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연방총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리아 연방총리는 오스트리아 내각을 이끌며, 대통령과 함께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한다. 오스트리아는 의회 공화국으로, 연방총리는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행사하며, 대통령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많다. 연방총리는 내각 회의를 주재하고, 법률안을 의회에 제출하며, 법률 공포 등의 권한을 갖는다. 연방총리의 권한은 개인적 역량, 소속 정당의 지위, 재무 장관과의 관계에 따라 달라진다. 9세기부터 재상(Kanzler)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을 거치며 다양한 정당 출신의 연방총리가 임명되었다. 연방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며, 임기 제한은 없지만, 의회의 불신임 투표로 해임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정부 - 오스트리아의 대통령
오스트리아 대통령은 국민 직접 선거로 선출되는 6년 임기의 국가 원수로서, 총리 임명 및 의회 해산 등 다양한 권한을 행사하며, 알렉산더 반 데어 벨렌은 무소속 최초의 대통령이자 의회 축출로 내각을 해임한 최초의 대통령이다. - 오스트리아의 연방총리 - 크리스티안 케른
크리스티안 케른은 오스트리아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오스트리아 연방철도 CEO와 오스트리아 총리를 역임하며 경영난 해소, 나치 희생자 추모, 난민 문제 해결, 유럽 통합 등에 기여했다. - 오스트리아의 연방총리 - 브리기테 비어라인
오스트리아의 법률가이자 정치인인 브리기테 비어라인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오스트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를 역임했으며, 법학 박사 학위 취득 후 검사, 검찰총장, 헌법재판소장을 지낸 중도우파 성향의 비정당 인사이다. - 오스트리아 - 크리스티안 케른
크리스티안 케른은 오스트리아의 기업인이자 정치인으로, 오스트리아 연방철도 CEO와 오스트리아 총리를 역임하며 경영난 해소, 나치 희생자 추모, 난민 문제 해결, 유럽 통합 등에 기여했다. - 오스트리아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은 1740년부터 1748년까지 마리아 테레지아의 오스트리아 계승을 둘러싸고 프로이센의 슐레지엔 침공으로 시작되어 유럽 전역으로 확대되었으며, 프로이센의 슐레지엔 점령과 오스트리아의 합스부르크 영토 유지, 그리고 프로이센의 강대국 부상과 7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오스트리아의 연방총리 | |
---|---|
기본 정보 | |
직책 | 연방 수상 |
국가 | 오스트리아 |
해당 정부 부처 | 연방 수상부 |
스타일 | 각하 (외교) |
유형 | 정부 수반 |
지위 | 최고 행정 기관 장관 |
구성원 | 내각 유럽 이사회 국가안전보장회의 |
거주지 | 연방 수상부 청사 빈, 이너레 슈타트, 발하우스플라츠 |
임명권자 | 대통령 |
임기 | 고정된 임기 없음 |
첫 임명 | 카를 레너 |
대리 | 부총리 |
연봉 | €306,446 (연간) |
웹사이트 | federal-chancellery.gv.at |
현직 | |
![]() | |
현직 | 카를 네하머 |
취임일 | 2021년 12월 6일 |
역사 | |
이전 직책 | 치슬라이타니아의 각료 의장 |
기타 | |
약칭 | 해당 없음 |
2. 오스트리아 정치 시스템에서의 연방총리의 지위
오스트리아의 연방총리는 내각을 이끌며, 내각은 연방총리, 부총리 및 장관으로 구성된다. 대통령과 함께 국가 원수이며, 내각은 국가의 최고 행정 기관이다. 오스트리아는 의회 공화국으로, 실질적인 권력은 정부 수반인 연방총리에게 있다.
