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크타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크타 칸은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킵차크 한국의 칸이었다. 그는 1291년 노가이 칸의 도움을 받아 칸위에 올랐으며, 노가이에게 크림 반도를 넘겨주었다. 맘루크 왕조의 기록에 따르면 노가이와 손을 잡고 사촌 트레 부카를 살해하고 칸으로 추대되었다. 통치 기간 동안 러시아 공국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고, 일 칸국, 맘루크 왕조, 원나라 등과 외교 관계를 맺었다. 1304년 원나라의 명목상 최고 권위를 받아들였으며, 1310년에는 화폐 개혁을 단행했다. 샤머니즘 신자였지만 불교에도 관심을 보였으며, 1297년 비잔틴 제국 황제의 딸과 결혼했다. 후계자 문제로 불행한 말년을 보냈으며, 조카 우즈베크 칸이 그의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샤머니즘 - 차강사르
    차강사르는 몽골력 새해 첫 사흘 동안 기념되는 몽골의 전통 설날로, 평화와 조화를 기원하며 흰색을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기고, 가족과 친척을 방문하여 선물을 주고받는 풍성한 잔치를 즐기는 명절이다.
  • 몽골의 샤머니즘 - 오보 (몽골)
    오보는 몽골의 전통 신앙 유적으로, 돌무더기 형태로 만들어져 몽골 샤머니즘과 티베트 불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여행의 안전을 기원하거나 텡그리 신앙 의례에 사용되고, 몽골과 내몽골 자치구의 지명으로도 사용된다.
  • 1312년 사망 - 마리노 초르치
  • 1312년 사망 - 이혼 (고려)
    이혼은 고려 후기의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충렬왕과 충선왕 대에 여러 요직을 거쳐 도첨의정승까지 올랐으며 충선왕의 신임을 받아 관제 개정에 참여했고 사후 문장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킵차크 칸국의 칸 - 토크타미시 칸
    토크타미시 칸은 티무르의 지원으로 황금 호르드의 칸이 되어 세력을 확장했으나 티무르와의 갈등으로 몰락, 에디게에 의해 살해당하며 황금 호르드 쇠퇴에 영향을 미쳤다.
  • 킵차크 칸국의 칸 - 우즈베크 칸
    우즈베크 칸은 킵차크 칸국의 칸으로서 이슬람교를 국교로 приняття하고 국가 체제를 안정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모스크바 공국을 지지하여 루스 제후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사라이를 정치·경제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토크타 칸
기본 정보
토크타와 그의 사촌들, 테무르, 차바르, 올제이투의 14세기 프랑스 삽화
토크타와 그의 사촌들, 테무르, 차바르, 올제이투의 14세기 프랑스 삽화.
칭호
왕조보르지긴 가문
국가황금 군단
통치 기간1291년 – 1312년
선임자탈라부
후임자우즈베그 칸
부친멩구-티무르
모친올주 하툰 홍기라트
종교불교 또는 샤머니즘
배우자
배우자 목록불루간 하툰
튀킨체 홍기라트
마리아 팔라이올로기나 (안드로니코스 2세 팔라이올로고스의 딸)
자녀
자녀 목록튀켈 부카
일바사르
마리아 (추정)

2. 생애

1288년 토크타는 삼촌에 의해 쫓겨났으나, 1291년 노가이 칸의 도움으로 다시 권좌에 올랐다.[1] 그 대가로 토크타는 크림 반도를 노가이에게 주었다.[1] 노가이는 툴라부카를 지지하던 많은 몽골 귀족들을 처형했다.[1]

즉위 전, 페레야슬라블 공작드미트리고로데츠 공작 안드레이 형제가 블라디미르 대공 자리를 두고 다투었고, 드미트리는 노가이[12], 안드레이는 사라이의 칸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즉위 직후인 1292년, 안드레이를 필두로 하는 루스 제후들은 토크타에게 드미트리에 대한 제재를 요청했다.[13] 토크타는 형 토데겐을 지휘관으로 하는 군대를 블라디미르로 파병했다. 토데겐과 안드레이, 야로슬라블 공작 표도르는 블라디미르를 점령하고, 수즈달, 페레야슬라블, 모스크바 등 주변 14개 도시를 파괴하고 약탈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토크타와 노가이는 경쟁 관계에 돌입했다. 토크타는 러시아에서 노가이의 영향력을 없애고자 했다. 1293년 그의 형제 투단이 러시아로 파견되어 14개 마을을 약탈하고, 노가이의 동맹이었던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를 몰아냈다.[1] 러시아 역사가들은 이 사건을 바투 칸의 침공에 비견했다.

