, 강을 따라 남쪽의 홈스까지 이어져 다마스쿠스예루살렘, 지중해 방면으로 갈라졌다. 이 길은 고대 그리스페르시아에서 이집트로 가는 경로이기도 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때문에 강 유역에는 여러 교역 도시가 발달했으며, 동시에 많은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강은 레바논베카 계곡 동쪽 라브웨 근처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시리아로 들어간다.[1][19][21] 시리아로 들어선 강은 홈스 서쪽 교외에서 홈스호라는 인공 호수를 형성한다. 이 호수를 만든 홈스호 댐은 기원전 1300년경 건설된 것으로 추정되며, 여러 차례 보수를 거쳐 현재까지 남아있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댐 중 하나로 여겨진다.[1][21] 홈스 서쪽 산 위에는 십자군 시대의 요새인 크라크 데 슈발리에가 있다.

홈스를 지나면 강 유역은 넓은 곡창지대로 변하며, 하마주의 주도인 하마를 통과한다. 하마 지역은 강바닥이 낮아 농업용수 확보가 어려웠기 때문에, 고대부터 '노리아'라고 불리는 거대한 물레방아를 이용해 물을 끌어올려 사용했다.[21] 하마 하류에는 넓은 목초지가 펼쳐져 있으며, 고대 도시 라리사(현재의 샤이자르)와 아파메이아의 유적이 남아 있다.[1][21] 또한, 오론테스강 유역의 카데시에서는 기원전 1284년 람세스 2세이집트무와탈리히타이트 제국 간에 유명한 카데시 전투가 벌어졌다.[20] 기원전 853년 아시리아와 시리아 도시 연합군 간의 카르카르 전투 역시 이 강 유역에서 일어났다.

오론테스강 중류의 넓은 계곡은 지스르 알하디드의 바위 지대에서 끝나고, 강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튀르키예하타이주로 들어간다. 하타이 주에서는 안티오키아 평야(아미크 계곡)를 지나며, 안타키야(고대의 안티오키아) 북쪽을 통과한다.[1][21] 안티오키아는 고대부터 중요한 도시였으며, 637년에는 이슬람 제국과 동로마 제국 군대 간의 전투가 벌어져 결국 동로마 제국이 도시를 넘겨주기도 했다. 안타키야를 지난 강은 남서쪽 협곡으로 흘러 들어가 사만다(고대의 셀레우키아 피에리아) 남쪽에서 지중해로 흘러 들어간다.[1][21]

오론테스강은 역사적으로 자연적인 경계선 역할도 했다. 고대 이집트에게는 아모리인과의 북쪽 경계였고, 페니키아에게는 동쪽 경계였다. 12세기에는 십자군 국가인 안티오키아 공국과 이슬람 세력인 알레포 정권 사이의 경계선이 되기도 했다.

강에 설치된 주요 댐[1][21]
명칭인접 도시완공 연도높이 (m)저수 용량 (백만 m³)비고
알라스탄 댐홈스1960년67228
홈스호 댐 (콰티나 댐)홈스1976년7200서기 284년에 최초 건설됨
무하르데 댐하마1960년4167
제이준 댐하마1995년43712002년에 붕괴됨
카스툰 댐하마1992년2027


3. 3. 댐 및 저수 시설

오론테스강에는 여러 댐과 저수 시설이 건설되어 강물을 관리하고 활용하고 있다. 대표적인 시설은 다음과 같다.

오론테스강의 주요 댐[21][1]
명칭인접 도시완공 연도높이 (m)수용량 (백만 m³)비고
알라스탄 댐홈스1960년67m228
홈스호 댐홈스1976년7m200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284년 최초 건설[21][1] (일부 자료는 기원전 1300년경 건설 추정[19])
무하르데 댐하마1960년41m67
제이준 댐하마1995년43m712002년에 붕괴됨
카스툰 댐하마1992년20m27



특히 홈스호 댐은 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284년에 처음 건설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1], 일부에서는 기원전 1300년경에 건설되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댐 중 하나로 추정하기도 한다.[19] 이 댐은 오랜 세월 동안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현재까지도 그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19] 반면, 1995년에 완공된 제이준 댐은 2002년에 붕괴되는 사고가 있었다.[1][21]

4. 역사

오론테스강은 유속이 빠르고 수위가 낮아 배가 다니기 어렵고 관개에도 제한적으로 이용되었지만,[20] 강이 흐르는 계곡은 아나톨리아, 아시리아, 이집트 등 주요 지역을 잇는 남북 교통로로서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21][1][20] 이러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강 유역은 고대부터 여러 세력의 충돌 지점이자 문명의 교차로가 되었으며, 오랫동안 자연적인 경계선으로 기능하기도 했다.[21][20]

