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마냐 문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마냐 문자는 1920년대 초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에 의해 개발된 소말리아어 표기 문자이다. 아랍어, 이탈리아어, 에티오피아 문자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22개의 자음과 5개의 단모음으로 구성된 알파벳 문자이다. 소말리아에서 널리 사용되기도 했으나, 1972년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표기법이 도입되면서 사용이 급격히 감소했다. 현재는 유니코드에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소말리아 -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집권한 시아드 바레 정권의 사회주의 국가였으나, 오가덴 전쟁과 권위주의 통치로 쇠퇴하여 소말리아 내전 끝에 1991년 멸망했다. - 아프리카의 문자 -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는 고대 남아라비아 문자에서 유래하여 에티오피아와 에리트레아 지역에서 사용되었으며, 4세기 경 음성 표기가 도입된 26개의 자음 문자를 가진 아부기다 형태의 문자 체계이다. - 아프리카의 문자 - 응코 문자
솔로마나 칸테가 만데어 표기 개선과 아프리카 고유 문자 부재에 대한 인식 불식을 위해 창제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응코 문자는 만딩어의 성조를 정확히 표현하며 서아프리카 만데어 사용자들의 문해력 증진과 문화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고 유니코드 추가, 위키백과 개설, 구글 번역 추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활용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서하 문자
서하 문자는 1036년 야리인영이 창제한 약 6,000자로 구성된 서하 왕조의 고유 문자 체계로, 한자의 영향을 받았지만 독자적인 구조를 지니며 정부 공식 문서 및 불경 번역 등에 사용되었고, 서하 멸망 후에도 사용 기록이 있으며, 현재 유니코드에 6,145자 이상이 등재되어 일부 글자에는 중국에 대한 대항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 쓰이지 않는 문자 - 팔라바 문자
팔라바 문자는 타밀 브라흐미 문자를 기반으로 팔라바 왕조 시대에 만들어졌으며,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둥근 획과 직사각형 획을 결합한 서예적 특징을 가지며, 칸나다 문자와 텔루구 문자의 초기 형태에 영향을 미쳤다.
오스마냐 문자 | |
---|---|
개요 | |
이름 | 오스마냐 문자 |
원어 이름 | (소말리어) |
로마자 표기 | Cismaaniya |
별칭 | (아랍어) |
종류 | 알파벳 |
사용 언어 | 소말리어 |
창시자 | 이스만 유수프 케나디드(Isman Yusuf Kenadid) |
사용 시기 | 1920년대 ~ 1972년경 |
문자 체계 정보 | |
유형 | 알파벳 |
ISO 15924 | Osma |
유니코드 범위 | U+10480–U+104AF |
2. 역사
오스마냐 문자는 20세기 초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소말리아어 표기를 위해 고안한 문자 체계이다. 이 문자는 소말리아 내 민족주의 정서 속에서 고유 문자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주목받았고, 초기에는 소말리 청년 동맹(SYL) 등의 지지를 받기도 했다.[11] 상당량의 문학 작품이 오스마냐 문자로 생산되기도 했으나[4], 전통적인 아랍 문자 및 새로 개발된 소말리아 라틴 문자와의 경쟁에 직면했다.[4][5] 또한, 창제자의 출신 씨족과의 연관성 문제[12] 및 정치적 상황 변화[11] 등으로 인해 소말리아 전체의 통일 문자로 자리 잡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 소말리아 독립 이후 공식 문자 채택 논의가 이어졌으나[13], 결국 1972년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정권은 실용성 등을 이유로 라틴 문자를 공식 문자로 채택했다.[7][8][9] 이후 정부 주도의 라틴 문자 보급 정책에 따라 오스마냐 문자의 사용은 급격히 감소하며 쇠퇴하였다.[13]
2. 1. 오스마냐 문자 고안의 배경
