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보 (몽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보는 몽골의 전통적인 신앙 유적으로, 돌무더기 형태로 만들어지며 몽골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여행의 안전을 기원하거나 텡그리 신앙 의례에 사용되며, 돌을 쌓거나 제물을 바치는 풍습이 있다. 몽골 인민 공화국 시기에는 숭배가 금지되었으나, 1990년 이후 부활했다. 오보는 몽골과 내몽골 자치구의 지명으로도 사용되며, 게임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V에 등장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종교 장소 - 시나고그
시나고그는 유대교 예배당이자 유대인 공동체의 중심 건물로, 지역과 종교적 성향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예배, 토라 연구, 공동체 활동의 장소로 기능한다. - 석가산 - 히요리산 (센다이시)
히요리산 (센다이시)은 에도 시대부터 어부들이 날씨를 예측하기 위해 축조되었고, 동일본 대지진으로 소멸되었다가 2014년 해발 3m의 산으로 다시 인정받아 일본에서 가장 낮은 산이 되었다. - 몽골의 샤머니즘 - 토크타 칸
토크타 칸은 칭기즈 칸의 증손자이자 킵차크 한국의 칸(재위 1291년~1312년)으로, 노가이 칸을 격파하여 권력을 강화하고 이탈리아 상인과의 교역 장려 및 화폐 개혁을 단행하는 등 킵차크 한국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몽골의 샤머니즘 - 차강사르
차강사르는 몽골력 새해 첫 사흘 동안 기념되는 몽골의 전통 설날로, 평화와 조화를 기원하며 흰색을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기고, 가족과 친척을 방문하여 선물을 주고받는 풍성한 잔치를 즐기는 명절이다.
오보 (몽골) | |
---|---|
개요 | |
![]() | |
정의 | |
의미 | 몽골 문화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는 돌무지 또는 나무 더미 |
어원 | "무더기" 또는 "쌓아 올린 더미"를 의미하는 몽골어 단어 |
다른 이름 | 어워(ᠠᠪᠤᠭᠠ, Abug-a) |
기능 | |
종교적 기능 | 토지신 숭배 여행의 안전 기원 소원 성취 기원 |
기타 기능 | 이정표 역할 영역 표시 |
형태 | |
재료 | 돌, 나무 |
형태 | 단순한 돌무지 형태 나무로 지어진 구조물 형태 |
장식 | 푸른색 하다 (천 조각) 해골 술병 |
위치 | |
분포 지역 | 몽골, 중국 내몽골 자치구, 기타 몽골족 거주 지역 |
일반적인 위치 | 산 정상 고개 호수 근처 신성한 장소 |
의례 | |
일반적인 의례 | 오보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세 바퀴 돌기 돌을 던져 올리기 소원 빌기 공물 바치기 (음식, 돈, 기타 물품) |
특별한 의례 | 고르히-테렐지 국립공원의 오보 숭배 의식 |
상징성 | |
숭배 대상 | 하늘 땅 산 물 조상 |
의미 | 자연과의 조화 공동체 의식 행운 기원 |
2. 역사적 배경
오보를 둘러싼 불교 의식은 16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일부 학자들은 오보의 기원이 선사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추정한다.[4] 19세기에 세 번째 머르겐 게겐은 몽골 라마들이 오보를 설치하고 제물을 바치는 데 사용한 문서를 저술했다. 오보가 몽골 샤머니즘의 잔재라는 견해는 부랴트족 학자 도르지 반자로프에 의해 제시되었으나, 몽골에 티베트 불교가 전래되기 전에는 오보가 성지가 아닌 단순한 표식으로 사용되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2]
여행 시 안전을 기원하며 오보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세 바퀴 도는 관습이 있다. 보통 땅에서 돌을 주워 오보 위에 쌓으며, 사탕, 금, 우유, 보드카 등을 제물로 바치기도 한다.[9] 만약 시간이 없어 오보에 들르지 못할 경우, 경적을 울리는 것으로 대신하기도 한다.[9] 많은 오보 위에는 동물의 해골이 놓여 있기도 하다.[10]
오보는 주로 여름이 끝날 무렵 하늘을 숭배하는 의식을 치르는 장소로 사용된다. 의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오보에 나뭇가지나 막대기를 꽂고, 하늘과 하늘의 신인 텡그리를 상징하는 푸른색 비단 스카프인 하다그(khadag)를 묶는다.[11][12] 이후 불을 피우고 음식을 바치며, 오보의 북서쪽에 자리 잡고 의식 춤과 기도를 올린다. 의식이 끝나면 공물로 남은 음식으로 잔치를 벌인다.
