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와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와레는 만칼라 게임군에 속하는 2인용 추상 전략 게임으로, 아프리카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널리 행해진다. 각자 6개의 구멍을 가진 두 줄의 보드에서 씨앗을 뿌리고 획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상대방보다 많은 씨앗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와레는 사교적인 놀이로, 또는 교육적인 도구로 활용되기도 하며, 단순한 규칙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전략이 존재한다. 컴퓨터 과학에서는 해결된 게임으로, 최적의 플레이를 할 경우 무승부로 끝나는 것이 증명되었다.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 규칙이 존재하며, 1964년에는 상업적인 버전으로 출시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상전략게임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추상전략게임 - 체커
체커는 두 명이 말을 대각선으로 이동시켜 상대방의 말을 모두 잡거나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전략 보드 게임으로, 말의 이동, 말 먹기, 왕의 특수 능력 규칙을 가지며, 인공지능 연구 대상으로서 2007년 완벽한 플레이가 구현되었고, 세계 체커 연맹 등 여러 기관에서 대회를 주최하며 다양한 변형 규칙이 존재한다.
오와레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아반소 은초 와리 아요 옴웨소 바오 만칼라 |
분류 | |
종류 | 만칼라 게임 |
플레이어 수 | 2명 |
기술 | 전략, 계산 |
역사 및 문화 | |
기원 | 가나 |
문화적 의미 | 아칸족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함 |
보드 형태 | 직사각형 보드에 두 줄로 구멍이 파여 있음 (일반적으로 각 줄에 6개씩) |
게임 플레이 | |
씨앗 수 | 각 구멍에 씨앗 4개씩 (총 48개) |
목표 | 상대방보다 더 많은 씨앗을 획득 |
규칙 | 씨앗을 뿌리고, 상대방 구멍에 특정 수의 씨앗이 있으면 획득 가능 |
변형 | |
지역별 변형 | 다양한 지역에서 다양한 규칙과 보드 형태가 존재 |
관련 게임 | 만칼라 게임의 다른 종류들과 유사한 규칙을 공유 |
기타 | |
특징 | 간단한 규칙이지만 깊이 있는 전략이 요구됨 |
인기도 | 아프리카 및 전 세계적으로 널리 플레이됨 |
2. 역사와 사회
오와레는 아마도 만칼라 게임군에서 가장 널리 퍼진 게임일 것이다.
오와레는 48개의 씨앗과 12개의 구멍이 있는 게임판을 사용하는 게임이다. 각 플레이어는 6개의 구멍을 관리하며, 상대방보다 많은 씨앗을 획득하는 것이 목표이다. 게임판에는 자신이 딴 씨앗을 보관하는 공간이 따로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판 밖에 씨앗을 놓아두고 득점을 비교한다.
보노 주, 아샨티 시국, 앤티가 바부다의 국기(國技) 게임으로 여겨지는 오와레는 그 이름(문자 그대로 "그/그녀는 결혼한다"는 의미)이 아칸어와 트위어, 즉 아칸족의 언어로 된 전설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는데, 한 남자와 여자가 끝없이 이 게임을 했고, 함께 머물면서 계속 게임을 하기 위해 결혼했다는 내용이다.[8][9]
전통적인 아프리카의 가치를 반영하여 오와레를 하는 사람들은 구경꾼들의 참여를 장려하며, 이는 아마도 가장 사교적인 2인 추상 게임일 것이다. 오락으로 하는 게임에서는 구경꾼들이 진행 중인 게임에 대해 논의하고 선수들에게 조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게임은 엔터테인먼트와 다른 사람들과의 만남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이 게임, 또는 그 변형은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산수를 가르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3. 규칙
게임을 시작할 때 12개의 칸에 씨앗을 4개씩 놓는다. 어느 쪽이 먼저 시작할지 정하고, 자기 진영의 한 곳을 골라 그곳의 씨앗을 모두 든 다음 반시계 방향으로 다음 칸에 하나씩 뿌린다. 이때 씨앗을 고른 칸이나 득점을 나타내는 칸에는 씨앗을 뿌리지 않는다.
만약 씨앗을 뿌린 후 마지막 씨앗이 떨어진 상대방 진영의 칸에 씨앗이 2개나 3개가 되면 그 씨앗을 가져온다. 또한 그 칸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연속해서 상대방 진영의 칸에 씨앗이 2개나 3개가 있다면 그 씨앗들도 모두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상대방의 모든 씨앗을 가져오는 것은 규칙에 따라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아바파" 규칙은 어른들의 진지한 놀이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변형 규칙이다. 이 규칙에서도 각 집에 4개의 씨앗을 놓고 시작하며, 25개의 씨앗을 획득하면 승리한다. 씨앗의 수가 짝수이기 때문에 각 플레이어가 24개씩 획득하여 무승부로 끝날 수도 있다.
3. 1. 기본 규칙
오와레는 12개의 칸에 씨앗 4개씩을 놓고 시작한다.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진영에 있는 6개의 칸을 관리한다. 게임의 목표는 상대방보다 많은 씨앗을 획득하는 것으로, 총 48개의 씨앗 중 25개를 획득하면 승리한다. 씨앗의 수가 짝수이므로, 각 플레이어가 24개씩 획득하여 무승부로 끝날 수도 있다.
플레이어는 번갈아 가며 자신의 차례에 자신이 관리하는 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칸에 있는 모든 씨앗을 집어 든다. 집어 든 씨앗은 반시계 방향으로 각 칸에 하나씩 뿌린다. 이를 ''파종''이라고 부른다. 씨앗을 꺼낸 칸이나 점수 칸에는 씨앗을 뿌리지 않는다. 만약 씨앗이 12개 이상이라면, 씨앗을 꺼낸 칸은 건너뛰고 다음 칸에 12번째 씨앗을 놓는다.