소말리아에서는 이슬람 세계에 속해 있었기 때문에 아랍 문자를 이용한 소말리아어 표기법 도입이 자연스럽게 시도되었다. 19세기 말 카디리 교단의 샤이흐였던 우와이스 알바라위(1846-1909)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소말리아어 표기법을 고안하기도 했다.[10] 하지만 아랍 문자는 소말리아어의 모든 소리를 정확하게 담아내기 어려웠고, 이 표기법은 널리 받아들여지지 못했다.[10]이러한 상황에서 호비오 술탄국(이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의 일부가 됨)을 건국한 유수프 알리 케나디드의 아들인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새로운 문자 창제에 나섰다. 그는 아랍어와 이탈리아어에 능통했으며 에티오피아 문자에 대한 지식도 가지고 있었다.[10]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는 이러한 여러 문자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소말리아어에 적합한 새로운 표기 체계인 오스마냐 문자를 고안했다. 오스마냐 문자는 전체적인 형태는 라틴 문자와 유사한 알파벳 체계를 따르지만, 문자의 배열 순서나 장모음 표기 방식에서는 아랍 문자의 영향을 받았고, 개별 글자의 모양에서는 에티오피아 문자의 영향을 받은 독창적인 문자 체계였다.[10]
2. 2. 라틴 문자 채택과 오스마냐 문자의 쇠퇴
오스마냐 문자는 소말리아에서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졌고 상당한 양의 문학 작품 생산에 기여했지만, 여러 요인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퍼지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아랍 문자와의 치열한 경쟁이 있었으며, 무사 하지 이스마일 갈랄, B. W. 안드제예프스키, 시레 자마 아메드 등 주요 소말리아어 학자들이 개발한 새로운 소말리아 라틴 문자도 강력한 경쟁자였다.[4][5]소말리아가 1960년 독립한 이후, 민족주의 정서가 고조되면서 소말리아어를 표기할 통일된 문자를 제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6] 그러나 기존의 아랍 문자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새로 제안된 라틴 문자나 오스마냐 문자를 채택할 것인지를 두고 의견이 나뉘어 쉽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특히 오스마냐 문자는 소말리족 고유의 문자라는 점에서 민족주의적 지지를 얻기도 했으나, 창제자인 이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속한 이스만 마흐무드 씨족과 연관되어 여겨지면서 소말리아 사회 전체의 문자로 받아들여지는 데 한계가 있었다.[12] 또한, 초기 오스마냐 문자를 지지했던 소말리 청년 동맹마저 1950년대 이후 중동과의 연대를 중시하며 아랍 문자에 더 무게를 두게 되면서 오스마냐 문자에 대한 지지는 약화되었다.[11]
결국 1972년 10월,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대통령은 소말리아어 표기 문자로 라틴 문자를 공식 채택한다고 발표했다.[9] 이는 라틴 문자가 다른 문자에 비해 배우고 쓰기 쉬우며(단순성), 소말리아어의 모든 소리를 표기할 수 있고, 이미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타자기 등 관련 기기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는 실용적인 이유 때문이었다.[7][8] 바레 행정부는 라틴 문자의 정착을 위해 대대적인 문맹 퇴치 운동을 전개했으며, 이 과정에서 다른 문자들의 사용은 억제되었다. 이러한 정부 주도의 강력한 보급 정책에 따라 라틴 문자는 빠르게 소말리아 사회의 표준 문자로 자리 잡았고, 반면 오스마냐 문자는 공적인 지원을 받지 못하고 급격히 쇠퇴하여 오늘날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13]

3. 구조
오스마냐 문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쓴다. 글자 이름은 아랍 문자의 글자 이름을 기반으로 한다. 오스마냐 문자는 22개의 자음자와 5개의 단모음자로 구성되어 있다.
장모음의 경우, /aː/, /eː/, /oː/ 소리는 각각 별도의 문자(𐒛, 𐒜, 𐒝)로 표기하지만, 장모음 /iː/와 /uː/는 각각 자음 문자인 𐒕(야, /j/)와 𐒓(와우, /w/)를 사용하여 표기한다.[14]
소말리어에는 혀뿌리 위치에 따라 모음을 두 그룹으로 나누는 특징이 있지만[15], 오스마냐 문자 표기에서는 이를 구분하지 않는다.
