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상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상원은 1930년 평안북도 선천군 출생으로, 소설가이자 언론인이다.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1955년 단편소설 〈유예〉가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1950년대 한국 전쟁 이후의 사회적, 도덕적 문제를 다룬 작품들을 통해 전후 세대의 정신적 좌절을 행동주의적 시각으로 그려냈으며, 1958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1960년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논설위원을 지냈으며, 1985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천군 출신 - 전칠홍
전칠홍은 평양신학교를 졸업하고 한국전쟁 이후 대구 서문교회와 서울 중앙교회 등에서 목회했으며, 숭신교회 설립, 칼빈 고등성경학교 교장, 충현교회 당회장 역임, 한국 개혁주의 신학 확장 기여, 미국 필라델피아 개혁교회 개척, 스펄전의 저서 번역 등의 활동을 한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목회자이다. - 선천군 출신 - 방지일
방지일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에 활동한 장로교 목사이자 선교사로, 중국 선교, 신사참배 저항, 독립운동 지원, 한국 개신교 발전 기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김훈 (소설가)
김훈은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언론인으로, 1994년 등단 후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을 발표하며 문명을 얻었고, 간결하고 힘 있는 문체와 인물 내면 묘사가 특징이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고,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전업 작가가 되었다. - 동인문학상 수상자 - 성석제
성석제는 해학과 풍자를 통해 인간과 사회의 부조리를 그려내는 대한민국의 소설가이자 시인으로, 유머와 비애를 조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문학상을 수상했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유시민
유시민은 경주 출신의 작가이자 정치인, 유튜버로, 민주화 운동 참여, 정계 입문 후 국회의원과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작가, 방송인, 유튜버로 활동하며 노무현재단 이사장을 지낸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극작가 - 구상 (시인)
구상(1919-2004)은 서울 출생으로 원산에서 성장하여 니혼 대학교를 졸업하고, 한국 전쟁 종군 기자, 언론 운동, 영남일보 편집장 등을 거쳐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시집 《초토의 시》 등을 발표했으며, 프랑스 문부성에서 세계 200대 시인으로 선정되었고 폐질환으로 사망했다.
오상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오상원 |
한글 표기 | 오상원 |
한자 표기 | 吳尙源 |
로마자 표기 | O Sang-won |
기본 정보 | |
출생일 | 1930년 11월 5일 |
출생지 | 일제 강점기 평안북도 선천군 |
사망일 | 1985년 12월 3일 |
사망지 | 서울특별시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소설가, 기자, 극작가 |
학력 |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사 |
활동 기간 | 1953년 ~ 1985년 |
작품 활동 | |
장르 | 소설, 수필, 희곡 |
데뷔 작품 | 녹스는 파편, 유예 |
주요 작품 | 모반 |
2. 생애
오상원은 1930년 11월 5일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나 1985년 12월 3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지병으로 사망했다. 용산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 1953년 신극협의회 작품 공모에 장막극 〈녹쓰는 파편〉이 당선되었고,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유예〉가 당선되며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10][12] 1960년 4.19 혁명 직후 '전후문학인협회'를 결성하고 동아일보에 입사하여 언론인으로도 활동했다.[9][14] 1970년대 이후에는 언론계에 집중하며 동아일보에서 기행문 연재 및 논설위원을 역임했다.[10]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1930년 11월 5일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났다.[2] 1949년 용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53년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였다.[12]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재학 중(전시 부산)에 이일, 정창범, 홍사중, 박이문, 김호 등과 함께 문학 동인 ‘구도’(構圖)에 참가하면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13]2. 2. 등단 및 작가 활동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재학 중이던 1953년 신극협의회의 작품 공모에 장막극 〈녹쓰는 파편〉이 당선되었고,[12] 전시 부산에서 이일, 정창범, 홍사중, 박이문 등과 함께 문학 동인 ‘구도’(構圖)에 참가하면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13]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유예〉(猶豫)가 당선되어 작가 활동을 시작했다.[10][12]1960년 4·19 직후 신동문, 구자운, 박희진, 서기원, 송병수, 이호철, 이어령 등과 ‘전후문학인협회’를 결성하고,[14] 동아일보에 입사했다.[9]
1970년대 이후에는 작품 활동보다는 언론계에 열중했다.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면서 1970년 〈땀흘리는 한국인〉이라는 기행문을 연재했고, 1974년 논설위원이 되었다.[10]
2. 3. 언론인 활동
1959년 조선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1960년 4·19 직후 신동문, 구자운, 박희진, 서기원, 송병수, 이호철, 이어령 등과 ‘전후문학인협회’를 결성하고,[14] 동아일보에 입사했다.[9]1970년대 이후에는 작품 활동보다는 언론계에 열중했다.[13] 동아일보 기자로 재직하면서 1970년 〈땀흘리는 한국인〉이라는 기행문을 연재했고, 1974년 논설위원이 되었다.[10]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재직하던 중 1985년 12월 3일 지병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타계했다.
