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연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인터넷 미디어 <오마이뉴스>의 창간자이다. 1988년 연세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 학위를 받았으며, 월간 말 기자, 워싱턴 특파원을 거쳐 2000년 '모든 시민은 기자다'를 모토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했다. 2013년 덴마크의 교육 현장을 취재한 후, 행복 사회에 대한 책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를 발간하고, 강연을 통해 '꿈틀거리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현재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으로 활동하며, 저서로는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마이뉴스 - 이돈직
일제강점기 항일운동 관련 행적에 대한 논란이 있는 이돈직은 기념비 건립 후 항일운동 행적의 진위 여부에 대한 의혹이 제기되어 법원에서 항일운동 행적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판결을 받았고, 관련 기념물들은 철거되어 현재는 비문만 남아있다. - 오마이뉴스 - 오마이뉴스에 대한 비판
오마이뉴스에 대한 비판은 시민 기자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오마이뉴스가 전문성 부족, 왜곡 보도, 오보, 편향성 논란 등으로 비판받는 현상을 의미하며, 팩트 확인 미흡, 특정 정치 성향, 자극적인 내용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 서강대학교 대학원 동문 - 변양균
변양균은 대한민국의 경제관료, 기업인, 대학교수로, 경제기획원, 재정경제원, 기획예산처 등에서 주요 보직을 역임하고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서 핵심 직책을 맡아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했으며, 공직 은퇴 후 기업 회장과 윤석열 정부의 경제고문으로 활동하며 저서도 출간했다. - 서강대학교 대학원 동문 - 서병수
1952년 울산에서 태어난 서병수는 경제학 박사 출신으로 포드 자동차와 한국기계연구원 근무 후 해운대구청장, 5선 국회의원, 부산시장을 역임한 친박계 정치인이지만 2024년 총선에서 낙선했다. - 성공회대학교 교수 - 신영복
신영복은 대한민국의 경제학자, 사회운동가, 대학교수, 저술가로서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수감 생활 중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집필하여 반향을 일으켰고, 출소 후 관계론을 중심으로 사상을 발전시키며 독특한 서체로 민중과 소통했으며, 다수의 저서를 남겼다. - 성공회대학교 교수 - 유송화
유송화는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서울시립대학교와 동국대학교에서 학위를 받았으며, 서울특별시 노원구의회 의원,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 대통령비서실 행정관, 청와대 춘추관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오연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연호 |
한자 | ! |
로마자 표기 | O Yeon-ho |
출생일 | 1964년 9월 18일 |
출생지 | 전라남도 곡성군 |
학력 | |
대학교 |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 학사 |
대학원 | 서강대학교 언론학 석사, 박사 |
기타 | 리전트 대학교 |
직업 | |
직업 | 언론인, 교육자 |
소속 | 前 월간 <말> 기자 겸 취재부장 前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 편집국장, 대표이사 前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장 사단법인 꿈틀리 이사장 오마이뉴스, 사단법인 꿈틀리 |
주요 활동 | |
직책 | 오마이뉴스 CEO 및 편집장,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장 |
저서 |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2009, 오마이뉴스) 『진보집권플랜』(2010, 오마이북) 『새로운 100년』(2012, 오마이북)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2014, 오마이북)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오마이뉴스 사단법인 꿈틀리 꿈틀리 인생학교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블로그 |
이미지 | |
![]() |
2. 생애
오연호는 1964년 전라남도 곡성에서 태어나 연세대학교 국문학과에 진학했다. 대학교 4학년 때 쓴 '독재 정권 비판 유인물'이 중앙일간지 사회면 머리기사로 보도되면서 주목받았다. 1988년부터 월간 말에서 12년간 기자로 일했으며, 2000년 2월 22일 '모든 시민은 기자다'를 모토로 하는 인터넷 미디어 오마이뉴스를 창간했다.[1]
2006년에는 오마이뉴스의 개척적인 개발과 그로 인한 사회 변혁적 공헌으로 워튼 인포시스 비즈니스 변혁상을 수상했다.[3]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64년 9월 18일 전라남도 곡성에서 태어났다. 소설가가 되고 싶어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 진학했다. 대학 4학년 때 쓴 '독재 정권 비판 유인물'이 중앙일간지 사회면 머리기사로 보도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1988년 연세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 학위를, 1998년 리전트 대학교에서 저널리즘 석사 학위를, 서강대학교에서 대중매체 커뮤니케이션 박사 학위를 받았다.[3]2. 2. 언론 활동과 오마이뉴스 창간
1988년부터 월간 말에서 12년 동안 기자로 일했다.[1]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월간 말 워싱턴 특파원으로 활동했다.[1] 2000년 2월 22일, '모든 시민은 기자다'라는 모토를 내걸고 인터넷 미디어 오마이뉴스를 창간했으며,[1] 오마이뉴스 편집국장과 대표를 역임했다.[1] 2007년부터 2009년까지는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2. 3. 오마이뉴스 이후 활동: '꿈틀리'
2013년 세계에서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덴마크의 교육현장을 취재하며 행복사회로 가는 길을 모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2014년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한국어 책을 발간했다. 이후 대중들과 행복한 인생과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전국을 순회하며 약 1600여 차례 강연을 펼쳤다. 한 권의 책으로 시작된 강연은 강연 현장에서 '꿈틀거리는 사람'들을 만나 꿈틀거리는 사람들의 네트워크로 발전했다. 4년 동안 950회가 넘는 강연을 했고, 10만 명의 독자들을 만났다. 그리고 그들과 함께 꿈틀거리며 찾아낸 행복한 인생의 비밀을 다시 한 권의 책으로 엮었다. 행복한 인생, 행복한 사회를 실천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인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한국어이다.현재 오연호 대표는 꿈틀리인생학교의 이사장으로 활동 중이며, 2016년 10월 '[https://web.archive.org/web/20171222162635/http://ggumtle.com/home 사단법인 꿈틀리]'가 탄생했다.
3. 언론 경력
4. 학력
5. 수상 경력
6. 저서
- 《노무현, 마지막 인터뷰》오마이뉴스. 2009년
- 《진보집권플랜》오마이북. 2010년
- 《새로운 100년》오마이북. 2012년
- 《정치의 즐거움》오마이북. 2013년
-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오마이북. 2014년
-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 오마이북. 2018년
참조
[1]
웹사이트
OhmyNews
http://www.ohmynews.[...]
[2]
웹사이트
silicon.com
https://web.archive.[...]
[3]
뉴스
오연호 대표와의 만남, 상상과는 달랐다
http://news.naver.co[...]
오마이뉴스
2013-10-29
[4]
뉴스
'오연호의 기자 만들기' 50기 맞아 총동창회
http://news.naver.co[...]
미디어오늘
2014-06-27
[5]
간행물
오연호 “우리도 행복할 수 있을까? 묻는다면”
http://ch.yes24.com/[...]
채널예스
2014-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