토크타는 장인인 콩기라트부의 살지다이를 중용했다. 살지다이는 노가이와도 친척 관계였지만, 신앙의 차이로 대립했다. 토크타는 노가이로부터 살지다이의 인도를 요구받았지만 거절했다. 또한 토크타의 곁에서 도망친 장교를 노가이가 보호하면서 둘의 관계는 악화되었고,[12] 1297년 - 1298년에 군사 충돌이 시작되었다. 1299년 토크타는 노가이를 죽였고, 1301년 - 1302년에는 노가이의 막내 아들 트라이를 처형함으로써 노가이 일족과의 내전을 끝냈다.[14]

토크타는 무슬림이 아니었지만, 종교에 대해서는 공정했고 무슬림 학자를 신임했다. 외교적으로는 일 칸국가잔, 올제이투 즉위에 축하 사절을 보내는 등, 아버지 몽케 테무르 이래의 정책을 유지했다. 1307년에는 카파제노바인들이 자국 아이들을 납치하여 이슬람 국가에 노예로 팔고 있다는 백성들의 호소에 따라 카파를 공격했다. 1310년에는 화폐 개혁을 실시하여 조치 울루스 통치하의 여러 지방에서 통일된 화폐를 사용하게 했다.[14]

토크타는 가정적으로 불행했고, 두 아들은 그의 통치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가 국외로 추방되었다. 동생 살라이 부카는 트라이의 꾐에 빠져 토크타에게 반기를 들었다가 처형되었고, 형 불룰루크는 살라이 부카와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가 망명했다. 토크타 사후, 조카 우즈베크가 뒤를 이었다.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둑마크 등의 기록에 따르면, 우즈베크는 일 바살을 비롯한 토크타 일족을 죽이고 칸 자리에 올랐다고 한다.[15][16]

2. 1. 가계와 초기 생애

부계로는 칭기즈 칸과 보르테의 아들 주치 칸의 4대손으로 증조부는 바투 칸, 할아버지는 토코칸 칸, 아버지는 만그 티무르이다. 모계로는 칭기즈 칸과 보르테의 넷째 아들 툴루이 칸의 4대손이 되는데, 툴루이의 아들 쿠투투의 딸 켈미시가 옹기라트족 사르치다이 큐레겐의 딸 올제이 카툰과 혼인하여 토크타를 낳았다. 켈미시는 토크타의 외할머니이면서 조부의 6촌뻘, 삼종대고모가 된다.

토크타 칸은 제6대 당주인 몽케 테무르의 다섯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올제이 하툰(조치 울루스 휘하의 콩기라트 부족 수장 살지다이 노얀과 툴루이 가문의 쿠투크투의 딸인 케르미슈 아카 하툰의 딸)이다. 동복 형제로는 맏형 아르구이가 있다.

1288년, 토크타는 사촌들에게 쫓겨났다.[1] 1291년, 그는 노가이 칸의 도움으로 왕위를 되찾았다.[1] 토크타는 이후 크림 반도를 노가이에게 선물로 주었다.[1] 노가이는 이후 자신의 새로운 꼭두각시 칸 덕분에 툴라부가의 지지자였던 많은 몽골 귀족들을 참수했다.[1]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누와이리에 따르면, 당주가 된 사촌 트레 부카와 서방의 유력자 노가이가 대립하자 노가이와 손을 잡고 그의 지원을 받아 트레 부카 일파를 살해하고 당주로 추대되었다. 누와이리의 사료에는 토크타가 노가이에게 의지한 이유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집사》에는 트레 부카 형제에게 목숨을 노려졌기 때문에 토크타는 노가이에게 의지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1]

2. 2. 노가이와의 대립과 킵차크 한국 통치

토크타는 러시아 공작들의 반독립성을 없애고자 했다. 1293년, 그는 동생 투단을 블라디미르-수즈달에 보내 14개 도시를 파괴하고, 노가이의 동맹이었던 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를 퇴위시켰다.[1] 이 사건은 러시아 연대기에서 "바투의 혹독한 시대의 귀환"으로 묘사되었다.

토크타는 장인인 옹기라트족 살지다이와 그의 아내 베클레미쉬,[2] 툴루이의 손녀 등의 지지를 받았으나, 노가이는 칸의 궁정에 오기를 거부했다. 그들은 베네치아제노바 상인의 무역 권리에 대해서도 의견이 달랐다.

1296년- 1297년에 토크타의 군대는 노가이와의 첫 전투에서 패배했다.[3] 토크타는 일 칸국가잔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가잔은 이 싸움에 얽히고 싶지 않아 거절했다. 1299년 노가이는 결국 카감리크 강의 전투에서 패배했다. 토크타 칸은 볼가강에서 돈강 사이의 땅을 통합하였다. 그러나 노가이의 아들 차카는 불가리아로 들어가 그곳에서 황제로 군림하였다. 곧 토크타의 분노는 테오도르 스베토슬라프가 차카의 머리를 칸에게 보내게 하였다. 토크타는 이후 노가이의 영토를 형제와 아들들에게 분할했다.