2. 4. 사망
동아일보 논설위원으로 재직하던 중 1985년 12월 3일 지병으로 서울대학교병원에서 타계했다.[2][3]3. 작품 경향
오상원은 한국 전쟁 이후 사회 및 도덕적 문제를 다루며 전후 세대의 정신적 좌절을 행동주의적 시각으로 주제화하여, 1950년대 대표 작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2][15] 그의 작품은 프랑스 행동주의 및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한국 전후 세대의 풍토 속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보인다. 대표작 『유예한국어』는 적진에서 굶주림과 추위로 죽어가는 병사의 상황을, 『모반한국어』은 전쟁 직후 사회, 정치적 혼란 속 정당 간 갈등과 청년 당원들 간 테러를 다룬다.
1970년대에는 동아일보 기자와 논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언론인 경력에 집중했고, 이 시기 "늙은 여우", "임금님의 어금니", "토끼의 눈"과 같은 당대 사건에 대한 우화적 풍자물을 발표했다.[4] 1980년대에는 "산", "겹친 과거"와 같은 자전적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4]
3. 1. 전후 현실과 실존주의적 탐구
오상원은 한국 전쟁 이후의 사회적, 도덕적 문제를 다루며 전후 세대의 정신적 좌절을 행동주의적 시각으로 주제화했다.[12] 프랑스의 행동주의 문학과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소설가 앙드레 말로에 대한 논문을 쓰기도 했다. 그의 작품 〈균열〉(1955), 〈증인〉(1956)은 이러한 경향을 잘 보여준다.[10]그는 보편적인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문학적 탐구를 통해 휴머니즘을 추구했다. 전쟁의 비인간성과 인간 존엄성을 강조하여 전후 소설로서의 의미를 더했다.[13]
한국문학번역원은 오상원의 문학이 해방 이후의 정치적 혼란과 한국 전쟁의 비극을 증언한다고 평가한다. 특히, 1958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단편 소설 "유예"는 양심과 정치 조직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갈등하는 테러리스트를 그리고 있으며, "수난"은 다른 사람을 구하려다 처형을 기다리는 병사의 심리적 연구를 제시한다. 이 병사는 죽음 앞에서도 인본주의적 선택을 하는 초인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인간으로 묘사된다. "분수령", "현실", "멸시"는 한국 전쟁을 더욱 깊이 있게 다룬 작품들이다.[4]
오상원은 1930년 평안북도 선천군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다. 1953년 신극협의회 공모에 『녹스는 파편한국어』이, 1955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유예한국어』가 당선되며 등단했다. 대표작 중 하나인 『모반한국어』은 전쟁 직후 혼란한 사회에서 정당 간 갈등과 청년 당원들 사이의 테러를 주제로 한다.
3. 2. 휴머니즘과 비판적 시선
오상원은 한국 전쟁 이후 사회의 도덕적, 사회적 문제를 다루며, 전후 세대가 겪는 정신적 좌절을 행동주의적 시각으로 표현한 작가이다.[12] 프랑스 문학 전공으로 앙드레 말로 등 행동주의와 실존주의 문학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는 〈균열〉(1955), 〈증인〉(1956) 등에 잘 드러난다.[10] 그는 인간의 보편적 존재에 대한 문학적 탐구를 통해 휴머니즘을 추구했고, 전쟁의 비인간성과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여 전후 소설로서 의미를 더했다.[13]한국문학번역원은 오상원의 문학이 해방 이후 정치적 혼란과 한국 전쟁의 비극을 외부 현실에 비판적인 인물들을 통해 증언한다고 평가한다. 1958년 동인문학상을 받은 단편 "유예"는 양심과 정치적 의무 사이에서 갈등하는 테러리스트를 묘사하고, "수난"은 다른 사람을 구하려다 처형을 기다리는 병사의 심리를 그려 죽음 앞에서도 인본주의적 선택을 하는 인간상을 제시한다.[4]
오상원은 1950년대를 대표하는 전후 작가 중 한 명으로, 전쟁 직후 혼란한 사회, 정치적 상황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통해 독자적인 문학 세계를 구축했다. 대표작 "모반"은 정당 간 갈등과 청년 당원들 사이의 테러를 다룬다.