"재상"(Kanzlerde)이라는 용어는 9세기부터 사용되었으며, 루트비히 2세 치하에서 대재상(Erzkanzlerde) 직책이 만들어졌다. 이후 신성 로마 제국 시대에는 선제후가 신성 로마 황제를 섬기는 고위직인 제국 재상(Reichserzkanzlerde) 직책이 창설되었고, 이 직책은 일반적으로 마인츠 대주교가 수행했다.[2]
연방총리는 대부분의 행정 행위를 시행하기 위해 대통령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입법부에서 연방총리의 권력은 소속 의원 단체의 의석수에 따라 달라진다. 연립 내각의 경우, 연방총리는 일반적으로 국민의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가진 정당의 대표가 맡는다.
3. 역사
제국 개혁 과정에서 합스부르크 황제 막시밀리안 1세는 1498년에 제국 궁정 재상(Hofkanzlerde)이라는 직책을 만들려고 했으나, 두 직책은 통합되었다.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이 탄생하면서 카를 레너가 Staatskanzlerde로 불리는 국가 재상으로 임명되었다.[23] 1920년 오스트리아 헌법 제정으로 연방총리(Bundeskanzlerde) 직책이 시행되었고, 1929년 수정 연방 헌법 시행으로 연방 대통령이 연방 총리를 임명하게 되었다.
제2공화국에서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과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이 번갈아 가며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연방총리직을 수행했다.[24]
연방 총리는 연방 정부의 업무를 조정하기 위해 주 1회 연방 정부 회의(각의)를 소집하여 의사를 진행한다. 연방 장관으로부터 제출되는 정부 안은 여러 절차를 거쳐 연방 정부 회의에서 결정되고, 필요에 따라 수정된 후 연방 총리가 결재하여 국민 의회 의장에게 보낸다. 의회에서 가결되고 연방 대통령이 인증한 법률은 연방 총리도 연방 헌법에 따라 부서한다. 법률은 연방 대통령과 연방 총리의 서명을 거쳐 관보에 게재된 후 공포된다.
오스트리아의 연방 총리는 독일의 연방 총리와 달리 헌법상 연방 장관에게 지침을 정할 권한이 없다. 다만, 연방 대통령이 연방 총리의 제의를 받아 연방 장관을 임면하는 절차에서 연방 총리가 우위에 선다. 그러나 실제로는 연립 정부에서 연방 총리가 의회 다수 유지를 위해 연립 상대 정당 소속 연방 장관의 해임을 제의하는 일은 드물다.
역대 연방 총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대 연방 총리 소속 정당 재임 기간 연립 여당 1 카를 레너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노동당 (SDAPÖ) 1918년 11월 12일 - 1920년 7월 7일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2 미하엘 마이어 기독교 사회당 (CS) 1920년 7월 7일 - 1921년 6월 21일 사회민주노동당 (SDAPÖ) 3 요한 쇼버 (제1차) 무소속 (관료) 1921년 6월 21일 - 1922년 1월 26일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4 발터 브라이스키 기독교 사회당 (CS) 1922년 1월 26일 - 1922년 1월 27일 없음 5 요한 쇼버 (제2차) 무소속 (관료) 1922년 1월 27일 - 1922년 5월 31일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6 이그나츠 자이펠 (제1차) 기독교 사회당 (CS) 1922년 5월 31일 - 1924년 11월 20일 대독일 인민당 (GDVP) 7 루돌프 라메크 기독교 사회당 (CS) 1924년 11월 20일 - 1926년 10월 20일 대독일 인민당 (GDVP) 8 이그나츠 자이펠 (제2차) -- 기독교 사회당 (CS) 1926년 10월 20일 - 1929년 5월 4일 대독일 인민당 (GDVP), 농민동맹 9 에른스트 슈트레루비츠 기독교 사회당 (CS) 1929년 5월 4일 - 1929년 9월 26일 