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말리아 민주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수립된 시아드 바레 장군의 군사 정권이었다. 최고 혁명 위원회가 권력을 잡고,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하며, 아랍 연맹 가입 등 외교적 노력을 펼쳤다. 1976년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이 수립되어 과학적 사회주의를 표방했으나, 1977년 오가덴 전쟁 실패 이후 정권의 부패와 탄압으로 인해 내전이 발발, 1991년 바레 정권이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소말릴란드는 아프리카의 뿔 북서부에 위치한 국제적인 승인을 받지 못한 국가로, 1991년 소말리아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독자적인 정부와 군대를 운영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치안을 유지하고 있지만 소말리아 정부는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 소말리아 - 오스마냐 문자
소말리아의 오스만 유수프 케나디드가 소말리아어를 표기하기 위해 라틴 문자, 아랍 문자, 에티오피아 문자의 영향을 받아 고안한 오스마냐 문자는 소말리아에서 일정 기간 사용되었으나 라틴 문자가 공식 문자로 채택되면서 쇠퇴하였고 현재는 유니코드에 등록되어 있다. - 아랍어권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아랍어권 - 알제리
알제리는 아프리카 북부 마그레브 지역에 위치한 국가로, 지중해 연안에 자리 잡고 있으며, 사하라 사막을 포함한 국토를 가지고 있으며, 오랜 역사와 다양한 문화를 거쳐 독립했으며, 현재는 대통령 중심 공화국 체제이나 군부의 영향력이 큰 국가이다. - 옛 사회주의 국가 - 소련
소련은 1922년 결성되어 15개의 공화국으로 구성된 사회주의 연방 국가였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과 함께 초강대국으로 부상했으나, 1991년 해체되었다. - 옛 사회주의 국가 - 아랍 연합 공화국
아랍 연합 공화국은 1958년 이집트와 시리아의 합의로 수립되어 카이로를 수도로 하였으나, 이집트의 일방적인 정책으로 시리아가 반발하여 1961년 해체되었고, 이후 이집트는 1971년까지 국호를 유지했다.
소말리아 민주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지도 | |
![]() | |
역사 | |
사건 1 | 오가덴 전쟁 (1977년 7월 13일) |
사건 2 | 소말리아 반란 (1978년 3월 10일) |
기타 정보 | |
면적 | 637657 km2 |
멸망 시기 | 1991년 |
현재 | 소말리아 소말릴란드 |
2. 역사
쿠데타로 최고 혁명 위원회(SRC)가 권력을 잡았다. 살라드 가베이레 케디예 중장과 자마 알리 코르셸 경찰청장이 이끌었으며, 케디예는 "혁명의 아버지"로 불렸고, 곧 시아드 바레가 SRC의 수장이 되었다.[14] SRC는 이전 정부 인사들을 체포하고 정당을 금지했으며,[15] 의회와 대법원을 해산하고 헌법을 정지했다.[16]
혁명군은 대규모 공공 사업을 시작하고 도시와 농촌의 문맹 퇴치 운동을 성공시켜 문맹률을 낮췄다. 산업과 토지 국유화 외에도, 새 정권은 아랍 세계와의 유대를 강조, 1974년 아랍 연맹에 가입했다.[17] 같은 해 바레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을 맡았다.[18]
1976년 7월, SRC는 해산되고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SRSP)이 과학적 사회주의와 이슬람 원칙에 기반한 일당 정부로 설립되었다. SRSP는 국가 이념과 종교를 조화시키고 사회 발전, 평등, 정의의 이슬람 원칙을 강조했다. 정부는 자기 충족, 공공 참여, 대중 통제, 생산 수단의 직접 소유를 통해 사회주의를 추구했다.[16]
2. 1. 쿠데타와 최고혁명위원회 (1969-1976)
1969년 10월 15일, 압디라시드 알리 샤르마르케 대통령이 가뭄 피해 지역인 라스아노드를 방문하던 중 개인 경호원의 총에 맞아 사망했다.[10] 샤르마르케 대통령은 1964년 선거에서 소련 등 공산 국가들의 지원을 받아 집권했다.[11]1969년 10월 21일 오전 3시, 시아드 바레 장군과 군대는 9년 된 의회 정부를 전복시켰다. 현대 정치 분석가들은 쿠데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당시 만연했던 부패를 지적한다.[12] 샤르마르케 대통령의 경호원은 최고 혁명 위원회에 의해 재판을 받고 고문을 당한 후 처형되었는데, 암살범은 샤르마르케 대통령과 같은 씨족 출신이었다.[13]