3. 3. 우화적 기법
오상원은 대학 시절 프랑스 행동주의와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아 문학적 상상력을 키웠다. 1970년대에는 동아일보에서 기자와 논설위원으로 활동하며 언론인 경력에 집중하면서, 당대 사건을 우화적으로 풍자하는 작품들을 발표했다. "늙은 여우", "임금님의 어금니", "토끼의 눈"과 같은 정치, 사회적 우화들은 오상원 우화집에 수록되어 있다.[4]4. 주요 작품 목록
4. 1. 소설
한국문학번역원은 오상원의 한국 문학에 대한 기여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대학 시절에 접한 프랑스 행동주의와 실존주의는 오상원의 문학적 상상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외부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 대담한 행동을 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해방 이후의 정치적 혼란과 한국 전쟁의 비극을 증언한다. 1958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단편 소설 "유예"는 자신의 양심과 정치 조직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테러리스트를 그리고 있다. "수난"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려다 포로가 되어 처형을 기다리는 병사의 심리적 연구를 제시한다. 그 병사는 자신의 죽음과 마주하면서도 인본주의적 선택을 하는 초인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인간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분수령", "현실", "멸시"는 한국 전쟁을 더욱 깊이 탐구한다.[4]
:1970년대에 그는 창작 활동에서 벗어나 기자와 논설위원으로 동아일보에서 일하며 언론인으로서의 경력에 집중했다. 이 시기에 그는 당대 사건에 대한 우화적 풍자물을 발표했다. "늙은 여우", "임금님의 어금니", "토끼의 눈"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우화들은 오상원 우화집에 수록되어 있다. 1980년대에는 "산"과 "겹친 과거"와 같은 자전적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그는 1985년 12월 3일에 사망했다.[4]
'''단편 소설'''
작품명 | 발표년도 |
---|---|
배반 | |
휴지(休息) | |
기간(期間) | |
현실 | |
경멸 | |
산 | |
중첩된 과거 | |
유예한국어 | 1955년 |
균열한국어 | 1955년 |
죽음에의 훈련한국어 | 1955년 |
죽어살이한국어 | 1956년 |
증인한국어 | 1956년 |
모반한국어 | 1957년 |
백지의 기록한국어 | 1957년 |
사이비한국어 | 1958년 |
부동기한국어 | 1958년 |
보수한국어 | 1959년 |
표정한국어 | 1959년 |
현실한국어 | 1959년 |
파편한국어 | 1959년 |
무명기한국어 | 1961년 |
훈장한국어 | 1964년 |
거리한국어 | 1964년 |
암류한국어 | 1964년 |
담배한국어 | 1965년 |
모멸한국어 | 1974년 |
잃어버렸던 이야기한국어 | 1977년 |
산한국어 | 1981년 |
겹친 과거한국어 | 1985년 |
'''우화'''
- 오상원 우화
4. 2. 기타
대학 시절에 접한 프랑스 행동주의와 실존주의는 오상원의 문학적 상상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외부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 대담한 행동을 하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해방 이후의 정치적 혼란과 한국 전쟁의 비극을 증언한다. 1958년 동인문학상을 수상한 단편 소설 "유예"는 자신의 양심과 정치 조직에 대한 의무 사이에서 선택해야 하는 테러리스트를 그리고 있다. "수난"은 다른 사람의 생명을 구하려다 포로가 되어 처형을 기다리는 병사의 심리적 연구를 제시한다. 그 병사는 자신의 죽음과 마주하면서도 인본주의적 선택을 하는 초인적이고 행동주의적인 인간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분수령", "현실", "멸시"는 한국 전쟁을 더욱 깊이 탐구한다.[4]1970년대에 그는 창작 활동에서 벗어나 기자와 논설위원으로 동아일보에서 일하며 언론인으로서의 경력에 집중했다. 이 시기에 그는 당대 사건에 대한 우화적 풍자물을 발표했다. "늙은 여우", "임금님의 어금니", "토끼의 눈"과 같은 정치적, 사회적 우화들은 오상원 우화집에 수록되어 있다. 1980년대에는 "산"과 "겹친 과거"와 같은 자전적 단편 소설을 발표했다. 그는 1985년 12월 3일에 사망했다.[4]
종류 | 제목 |
---|---|
소설 | 백지장 기록 (1958) |
단편 소설 | 배반 |
휴지(休息) | |
현실(現實), 경멸(輕蔑) | |
산(山), 중첩된 과거 | |
우화 | 오상원 우화 |
5. 수상 경력
참조
[1]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2]
웹사이트
Naver Search
http://people.search[...]
Naver
2013-12-06
[3]
서적
Who's Who in Korean Literature
Hollym
[4]
웹사이트
Author Database - Korea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http://klti.or.kr/ke[...]
2013-09-03
[5]
웹사이트
인물정보(人物情報)
http://people.search[...]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으로 설정
[6]
웹사이트
한국문학번역원 문인DB 오상원
http://www.klti.or.k[...]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으로 설정
[7]
웹사이트
NAVER(韓国現代文学大辞典)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으로 설정
[8]
웹사이트
NAVER(国語国文学資料辞典)
http://terms.naver.c[...]
2014-00-00 #날짜 정보 부족으로 00-00-00으로 설정
[9]
뉴스
<소설「謀叛(모반)」의 作家(작가)> 本社(본사) 吳尙源(오상원)위원 별세
https://newslibrary.[...]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018-08-17
[10]
웹인용
오상원
http://100.daum.net/[...]
2018-08-13
[11]
문서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2]
백과사전
오상원(吳尙源)
[13]
웹인용
작가/필진 상세보기 작가명 오상원
https://munjang.or.k[...]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18-08-14
[14]
뉴스
[염무웅의 해방 70년, 문단과 문학 시대정신의 그림자](5) 포연 속으로 빨려들어간 젊음…폐허는 끝이자 시작이 되었다
http://news.khan.co.[...]
2018-08-13
[15]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