농민동맹 10 요한 쇼버 (제3차) 무소속 (관료) 1929년 9월 26일 - 1930년 9월 30일 기독교 사회당 (CS) 11 카를 포고인 -- 기독교 사회당 (CS) 1930년 9월 30일 - 1930년 12월 4일 없음 12 오토 엔더 기독교 사회당 (CS) 1930년 12월 4일 - 1931년 6월 20일 없음 13 카를 부레슈 기독교 사회당 (CS) 1931년 6월 20일 - 1932년 5월 20일 농민동맹 14 엥겔베르트 돌푸스 기독교 사회당 (CS) 1932년 5월 20일 - 1933년 3월 4일[23] 농민동맹, 호국단 조국전선 (VF) 1933년 3월 4일 - 1934년 7월 25일 독재 (오스트로파시즘) 15 쿠르트 슈슈니크 조국전선 (VF) 1934년 7월 29일 - 1938년 3월 11일 독재 (오스트로파시즘) 16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24] 나치당 1938년 3월 11일 - 1938년 3월 13일 나치 독일로 합병
3. 1. 합스부르크 왕가
페르디난트 1세가 1521년 오스트리아 대공으로 그의 할아버지 막시밀리안 1세를 계승했을 때, 그의 형인 카를 5세 (1519–1556)는 메르쿠리노 가티나라를 "국왕의 모든 영토와 왕국의 대재상"(Großkanzler aller Länder und Königreichede)으로 임명했다. 오스트리아 궁정 재상의 분리된 지위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이 보헤미아 왕국과 헝가리를 상속받으면서 대략 1526년에 Österreichische Hofkanzleide로 나타났지만, 1559년에는 다시 신성 로마 제국의 Reichshofkanzleide 사무실과 합쳐졌다.
1620년 하얀 산 전투와 보헤미아 반란 진압 이후, 페르디난트 2세는 합스부르크 세습 영토의 통일성을 강화하기 위해 별도의 궁정 재판소를 설립했다. 보헤미아 및 헝가리 재판소 외에도 그는 빈에 오스트리아 재상 직을 창설하여, 오스트리아 대공국 ( 상부 및 하부 )과 이너 오스트리아, 티롤 백국을 담당하게 했다. 레오폴트 1세 (1658–1705) 시대에는 요한 파울 프라이헤어 폰 호허 (1667–1683) 및 테오도어 폰 슈트라트만 (1683–1693)이 Hofkanzlerde라는 용어를 다시 사용했다.[3]
18세기는 마리아 테레지아부터 프란츠 2세까지 네 명의 합스부르크 황제의 재상이었던 카우니츠-리트베르크 공 (1753–1792)이 지배했으며, Hofkanzlerde와 Staatskanzlerde라는 두 직함을 모두 가졌다. 그는 요한 필리프 폰 코벤츨 (1792–1793)이 계승했는데, 그는 폴란드 분할 문제로 황제 프란츠 2세에 의해 해임되었고, 요한 아마데우스 폰 투구트 (1793–1800)가 그 뒤를 이었다. 투구트의 재상직은 1800년 프랑스군과의 마렌고 전투와 호엔린덴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가 패배하면서 유지되지 못했고, 그는 그의 전임자의 사촌인 루트비히 폰 코벤츨 백작 (1800–1805)로 교체되었지만, 1805년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의 오스트리아 패배 이후 그 역시 해임되었다.
3. 2. 오스트리아 제국
1806년 신성 로마 제국이 해체되고 오스트리아 제국이 건국되면서, 프란츠 2세는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1세가 되었다. 클레멘스 폰 메테르니히 공작은 프란츠 1세에 의해 Hofkanzlerde(궁정 재상)과 Staatskanzlerde(국가 재상) (1821–1848)직에 임명되었다.[4] 1848년 혁명으로 국가 재상 칭호는 폐지되었고, 오스트리아의 장관-총리 직책으로 변경되었다.[3][5]
3. 3. 제1공화국과 제2공화국
Staatskanzlerde로 불렸던 카를 레너는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오스트리아 공화국이 탄생하면서 국가 재상으로 임명되었다.[23] 1920년, 오스트리아 헌법 제정으로 연방총리(Bundeskanzlerde) 직책이 시행되었다. 1929년, 수정 연방 헌법 시행으로 연방 대통령이 연방 총리를 임명하게 되었다.