샤르마르케 대통령 암살 이후 권력을 잡은 최고 혁명 위원회(SRC)는 쿠데타를 통해 권력을 잡았으며, 살라드 가베이레 케디예 중장과 자마 알리 코르셸 경찰청장이 이끌었다. 케디예는 "혁명의 아버지"라는 칭호를 가졌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바레가 SRC의 수장이 되었다.[14] SRC는 이전 민간 정부 구성원들을 체포하고, 정당을 금지했으며,[15] 의회와 대법원을 해산하고 헌법을 정지했다.[16]
혁명군은 대규모 공공 사업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도시와 농촌 지역의 문맹 퇴치 운동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여 문맹률을 크게 낮췄다. 산업과 토지에 대한 국유화 프로그램 외에도, 새 정권의 외교 정책은 아랍 세계와의 전통적이고 종교적인 유대 관계를 강조했으며, 1974년 아랍 연맹 가입으로 이어졌다.[17] 같은 해 바레는 아프리카 통일 기구 의장으로도 활동했다.[18]
1976년 7월, 바레의 SRC는 해산되었고,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SRSP)을 과학적 사회주의와 이슬람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일당 정부로 설립했다. SRSP는 사회 발전, 평등, 정의에 대한 이슬람 원칙을 강조하며 국가 이념과 종교를 조화시키려 했다. 정부는 이러한 원칙들이 자기 충족, 공공 참여, 대중 통제, 생산 수단의 직접 소유에 초점을 맞춘 과학적 사회주의의 핵심이라고 주장했다. SRSP는 제한적인 사적 투자를 장려했지만, 행정부의 전반적인 방향은 사회주의였다.[16]
2. 2. 소말리아 혁명사회주의당과 새 헌법 (1976-1990)
쿠데타로 집권한 최고 혁명 위원회(SRC)는 정당을 금지하고,[15] 의회와 대법원을 해산하고 헌법을 정지시켰다.[16] 1976년 7월, 시아드 바레의 SRC는 해산되고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SRSP)이 과학적 사회주의와 이슬람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일당 정부로 설립되었다. SRSP는 사회 발전, 평등, 정의에 대한 이슬람 원칙을 강조하며, 자기 충족, 공공 참여, 대중 통제, 생산 수단의 직접적 소유를 통해 사회주의를 추구했다.[16]국민투표를 통해 1979년 8월 25일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었다. 이 헌법은 대통령 중심제를 확립하여 대통령이 국가 원수이자 정부 수반을 겸임하도록 했다. 또한, 대통령은 자신이 의장을 맡는 각료회의 구성원을 임명했다. 초기 헌법은 대통령이 6년 임기 동안 의회의 3분의 2 찬성으로 연임될 수 있도록 규정했다.[20]
2. 3. 오가덴 전쟁 (1977-1978)
1977년 7월 13일, 바레 정부는 소말리아인이 주로 거주하는 오가덴 지역을 범소말리아에 병합하려 하면서 에티오피아에 대한 오가덴 전쟁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모든 소말리아 영토를 통일하려는 소말리아 국민군(SNA)의 계획, 즉 소말리웨인의 일부였다.[19] 전쟁 첫 주에 소말리아 국군은 중립적 입장을 유지했던 많은 미국의 군사 관찰자들을 놀라게 할 정도로 에티오피아군에 놀라운 승리를 거두었다. 남부 및 중부 오가덴이 빠르게 점령되었고, 소말리아군은 분쟁 기간 동안 에티오피아 국방군을 계속 격파하여 시다모 주까지 진격했다. 1977년 9월까지 소말리아는 오가덴의 90%를 장악하여 지지가와 같은 전략적 도시를 점령했고, 디레다와에서 지부티로 가는 기차 노선을 위협하면서 디레다와에 상당한 압력을 가했다.[19]하라르 포위 공격 이후, 에티오피아의 공산주의 데르그 정권을 지원하기 위해 2만 명의 쿠바군과 수천 명의 소련 고문이 투입되는 대규모의 전례 없는 소련의 개입이 발생했다. 1978년 3월 15일, 휴전이 협상되어 전쟁이 종식되었다. 이러한 소련의 지원 변화로 인해 바레 정부는 새로운 동맹국을 찾게 되었고, 결국 소련의 영향력에 대한 대항 세력으로 오랫동안 소말리아를 물색해 온 미국으로 돌아섰다. 궁극적으로 소말리아는 소련과의 초기 동맹과 이후 미국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군대를 건설할 수 있었다.[19]
2. 4. 몰락과 내전 (1978-1991)
오가덴 전쟁 실패 후, 바레 행정부는 1978년 쿠데타 미수에 연루된 것으로 의심되는 정부 및 군 고위 관계자들을 체포하기 시작했다.[21][22] 이 음모에 가담한 것으로 보이는 대부분은 재판 없이 처형되었다.[23] 그러나 몇몇 고위 관계자들은 해외로 탈출, 바레 정권을 강제로 몰아내려는 다양한 반체제 단체를 결성하기 시작했다.[24]1979년, 새로운 헌법이 도입되었고 인민 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레의 소말리아 혁명 사회주의 정당(SRSP)은 계속해서 통제력을 유지했다.[6] 1980년 10월, SRSP는 해산되었고, 그 자리에 최고 혁명 위원회가 재설립되었다.[16] 이 무렵, 바레 정부는 점점 인기가 없어졌고, 많은 소말리아인들은 군사 독재 하의 삶에 환멸을 느꼈다. 냉전이 종식되면서 소말리아의 전략적 중요성이 감소, 1980년대에 정권은 더욱 약화되었다.