고대 이집트에게 오론테스강은 북쪽의 아모리인과의 경계였으며,[21][20] 기원전 13세기에는 이집트와 히타이트 제국이 강변의 카데시에서 대규모 전투(카데시 전투)를 벌였다.[21][20] 이후 기원전 9세기에는 아시리아와 시리아 지역 왕국 연합군이 카르카르 전투를 치르는 등,[21] 오론테스강 유역은 고대 오리엔트 세계의 패권을 둘러싼 주요 격전지였다.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정복 이후에는 헬레니즘 세계의 일부가 되어 셀레우코스 제국의 지배 아래 안티오키아와 같은 중요한 도시들이 강변에 건설되었다.[21] 기원전 1세기부터는 로마 제국시리아 속주에 편입되었고, 로마인들은 관개를 위한 홈스호 댐 등 기반 시설을 건설하며 이 지역을 통치했다.[21][16]

7세기에는 이슬람 제국이 비잔티움 제국과의 철교 전투에서 승리하며 오론테스강 유역을 장악했다.[21][20] 중세 십자군 시대에는 안티오키아 공국무슬림 세력인 알레포 사이의 경계선 역할을 하기도 했다.[21][20]

현대에 들어서도 오론테스강은 주변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얽힌 지역으로 남아있다. 2006년 레바논 전쟁 중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레바논 지역 댐 건설이 영향을 받았으며,[4][17] 시리아와 터키가 공동으로 추진하던 댐 건설 사업은 2011년 시작된 시리아 내전으로 중단되었다.[21] 이 내전 과정에서 강 유역의 주요 도시인 홈스는 장기간의 공방전(홈스 공방전)을 겪기도 했다.[21]

4. 1. 고대

오론테스강은 항해가 쉽지 않지만, 강이 위치한 계곡은 안티오키아에서 남쪽으로 홈스를 거쳐 알나베크를 통해 다마스쿠스로 이어지는 중요한 남북 교통로 역할을 해왔다.[21][1] 이 강은 오랜 기간 자연적인 국경선으로 기능했다. 고대 이집트인들에게 오론테스강은 페니키아 동쪽에 위치한 아모리인과의 최북단 경계였다.[21]

기원전 13세기(기원전 1274년경[21] 또는 기원전 1284년[20])에는 이집트의 람세스 2세 군대와 히타이트무와탈리 2세 군대가 오론테스강변의 카데시에서 충돌한 카데시 전투가 벌어졌다.[21][20] 또한 기원전 853년에는 샬마네세르 3세가 이끄는 아시리아 군대와 다마스쿠스의 하다데제르가 이끄는 12왕 연합군이 맞붙은 카르카르 전투가 이곳에서 벌어졌다.[21]

기원전 4세기의 에우티키데스의 '안티오키아의 티케'를 모사한, 서기 1-2세기에 제작된 타르투스 지역의 청동 복제품 (루브르 박물관 소장). 여신의 발 밑에 있는 수영하는 남성은 오론테스강을 의인화하여 표현된 것이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3년 이수스 전투(오늘날 이스켄데룬 인근 피나루스강에서 벌어짐)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하고 오론테스강 유역을 장악했다.[21]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셀레우코스 왕조는 오론테스강 유역에 셀레우키아 아드 벨룸, 안티고니아, 안티오키아 등 여러 도시를 건설했다.[21] 이 시기 제작된 안티오키아의 티케 조각상 등 일부 헬레니즘 유물에는 강의 신을 의인화한 남성이 여신의 발치에 헤엄치는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21]

기원전 64년, 로마의 장군 폼페이우스가 오론테스강 유역을 점령하고 안티오키아를 중심 도시로 하는 새로운 속주인 시리아 속주를 설치했다.[21] 로마 제국 시대인 서기 290년에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명으로 홈스호 댐이 건설되었으며,[16] 가브 평야의 관개를 개선하기 위해 아파메이아 주변 오론테스강을 따라 추가적인 댐과 저수지가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1] 서기 198년, 시리아 속주는 오론테스강 하류 지역을 포함하는 코올레 시리아와 에메사(오늘날 홈스) 남쪽부터 시작되는 오론테스강 상류 지역을 포함하는 시리아 포에니케로 분할되었다. 에메사는 이후 시리아 포에니케 속주의 공동 주도로 격상되었다.[21]

4. 2. 셀레우코스 제국과 로마 제국 시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기원전 333년 이수스 전투에서 페르시아 군대를 물리친 후 오론테스강 유역을 장악하였다. 기원전 323년 그가 사망한 뒤, 이 지역은 셀레우코스 제국의 영토가 되었다.

셀레우키아 아드 벨룸, 안티고니아, 안티오키아 등 셀레우코스 제국의 주요 도시들이 오론테스강에 세워졌다. 여러 헬레니즘 시대 유물에서는 안티오키아의 티케 여신의 발치에 오론테스강을 의인화한 남성 수영 선수가 묘사되어 있기도 하다.