제2공화국에서는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SPÖ)과 오스트리아 국민당(ÖVP)이 번갈아 가며 연립정부를 구성하고 연방총리직을 수행했다.[24]
대 | 연방 총리의 이름 | 소속 정당 | 재임 기간 | 연립 여당 | |
---|---|---|---|---|---|
1 | 카를 레너 Karl Renner (Staatskanzlerde)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노동당 (SDAPÖ) | 1918년11월 12일 - 1920년7월 7일 |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 |
2 | 미하엘 마이어 Michael Mayr | 기독교 사회당 (CS) | 1920년7월 7일 - 1921년6월 21일 | 사회민주노동당 (SDAPÖ) | |
3 | 요한 쇼버 Johann Schober (제1차) | 무소속 (관료) | 1921년6월 21일 - 1922년1월 26일 |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 |
4 | 발터 브라이스키 Walter Breisky | 기독교 사회당 (CS) | 1922년1월 26일 - 1922년1월 27일 | 없음 | |
5 | 요한 쇼버 Johann Schober (제2차) | 무소속 (관료) | 1922년1월 27일 - 1922년5월 31일 | 기독교 사회당 (CS) 대독일 인민당 (GDVP) | |
6 | 이그나츠 자이펠 Ignaz Seipel (제1차) | 기독교 사회당 (CS) | 1922년5월 31일 - 1924년11월 20일 | 대독일 인민당 (GDVP) | |
7 | 루돌프 라메크 Rudolf Ramek | 기독교 사회당 (CS) | 1924년11월 20일 - 1926년10월 20일 | 대독일 인민당 (GDVP) | |
8 | 이그나츠 자이펠 Ignaz Seipel (제2차) | -- | 기독교 사회당 (CS) | 1926년10월 20일 - 1929년5월 4일 | 대독일 인민당 (GDVP) 농민동맹 |
9 | 에른스트 슈트레루비츠 Ernst Streeruwitz | 기독교 사회당 (CS) | 1929년5월 4일 - 1929년9월 26일 | 농민동맹 | |
10 | 요한 쇼버 Johann Schober (제3차) | 무소속 (관료) | 1929년9월 26일 - 1930년9월 30일 | 기독교 사회당 (CS) | |
11 | 카를 포고인 Karl Vaugoin | -- | 기독교 사회당 (CS) | 1930년9월 30일 - 1930년12월 4일 | 없음 |
12 | 오토 엔더 Otto Ender | 기독교 사회당 (CS) | 1930년12월 4일 - 1931년6월 20일 | 없음 | |
13 | 카를 부레슈 Karl Buresch | 기독교 사회당 (CS) | 1931년6월 20일 - 1932년5월 20일 | 농민동맹 | |
14 | 엥겔베르트 돌푸스 Engelbert Dollfuß | 기독교 사회당 (CS) | 1932년5월 20일 - 1933년3월 4일[23] | 농민동맹 호국단 | |
조국전선 (VF) | 1933년3월 4일 - 1934년7월 25일 | 독재 (오스트로파시즘) | |||
15 | 쿠르트 슈슈니크 Kurt Alois Josef Johann Schuschnigg | 조국전선 (VF) | 1934년7월 29일 - 1938년3월 11일 | 독재 (오스트로파시즘) | |
16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24] Arthur Seyß-Inquart |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나치당) | 1938년3월 11일 - 1938년3월 13일 | 나치 독일로의 합병 |
대 | 연방 총리 이름 | 소속 정당 | 내각 | 취임일 | 퇴임일 | 연립 여당 | 기수 | |
---|---|---|---|---|---|---|---|---|
17 | 카를 레너 Karl Renner (Staatskanzlerde) | -- | 오스트리아 사회당 (SPÖ) | 임시 내각 | 1945년 4월 27일 | 1945년 12월 20일 | 국민당 (ÖVP) 공산당 (KPÖ) | - |
18 | 레오폴트 피들 Leopold Figl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1945년 12월 20일 | 1949년 11월 8일 | 사회당 (SPÖ) | 1 | |