정부의 전체주의적 지배는[25][26] 이사크 학살(1987–1988)로 정점을 찍었는데, 이는 여러 주요 도시를 황폐화시키고 이사크 부족 구성원들을 표적으로 삼았다. 민간인 사망 추정치는 5만 명에서 10만 명[27][28][29]에서 20만 명 이상에 이른다.[30] 이러한 잔혹한 전술은 에티오피아의 지원을 받는 저항 운동을 촉발시켰고, 이는 전국에서 나타나 결국 소말리아 내전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민병대 그룹에는 소말리아 구원 민주 전선(SSDF), 연합 소말리아 회의(USC), 소말리아 국민 운동(SNM), 소말리아 애국 운동(SPM) 등이 있었다.
1991년 1월 26일, 바레는 권력에서 축출되었고, 소말리아는 이후 혼란에 빠졌다.
3. 정치
소말리아 민주공화국은 1969년부터 1991년까지 시아드 바레가 대통령으로 통치하였다. 총리직은 1969년부터 1970년까지 모하메드 파라 살라드가 역임한 이후 한동안 공석이었다가, 1987년부터 1990년까지 무하마드 알리 사마타르가, 1990년부터 1991년까지 무하마드 하와들레 마다르가 역임했다.
3. 1. 역대 대통령
-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1969년 10월 21일 ~ 1991년 1월 26일)
3. 2. 역대 총리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
모하메드 파라 살라드 | 1969년 11월 1일 | 1970년 3월 |
(공석) | 1970년 3월 | 1987년 2월 1일 |
무하마드 알리 사마타르 | 1987년 2월 1일 | 1990년 9월 3일 |
무하마드 하와들레 마다르 | 1990년 9월 3일 | 1991년 1월 24일 |
참조
[1]
서적
The New Communist Third World: An Essay in Political Economy
Taylor & Francis
[2]
웹사이트
World Population 1979: Recent Demographic Estimates for the Countries and Region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The Bureau
1980-12-23
[3]
웹사이트
ТОТАЛЬНАЯ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АЯ ВОЙНА. Недокументальные записки " « Военно-патриотический сайт «Отвага" Военно-патриотический сайт "Отвага"
http://otvaga2004.ru[...]
2009-05-27
[4]
웹사이트
The 1991 CIA World Factbook
http://archive.org/d[...]
[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mplete in thirty volumes. Skin to Sumac
Grolier
[7]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Worldmark Press
[8]
웹사이트
Country Facts ! Somalia
https://www.un.int/s[...]
United Nations
2024-08-05
[9]
서적
The Gulf And The Search For Strategic Stability
Taylor & Francis
[10]
문서
https://www.cia.gov/[...]
[11]
문서
https://www.cia.gov/[...]
[12]
서적
Somali Piracy and Terrorism in the Horn of Africa
Scarecrow Press
2012
[13]
서적
Arrivederci a Mogadiscio
Edizioni associate
1991
[14]
서적
Mending rips in the sky: options for Somali communities in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Red Sea Press
[15]
간행물
Somalia: A Country Study
Library of Congress
2009-10-21
[16]
서적
The New Communist Third World: an essay in political economy
Taylor & Francis
[17]
서적
The Cold War, 1945-1991: Leaders and other important figures in the Soviet Union, Eastern Europe, China, and the Third World
Gale Research
[18]
서적
Africa South of the Sahara 2001
Taylor and Francis
[19]
서적
Encyclopedia of international peacekeeping operations
ABC-CLIO
[20]
웹사이트
Somalia
http://www.mongabay.[...]
Mongabay.com
2012-09-18
[21]
간행물
ARR: Arab report and record
Economic Features, ltd.
[22]
웹사이트
Brothers in Arms Part I
http://wardheernews.[...]
WardheerNews
2012-02-28
[23]
간행물
New people
New People Media Centre, Comboni Missionaries
[24]
서적
Somalia: issues, history, and bibliography
Nova Publishers
[25]
논문
Somalia: Civil War, Intervention and Withdrawal(1990 - 1995)
https://academic.oup[...]
1996-01-01
[26]
뉴스
SOMALIA'S DESCENT TO MOBOCRACY
https://www.washingt[...]
2020-09-23
[27]
서적
Stopping Mass Killings in Africa: Genocide, Airpower, and Intervention
https://books.google[...]
DIANE Publishing
2009-05-01
[28]
서적
Making and Unmaking Nations: The Origins and Dynamics of Genocide in Contemporary Africa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2015-03-24
[29]
서적
Genocide, war crimes and the West: history and complicity
https://books.google[...]
Zed Books
2017-01-22
[30]
웹사이트
Somaliland massacre
https://www.aljazeer[...]
2014-02-06
[31]
서적
The New Communist Third World: An Essay in Political Economy
Taylor & Francis
[3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3]
서적
The Encyclopedia Americana: complete in thirty volumes. Skin to Sumac
Grolier
[34]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Worldmark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