기원전 64년, 폼페이우스가 오론테스강 유역을 점령하고 안티오키아를 중심 도시로 하는 로마의 시리아 속주에 편입시켰다. 서기 290년에는 로마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의 명령으로 홈스호 댐이 건설되었다.[16] 홈스호 댐 외에도, 가브 평원의 관개를 개선하기 위해 아파메이아 주변 오론테스강을 따라 추가적인 로마 시대 댐과 제방들이 건설되었다. 서기 198년, 시리아 속주는 오론테스강 하류 지역을 포함하는 코올레 시리아와 에메사(현재의 홈스) 남쪽부터 시작되는 오론테스강 상류 지역을 포함하는 시리아 포에니케로 분리되었다. 에메사는 이후 시리아 포에니케의 공동 주도로 격상되었다.

4. 3. 이슬람 시대와 십자군 시대

637년 안티오키아 부근에서 벌어진 철교 전투에서 라시둔 칼리파국 군대가 비잔티움 제국 군대를 격파했다.[20] 이 전투의 승리로 라시둔 칼리파국은 얼마 지나지 않아 오론테스강 유역 전체를 장악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비잔티움 제국은 안티오키아를 이슬람 세력에게 넘겨주었다.[20]

12세기 십자군 시대에 오론테스강은 십자군 국가 중 하나인 안티오키아 공국무슬림 세력인 알레포 정권 사이의 경계선 역할을 했다.[20]

4. 4. 현대

2006년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레바논에 건설 중이던 우회 댐이 60% 완성된 상태에서 손상되었다.[4][17]

시리아와 터키가 협력하여 건설하던 시리아-터키 우정의 댐은 2011년에 착공되었으나, 시리아 내전이 발발하면서 건설이 중단되었다. 이 내전 기간 중인 2011년 5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오론테스강 유역의 주요 도시인 홈스에서는 홈스 공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5. 예술

프랑스의 소설가 모리스 바레스는 1914년 6월 어느 날 저녁, 시리아 하마의 오론테스강 강변에 있는 한 카페에서 아일랜드인 고고학자가 번역해 준 원고를 바탕으로 소설 ''오론테스강의 정원''(1922년)을 썼다고 전해진다.

참조

[1] 웹사이트 Asi-Orontes Basin http://www.fao.org/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8-03-18
[2] 논문 Hydropolitics and issue-linkage along the Orontes River Basin: an analysis of the Lebanon–Syria and Syria–Turkey hydropolitical relations 2020-03
[3] 서적 History of Egypt, Chaldæ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Complete) https://books.google[...]
[4] 서적 Science diplomacy and transboundary water management: the Orontes River case https://www.gwp.org/[...] UNESCO Publishing
[5] 서적 Delphi Complete Dionysiaca of Nonnus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5-07-20
[6] 웹사이트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XVI Chapter 2 https://penelope.uch[...] 2017-02-03
[7] 웹사이트 Marsyas https://www.perseus.[...]
[8] 서적 A description of the East, and some other countries Vol. II https://archive.org/[...] William Bowyer
[9] 논문 A River Called Rebel http://www.aramcowor[...] 2015-02-15
[10]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Syria, the Red Sea Basin,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11] 서적 Topographie historique de la Syrie antique et médiévale https://books.google[...]
[12] 서적 ديوان البحتري 1/2 https://books.google[...] دار الارقم بن ابي الارقم
[13] 서적 طقوس احتفالات المواسم والأعياد الربيعية https://books.google[...] ktab INC.
[14]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15] 논문 Rivers of Lebanon: Significant Water Resources under Threats https://www.pseau.or[...] 2021-02-17
[16] 문서 Smith
[17] 문서 UN-ESCWA 2013, page 234
[18] 서적 アラブが見た十字軍 リブロポート
[19] 서적 地中海シルクロード 遺跡の旅 日本放送出版協会(NHK出版)
[20] 서적 シリア・レバノンを知るための64章 明石書店
[21] 웹인용 Asi-Orontes Basin http://www.fao.org/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8-03-18
[22] 서적 History of Egypt, Chaldæa, Syria, Babylonia and Assyria (Complete) https://books.google[...]
[23] 서적 Science diplomacy and transboundary water management: the Orontes River case https://books.google[...] UNESCO Publishing
[24] 서적 Delphi Complete Dionysiaca of Nonnus (Illustrated) https://books.google[...] Delphi Classics 2015-07-20
[25] 웹인용 LacusCurtius • Strabo's Geography — Book XVI Chapter 2 https://penelope.uch[...] 2017-02-03
[26] 웹인용 Marsyas https://www.perseus.[...]
[27] 서적 A description of the East, and some other countries Vol. II https://archive.org/[...] 윌리엄 보이어
[28] 저널 A River Called Rebel http://www.aramcowor[...] 2015-02-15
[29] 서적 The Hellenistic Settlements in Syria, the Red Sea Basin, and North Africa https://books.google[...]
[30] 서적 Topographie historique de la Syrie antique et médiévale https://books.google[...]
[31] 서적 ديوان البحتري 1/2 https://books.google[...] دار الارقم بن ابي الارقم
[32] 서적 طقوس احتفالات المواسم والأعياد الربيعية https://books.google[...] ktab INC.
[33] 서적 Natural Wonders of the World Reader's Digest Association,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