제2차 | 1949년 11월 8일 | 1952년 10월 28일 | 2 | |||||
제3차 | 1952년 10월 28일 | 1953년 4월 2일 | ||||||
19 | 율리우스 라프 Julius Raab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1953년 4월 2일 | 1956년 6월 29일 | 사회당 (SPÖ) | 3 | |
제2차 | 1956년 6월 29일 | 1959년 7월 16일 | 4 | |||||
제3차 | 1959년 7월 16일 | 1960년 11월 3일 | 5 | |||||
제4차 | 1960년 11월 3일 | 1961년 4월 11일 | ||||||
20 | 알폰스 고르바흐 Alfons Gorbach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1961년 4월 11일 | 1963년 3월 27일 | 사회당 (SPÖ) | ||
제2차 | 1963년 3월 27일 | 1964년 4월 2일 | 6 | |||||
21 | 요제프 클라우스 Josef Klaus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1964년 4월 2일 | 1966년 4월 19일 | 사회당 (SPÖ) | ||
제2차 | 1966년 4월 19일 | 1970년 4월 21일 | 없음 | 7 | ||||
22 | 브루노 크라이스키 Bruno Kreisky | 오스트리아 사회당 (SPÖ) | 제1차 | 1970년 4월 21일 | 1971년 11월 4일 | 없음 | 8 | |
제2차 | 1971년 11월 4일 | 1975년 10월 28일 | 9 | |||||
제3차 | 1975년 10월 28일 | 1979년 6월 5일 | 10 | |||||
제4차 | 1979년 6월 5일 | 1983년 5월 24일 | 11 | |||||
23 | 프레트 지노바츠 Fred Sinowatz | 오스트리아 사회당 (SPÖ) | 제1차 | 1983년 5월 24일 | 1986년 6월 16일 | 자유당 (FPÖ) | 12 | |
24 | 프란츠 브라니츠키 Franz Vranitzky | 오스트리아 사회당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SPÖ) | 제1차 | 1986년 6월 16일 | 1987년 1월 21일 | 자유당 (FPÖ) | ||
제2차 | 1987년 1월 21일 | 1990년 12월 17일 | 국민당 (ÖVP) | 13 | ||||
제3차 | 1990년 12월 17일 | 1994년 11월 29일 | 14 | |||||
제4차 | 1994년 11월 29일 | 1996년 3월 12일 | 15 | |||||
제5차 | 1996년 3월 12일 | 1997년 1월 28일 | 16 | |||||
25 | 빅토르 클리마 Viktor Klima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SPÖ) | 제1차 | 1997년 1월 28일 | 2000년 2월 4일 | 국민당 (ÖVP) | ||
26 | 볼프강 쉬셀 Wolfgang Schüssel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2000년 2월 4일 | 2003년 2월 28일 | 자유당 (FPÖ) | 17 | |
제2차 | 2003년 2월 28일 | 2005년 4월 17일 | 18 | |||||
2005년 4월 17일 | 2007년 1월 11일 | 미래 연합 (BZÖ) | ||||||
27 | 알프레트 구젠바우어 Alfred Gusenbauer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SPÖ) | 제1차 | 2007년 1월 11일 | 2008년 12월 2일 | 국민당 (ÖVP) | 19 | |
28 | 베르너 파이만 Werner Faymann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SPÖ) | 제1차 | 2008년 12월 2일 | 2013년 12월 16일 | 국민당 (ÖVP) | 20 | |
제2차 | 2013년 12월 16일 | 2016년 5월 9일 | 21 | |||||
- | 부총리 라인홀트 미터레너(오스트리아 국민당)에 의한 임시대행 (2016년 5월 9일 - 2016년 5월 17일) | |||||||
29 | 크리스티안 케른 Christian Kern | 오스트리아 사회민주당 (SPÖ) | 제1차 | 2016년 5월 17일 | 2017년 12월 18일 | 국민당 (ÖVP) | ||