몽골이 공산주의 통치 하에 있을 때, 오보 숭배는 법적으로 금지되었다.[2] 현대에는 광산 개발이 오보에 위협을 가하고 있다.[6][7]
몽골과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등지에는 '오보'라는 이름이 붙은 지명과 행정 구역(솜)이 다수 존재한다.
오보 숭배는 몽골 인민 공화국 시기 마르크스-레닌주의 무신론 정책에 따라 다른 종교 형태와 함께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지만, 사람들은 비밀리에 참배를 계속했다.[13] 1990년 몽골 혁명 이후 종교의 자유가 회복되면서 오보 신앙은 다시 활발해졌으며, 이는 부활한 종교 행위 중 가장 두드러진 모습 중 하나가 되었다.[2][5]
오보는 한국의 ''서낭당''에 영향을 미쳤거나 기원이 되었을 수 있다는 견해가 있다.
노몬한 사건과 관련된 오보로는 노문한 에이 블도 오보가 알려져 있다.
3. 관습
오보는 주로 여름 끝 무렵에 열리는 산악 신앙 및 텡그리 신앙 의식에도 사용된다. 참배객들은 나뭇가지나 막대기를 오보에 세우고, 하늘과 하늘의 정령인 텡그리를 상징하는 파란색 카타(khadag, 의식용 비단 스카프)[11]를 감는다.[12] 이후 불을 피우고 춤을 추며, 오보 북서쪽에 자리한 참배객들에게 음식을 바친 뒤 남은 음식으로 잔치를 벌인다.
공산주의 시대의 몽골에서는 다른 종교 의식과 마찬가지로 오보 참배가 금지되었으나, 사람들은 비밀리에 참배를 이어갔다.[13]
4. 의례
여행자는 길에서의 안전을 기원하며 오보 주위를 시계 방향으로 세 바퀴 도는 관습(우선)이 있다. 이때 보통 땅에서 주운 돌을 오보 위에 얹는다. 사람에 따라서는 단 음식이나 금, 우유, 보드카 등을 공물로 바치기도 한다. 만약 급해서 오보에 들를 시간이 없다면, 오보를 지나갈 때 경적을 울리는 것으로도 괜찮다고 여겨진다.
몽골의 공산주의 정권 시절에는 다른 종교 의식과 마찬가지로 오보 숭배가 공식적으로 금지되었으나, 사람들은 비밀리에 전통을 이어갔다.[13]
노몬한 사건과 관련하여 노문한 에이 블도 오보가 알려져 있다.
5. 위험 요소
6. 지명
6. 1. 몽골
몽골의 지명과 행정 구역 명칭에는 '오보'라는 단어가 들어간 곳들이 있다.
지명:
행정 구역 (솜):몽골의 몇몇 솜(행정 구역) 명칭에 "오보"라는 단어가 사용된다.6. 2. 내몽골 자치구
7. 대중문화
오워는 몽골족이 사용하는 특수 건물로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IV에 등장한다.
참조
[1]
dictionary
ОВОО
https://mongoltoli.m[...]
[2]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www.worldcat[...]
Facts On File
2004
[3]
웹사이트
Cult of ovoos - Horseback Mongolia
https://www.mongolia[...]
2023-05-21
[4]
간행물
Ovoo-cairns and ancient funerary mounds in the Mongolian landscape. Piling up a monumental tradition?
https://journals.ope[...]
2021-12-23
[5]
웹사이트
Altan Ovoo
https://mongolia-gui[...]
2023-05-21
[6]
웹사이트
Dilemma of the Sacred Lands: Preserving Mongolia's Ovoos
https://thediplomat.[...]
2022-09-21
[7]
웹사이트
Oyuut Ovoo, Porphyry copper prospect
https://mrdata.usgs.[...]
2023-05-21
[8]
웹사이트
Ovoo – thonmi.eu
https://www.thonmi.e[...]
2023-05-21
[9]
웹사이트
The Mongolian Ovoo {{!}} China & Asia Cultural Travel
https://www.asiacult[...]
2023-05-21
[10]
웹사이트
Mongolia's Sacred Ovoos
https://www.eternal-[...]
2023-05-21
[11]
서적
チベットの祝布「カタ」の脱領土化と再領土化 : インド、西ベンガル州カリンポンの事例から
http://id.nii.ac.jp/[...]
[12]
Wayback
Culture Mongolia - Khadag
http://www.culture.m[...]
2007-09-28
[13]
아카이브
EN060501B - The Human Body 1; Interview 2 - English
https://archive.is/g[...]
2012-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