마지막 씨앗이 떨어진 칸이 상대방 진영이고, 그 칸에 씨앗이 2개나 3개가 되면, 그 씨앗을 획득한다.[5] 또한, 마지막 씨앗이 떨어진 칸에서부터 시계 방향으로 연속해서 상대방 진영의 칸에 씨앗이 2개나 3개가 있다면, 그 씨앗들도 모두 획득한다. 획득한 씨앗은 자신의 점수 칸에 놓거나, 점수 칸이 없으면 따로 보관한다.
하지만, 상대방의 모든 씨앗을 획득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만약 상대방의 모든 씨앗을 획득하면 상대방이 게임을 계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그랜드 슬램"이라고 하며, 다양한 규칙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랜드 슬램이 가능한 경우 몰수패가 되거나, 획득이 무효화되고 상대방에게 차례가 넘어가는 등의 규칙이 있다.
상대방의 칸이 모두 비어 있다면, 현재 플레이어는 상대방에게 씨앗을 줄 수 있는 수를 두어야 한다. 만약 그러한 수가 불가능하다면, 현재 플레이어는 자신의 진영에 있는 모든 씨앗을 획득하고 게임이 종료된다.
한 플레이어가 25개 이상의 씨앗을 획득하거나, 양쪽 모두 24개씩 획득하면 게임이 종료된다. 만약 두 플레이어 모두 게임이 무한 반복된다는 데 동의하면, 각 플레이어는 자신의 칸에 있는 씨앗을 획득하고 게임을 종료할 수 있다.
3. 2. 그랜드 슬램
그랜드 슬램은 한 턴에 상대방의 모든 씨앗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6] 그랜드 슬램에 대한 규칙은 다양하며, 다음과 같은 변형 규칙이 존재한다.[6]
다양한 다른 규칙도 존재한다.
2002년 암스테르담의 자유 대학교의 앙리 발과 존 로메인에 의해 그랜드 슬램으로 게임을 종료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은 강하게 풀렸다. 어느 쪽이든 무승부를 강제할 수 있다.[7]
4. 도구
오와레 게임은 48개의 씨앗과 12개의 구멍이 두 줄로 배열된 게임판을 사용한다. 일반적인 오와레 판은 "집"이라고 불리는 6개의 구멍이 두 줄로 나란히 있으며, 각 끝에 큰 "점수" 집이 하나씩 있기도 하다. 각 플레이어는 자기 쪽에 있는 6개의 집과 점수 집을 관리한다. 게임은 12개의 작은 집에 각각 4개의 씨앗을 놓고 시작한다.[1]
게임판은 정교하게 조각되거나 단순하고 실용적일 수 있다. 받침대가 있거나, 길이 또는 가로로 접을 수 있도록 경첩이 달려 씨앗을 안에 넣은 채로 휴대하고 보관할 수 있다. 점수 집은 양쪽 끝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곳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줄이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다.[1]
카리브해에서는 씨앗으로 일반적으로 매끄럽고 반짝이는 닉커넛을 사용한다. 구슬과 조약돌도 때때로 사용된다. 서양에서는 일부 저렴한 세트에서 타원형 구슬을 사용하며, 일부 관광객용 세트에서는 바다 고둥 껍데기를 사용한다.[1]
5. 이론
오와레는 컴퓨터 분석 결과 해결된 게임으로, 최선의 플레이를 할 경우 어느 쪽 플레이어든 무승부를 강제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
6. 변형 규칙
오와레에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 다양한 변형 규칙이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아바파(Awale) 규칙이 있으며, 이 외에도 그랜드 슬램 규칙 등 세부적인 규칙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그랜드 슬램은 한 턴에 상대방의 모든 씨앗을 획득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과 같은 규칙의 변형이 적용될 수 있다.[6]
# 그랜드 슬램 획득은 허용되지 않는 수이다.
# 그러한 수는 허용되지만, 획득은 발생하지 않는다. 국제 대회는 종종 이 규칙을 따른다.
# 그랜드 슬램 획득은 허용되지만, 보드에 남아있는 모든 돌은 상대방에게 주어진다.
# 그러한 수는 허용되지만, 마지막(또는 첫 번째) 집은 획득되지 않는다.
다양한 다른 규칙도 존재한다.
그랜드 슬램으로 게임을 종료하는 것을 허용하는 변형은 2002년 암스테르담의 자유 대학교의 앙리 발과 존 로메인에 의해 강하게 풀렸다. 어느 쪽이든 무승부를 강제할 수 있다.[7]
7. 상업적 버전
1964년 3M에서 ''오와레(Oh-Wah-Ree)''라는 이름으로 상업용 버전의 보드 게임을 판매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Oware
http://boardgamegeek[...]
2017-12-20
[2]
웹사이트
Oware - Played all over the world
http://www.oware.org[...]
2017-12-20
[3]
웹사이트
African Games of Strategy: A Teaching Manual
https://books.google[...]
African Studies Program,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17-12-20
[4]
서적
Ghana
https://books.google[...]
Capstone
1999
[5]
웹사이트
Rules of oware - Aualé
http://www.joansala.[...]
2017-12-20
[6]
서적
How to Play Warri : The Caribbean Oware Mancala Game
Purple Squirrel Productions
2017-11
[7]
간행물
Awari is Solved
https://ilk.uvt.nl/i[...]
2015-04-19
[8]
웹사이트
"Oware - History, Rules and Play", Games from Everywhere.
http://www.gamesfrom[...]
2017-12-20
[9]
서적
Ghana
https://books.google[...]
Capstone
1999
[10]
간행물
Awari Is Solved
https://citeseerx.is[...]
2023-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