30 | 세바스티안 쿠르츠 Sebastian Kurz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2017년 12월 18일 | 2019년 5월 28일 | 자유당 (FPÖ) | 22 | |
- | Hartwig Lög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2019년 5월 28일 | 2019년 6월 3일 | |||
31 | 브리깃테 비어라인 Brigitte Bierlein | 무소속 | 제1차 | 2019년 6월 3일 | 2020년 1월 7일 | |||
32 | 세바스티안 쿠르츠 Sebastian Kurz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2차 | 2020년 1월 7일 | 2021년 10월 11일 | 녹색당 (GRÜNE) | 23 | |
33 | 알렉산더 샬렌베르크 Alexander Schallenberg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2021년 10월 11일 | 2021년 12월 6일 | 녹색당 (GRÜNE) | ||
34 | 카를 네하머 Karl Nehammer | 오스트리아 국민당 (ÖVP) | 제1차 | 2021년 12월 6일 | 재임중 | 녹색당 (GRÜNE) |
4. 임명 및 임기
연방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된다.[6] 이론적으로 대통령은 국회에 선출될 자격이 있는 사람, 즉 18세 이상의 모든 오스트리아 국민을 임명할 수 있다.[7] 그러나 실제로는 연방총리가 국회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통치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연방총리는 대개 국회에서 가장 큰 정당의 대표이거나 연립 정부의 주요 파트너이다.
연방총리에게는 임기 제한이 없다. 헌법 관례에 따라 연방총리는 일반적으로 국회가 해산되면 대통령에게 사임을 제안한다. 대통령은 대개 사임 제안을 거부하고 연방총리와 내각에게 새로운 국회가 소집되고 새로운 다수 대표가 나타날 때까지 과도 정부로서 운영하도록 지시한다. 사실, 헌법은 대통령이 임시 후임자로 연방총리를 사용할 것을 명시적으로 권장한다.[8]
연방총리는 일반적으로 모든 장관과 함께 임명되거나 해임되는데, 이는 정부 전체를 의미한다. 기술적으로 대통령은 연방총리의 조언에 따라 장관을 임명할 수 있으므로 연방총리가 먼저 임명된다. 선서를 마친 연방총리는 대통령에게 장관 명단을 제출하며, 이들은 대개 불과 몇 분 후에 임명된다. 연방총리나 장관 모두 국회의 양원으로부터 인준을 받을 필요가 없으며, 임명된 사람은 선서를 마친 직후 각자의 직무를 수행할 수 있다.[9]
국회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대통령에게 연방총리 또는 장관을 해임하도록 강요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회가 원하면 어떤 장관이라도 해임해야 한다.[10]
5. 권한
오스트리아 연방총리는 내각 회의를 주재한다. 헌법은 연방총리에게 장관에게 지시할 권한을 부여하지 않으며, 내각에서의 역할을 '수석'으로 규정한다.[13] 연방총리는 개인적인 권력, 최대 정당의 당수라는 지위, 연방 재무 장관과의 협력 등을 통해 권한을 행사한다.
총리 직을 언급하는 헌법 조항의 대부분은 대통령 또는 다양한 헌법 기구의 결정을 공증하고, 이러한 결정이 일반 대중에게 적절하게 발표되도록 보장하며, 정부의 다양한 부서 간의 중재자 역할을 하는 책임을 현직자에게 부여한다. 특히 총리는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국민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을 대통령에게 인증을 위해 제출한다.
- 대통령이 만든 법안 인증에 부서한다.[14]
- 법률이 된 법안을 공포한다.
- 오스트리아 공화국이 비준한 조약을 공포한다.[15]
- 법률 또는 행정 명령을 뒤집는 헌법재판소 결정을 공포한다.[16]
- 대통령 선거 결과를 공포한다.[17]
- 연방 평의회에서 채택한 절차 규칙 변경 사항을 공포한다.[18]
- 연방 의회에서 결정된 사항에 부서한다.[19]
- 전쟁 선포를 공포한다.