2. 3. 후기 통치와 외교 관계

토크타가 노가이와 분쟁을 벌이는 동안, 바얀 칸은 백장의 반군에 대항하기 위해 도움을 요청했지만, 토크타는 지원군을 보낼 수 없었다. 1301년, 바얀은 토크타에게 의탁했다. 이후 토크타는 카이두의 지원을 받은 쿠루이치크를 공격하여 그의 권위를 재확립하도록 도왔다.[3] 황금 군단은 차카타이 칸국의 두와와 카이두의 아들 차파르 칸과의 분쟁에서 승리했다.

러시아 공국과 킵차크인의 스텝 지대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한 후, 토크타는 일 칸국가잔에게 아제르바이잔과 아란 지역 반환을 요구했다. 가잔은 "그 땅은 우리 조상의 인도 강철 검에 의해 정복되었다!"라며 거절했다.[3] 토크타는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와 동맹을 회복하기 위해 사절을 보냈다. 올제이투 통치 기간 동안, 황금 군단과 일 칸국 간의 작은 국경 분쟁이 있었으나 오래 지속되지는 않았다.

1304년, 차카타이 칸국과 원나라에서 온 사신이 사라이에 도착하여 평화 계획을 제안했다. 토크타는 원나라 황제 테무르 올제이투 (성종), 쿠빌라이 칸의 손자의 명목상 최고 권위를 받아들였다. 동시에 올제이투는 페르시아의 일 칸을 통치했으며, 아란 땅을 토크타에게 양도하고 두와는 차카타이 칸국에서 명목상 주권을 유지했다. 우편 시스템과 무역로도 복원되었다. 황금 군단은 원나라 국경 강화를 위해 2만 명의 군대를 보냈다.

1307년, 토크타는 사라이의 이탈리아인 거주자들을 체포하고 카페를 포위했다. 이는 토크타가 튀르크인 노예 무역에 대한 불만 때문이었는데, 이들은 대부분 이집트맘루크 술탄국 군인으로 팔려갔다. 제노바인들은 1년 동안 저항했지만 1308년 도시를 불태우고 떠났다. 이탈리아인과 황금 군단 사이의 관계는 1312년 토크타가 사망할 때까지 긴장 상태를 유지했다.[3] 그는 샤머니즘 신봉자였지만, 불교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는 황금 군단의 마지막 비무슬림 칸이었다.

1297년, 토크타는 비잔틴 제국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의 사생아 딸 마리아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했다. 그들의 딸 마리야는 나중에 리투아니아 대공 나리만타스와 결혼했다.

1310년에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여 조치 울루스 통치하의 여러 지방에서 외형, 무게, 시가가 다른 화폐를 통일했다.[14]

2. 4. 죽음과 유산

토크타는 샤머니즘 신자였지만, 불교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는 황금 군단의 마지막 비무슬림 칸이었다.[11] 1297년, 비잔틴 제국 황제 안드로니코스 2세 팔레올로고스의 사생아 딸 마리아 팔레올로기나와 결혼했다. 그들의 딸 마리야는 나중에 리투아니아 대공 나리만타스와 결혼했다.

일부 자료에서는 그가 남성 상속자 없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원사와 일부 무슬림 자료에 따르면 그는 적어도 세 아들을 두었고 그 중 한 명은 칸 우즈베크의 지지자들에 의해 살해되었다고 한다.[14] 토크타는 가정적으로 불행했고, 두 아들은 토크타의 통치 정책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국외로 쫓겨났다. 트라이의 꾐에 빠져 토크타에게 반기를 든 동생 살라이 부카는 처형되었고, 살라이 부카와 함께 반란을 일으킨 형 불룰루크는 국외로 망명했다.

토크타 사후, 조카 우즈베크가 뒤를 이었다. 맘루크 왕조의 역사가 둑마크 등의 기록에 따르면, 우즈베크는 일 바살을 비롯한 토크타 일족을 죽이고 칸 자리에 올랐다고 한다.[15][16]

3. 가계도

칭기즈 칸 가계도
칭기즈 칸
주치
바투 칸
토코칸
몽케 티무르
토크타


참조

[1] 서적 Byzantium and the Rise of Russia: A Study of Byzantino-Russian Relations in the Four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06-24
[2] 문서 Rashid al-Din - universal History,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Mongol Empire, see: Golden Horde
[3] 문서 Zhanat Kundakbayeva, The History of Kazakhstan, Кazakh University, 2016, vol. 1, p. 69 : The battle “must have taken place in the winter of 1296/97 since news of Toqta's major defeat reached Cairo in February-March 1298.”
[4] 서적 History of the Mongols: From the 9th to the 19th Century
[5] 학위논문 Marriage as Political Strategy and Cultural Expression: Mongolian Royal Marriages from World Empire to Yuan Dynasty University of Toronto
[6] 서적 Anne F. Broadbridge, Women and the Making of the Mongol Empire 2018
[7] 간행물 Kirakos of Ganjak on the Mongols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新元史]]』巻一百六 列伝第三 脱脱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