3. 1. 자음
wikitext오스마냐 | 이름 | 로마자 | IPA | 오스마냐 | 이름 | 로마자 | IPA | 오스마냐 | 이름 | 로마자 | IPA |
---|---|---|---|---|---|---|---|---|---|---|---|
𐒀 | 알레프 | ʼ | /ʔ/ | 𐒁 | 바 | b | /b/ | 𐒂 | 타 | t | /t/ |
𐒃 | 자 | j | /d͡ʒ/ | 𐒄 | 하 | x | /ħ/ | 𐒅 | 카 | kh | /χ/ |
𐒆 | 딜 | d | /d/ | 𐒇 | 라 | r | /r/ | 𐒈 | 사 | s | /s/ |
𐒉 | 시인 | sh | /ʃ/ | 𐒊 | 다 | dh | /ɖ/ | 𐒋 | 아인 | c | /ʕ/ |
𐒌 | 가 | g | /ɡ/ | 𐒍 | 파 | f | /f/ | 𐒎 | 카프 | q | /q/ |
𐒏 | 카프 | k | /k/ | 𐒐 | 란 | l | /l/ | 𐒑 | 미인 | m | /m/ |
𐒒 | 눈 | n | /n/ | 𐒓 | 와우 | w | /w/ | 𐒔 | 하 | h | /h/ |
𐒕 | 야 | y | /j/ |
3. 2. 모음
오스마냐 | 이름 | 로마자 표기 | IPA |
---|---|---|---|
𐒖 | 아 | a | æ, ɑ |
𐒗 | 에 | e | e, ɛ |
𐒘 | 이 | i | i, ɪ |
𐒙 | 오 | o | ɞ, ɔ |
𐒚 | 우 | u | ʉ, u |
𐒛 | 아아 | aa | æː, ɑː |
𐒜 | 에에 | ee | eː, ɛː |
𐒝 | 오오 | oo | ɞː, ɔː |
오스마냐 문자에는 위의 표와 같이 5개의 단모음(a, e, i, o, u)과 3개의 장모음(aa, ee, oo)을 위한 별도의 문자가 있다. 나머지 장모음 /iː/와 /uː/는 각각 반모음 /j/와 /w/를 나타내는 𐒕(야)와 𐒓(와우)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14] 예를 들어, 𐒕는 반모음 /j/ 또는 장모음 /iː/, /ɪː/ 소리를 나타내고, 𐒓는 반모음 /w/ 또는 장모음 /ʉː/, /uː/ 소리를 나타낸다.
소말리아어에는 모음 조화와 유사하게, 혀의 위치에 따라 모음이 +ATR(혀뿌리 전진)과 -ATR(혀뿌리 후진)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15] 하지만 오스마냐 문자 표기에서는 이 두 그룹을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음 문자 𐒘는 +ATR 계열의 /i/ 소리와 -ATR 계열의 /ɪ/ 소리 모두를 나타낼 수 있다.
3. 3. 숫자
wikitext숫자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오스마냐 문자 | 𐒠 | 𐒡 | 𐒢 | 𐒣 | 𐒤 | 𐒥 | 𐒦 | 𐒧 | 𐒨 | 𐒩 |
4. 유니코드
오스마냐 문자는 2003년 4월 유니코드 4.0 버전과 함께 유니코드 표준에 추가되었다.[16][17] 오스마냐 문자를 위한 유니코드 블록은 추가 다국어 평면의 U+10480–U+104AF이다. 이 블록은 22개의 자음자, 5개의 모음자, 3개의 장모음 문자, 10개의 숫자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1]
서적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A Great Landmark in Our Revolutionary History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1974
[2]
서적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A Great Landmark in Our Revolutionary History
https://books.googl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1974
[3]
간행물
Djibouti: AGA
https://arcadia.sba.[...]
2015
[4]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https://archive.org/[...]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5]
서적
A Pastoral Democracy: A Study of Pastoralism and Politics Among the Northern Somali of the Horn of Africa
https://books.google[...]
James Currey Publishers
1999
[6]
문서
The writing of the Somali languag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National Guidance
1974
[7]
문서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Af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8]
뉴스
Middle East annual review
Economist Intelligence Unit (Great Britain)
1975
[9]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Somalia
Greenwood Press
2001
[10]
문서
Diringer
1949
[11]
문서
Laitin
1977
[12]
문서
Laitin
1977
[13]
문서
Saeed
1999
[14]
문서
N2361R Revised proposal to encode the Osmanya script in the SMP of the UCS
https://unicode.org/[...]
2001-07-14
[15]
문서
Saeed
1999
[16]
웹사이트
Supported Scripts
https://www.unicode.[...]
Unicode, Inc.
[17]
웹사이트
Unicode 4.0.0
https://www.unicode.[...]
Unicode, Inc.
2003-04-24
[18]
웹사이트
Osmanya
https://www.unicode.[...]
Unicode,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