- 법으로 제정되기 위해 동의가 필요한 국민의회에서 통과된 법안을 지방 정부에 통지한다.[20]
총리는 또한 국민의회가 대통령의 해임을 추진하거나, 국민의회가 대통령의 형사 기소 면제를 해제하려는 경우 연방 의회를 소집한다.[21] 전자의 경우 연방 의회는 해당 문제에 대한 국민 투표 허용 여부를 투표한다. 후자의 경우, 대통령의 면책을 해제하려면 연방 의회의 동의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총리는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대통령 직무 대행이 된다. 그러나 대통령이 20일 이상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사망한 경우, 대통령 직무 대행 역할은 국민의회 3명의 의장에게 넘어간다.[22]
연방 총리가 연방 대통령에 의해 임명되게 된 것은 수정 연방 헌법이 시행된 1929년 12월 7일의 일이며, 그 전까지는 국민의회가 연방 정부를 선출했다. 헌법 규정에 따르면, 연방 대통령은 자유롭게 연방 총리를 임명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국민의회의 다수파에서 선출해야 한다.
연방 총리는 연방 대통령에게 다른 연방 장관의 인선에 대해 제의할 수 있다. 선서가 이루어짐으로써 연방 정부 및 연방 총리는 즉시 권한을 부여받게 되며, 연방 정부의 임명 시에는 국민의회의 인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러나 국민의회는 연방 정부 또는 개별 연방 장관에 대한 불신임을 결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방 대통령은 연방 정부 또는 개별 연방 장관을 해임해야 한다. 또한 연방 대통령은 연방 총리의 제의를 받아 개별 연방 장관을 해임할 수 있다.
6. 역대 연방총리 목록
(오스트리아의 역대 연방총리 목록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ustria's first female chancellor to lead interim government
https://www.thelocal[...]
2019-05-31
[2]
웹사이트
Interdisziplinärer Arbeitskreis Kurmainz und der Erzkanzler des Reiches: Reichserzkanzler
https://web.archive.[...]
2012-09-20
[3]
서적
Cambridge Modern History vol xiii 1911
https://archive.org/[...]
Forgotten Books
2012-09-20
[4]
웹사이트
Kaisergruft: Metternich
http://www.kaisergru[...]
2012-01-15
[5]
웹사이트
Austria Forum Web Books Viewer
https://web.archive.[...]
2012-09-23
[6]
문서
Federal Constitutional Law (Austrian act) article 70
[7]
문서
B-VG art. 26
[8]
문서
B-VG art. 71
[9]
문서
B-VG art. 70
[10]
문서
B-VG art. 74
[11]
뉴스
What happens if Austria's chancellor is voted out?
https://www.dw.com/e[...]
DW
2019-05-21
[12]
뉴스
Austrian Chancellor Sebastian Kurz ousted in no-confidence vote.
https://www.euronews[...]
euronews.com
2019-05-27
[13]
문서
B-VG art. 69
[14]
문서
B-VG art. 47
[15]
문서
B-VG art. 49
[16]
문서
B-VG art. 140
[17]
문서
B-VG art. 60
[18]
문서
B-VG art. 37
[19]
문서
B-VG art. 40
[20]
문서
B-VG art. 42a
[21]
문서
B-VG art. 63
[22]
문서
B-VG art. 64
[23]
문서
議会を停止して、民主政から独裁体制へと転換。ドルフースとシュシュニックを中心としたオーストロファシズム体制が形成された。
[24]
문서
第一共和政最後の連邦大統領ヴィルヘルム・ミクラスは、ナチス体制から強い圧力を受けて、オーストリア国家社会主義者のザイス=インクヴァルトを連邦首相に任命した。ザイス=インクヴァルトはアンシュルス|ドイツへの合邦を進めるために、連邦首相の機能を停止させ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