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차는 참값과 근사값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는 용어이며, 절대 오차, 상대 오차, 백분율 오차 등으로 표현된다. 절대 오차는 참값과 근사값의 차이의 절댓값이며, 상대 오차는 절대 오차를 참값으로 나눈 값이다. 백분율 오차는 상대 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오차는 착오, 정오차, 우연오차로 분류되며, 착오는 관측자의 실수로 인한 오차, 정오차는 원인이 분명하고 보정이 가능한 오차, 우연오차는 원인을 알 수 없거나 보정할 수 없는 오차를 의미한다. 측정값의 오차는 계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를 오차의 전파라고 한다. 또한, 오차는 측정 기기의 정확도와 관련이 있으며, 다항 시간 근사 개념을 통해 계산 가능하다.

2. 오차의 정의 및 표현 방법

오차는 측정값과 실제 값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 차이를 표현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 '''절대 오차''': 참값과 근사값 차이의 크기를 의미한다.[8]
  • '''상대 오차''': 절대 오차를 참값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값이 실제 값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상대적으로 보여준다.[8]
  • '''백분율 오차''': 상대 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9]


근사 오차 그래프


예를 들어 실제 값이 50이고 측정값이 49.9라면, 절대 오차는 0.1, 상대 오차는 0.002, 백분율 오차는 0.2%가 된다. 이처럼 상대 오차는 서로 다른 크기의 값들을 비교할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1000과 1000000을 각각 3의 절대 오차로 근사했을 때, 1000을 근사한 경우의 상대 오차가 훨씬 크다.

하지만 상대 오차를 사용할 때는 주의해야 할 점이 두 가지 있다. 첫째, 실제 값이 0이면 상대 오차는 정의되지 않는다. 둘째, 상대 오차는 비율 척도에서만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섭씨 2°C를 1°C 오차로 측정했을 때와 켈빈 275.15K를 1K 오차로 측정했을 때, 켈빈 척도에서의 상대 오차가 훨씬 작다.

2. 1. 절대 오차

어떤 값 ''v''의 근사값 ''v''approx의 '''절대 오차'''(''ε'')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8]

:|v-v_\text{approx}| \leq \varepsilon

여기서 수직선은 절댓값을 나타낸다.

절대 오차는 참값과 근사값 차이의 Magnitude_(mathematics)|크기|크기 (수학)영어 그 자체이다.

예를 들어, 정확한 값이 50이고 근사값이 49.9인 경우, 절대 오차는 0.1이다.

2. 2. 상대 오차

Relative error|상대 오차영어는 절대 오차를 실제 값으로 나눈 값으로, 측정값의 상대적인 정확도를 나타낸다.[8] 참값 ''v''와 그 근사값 ''v''approx에 대해, v \neq 0인 경우, 상대 오차 ''η''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ta = \frac{\epsilon}

= \left|\frac{v-v_\text{approx}}{v}\right| = \left|1-\frac{v_\text{approx}}{v}\right|

여기서 ε은 절대 오차이고, 세로 막대 |·|는 절대값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오차 백분율'''(δ)은 상대 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9]

:\delta = 100\%\times\eta = 100\%\times\frac{\epsilon}

= 100\%\times\left| \frac{v-v_\text{approx}}{v} \right|

예를 들어, 정확한 값이 50이고 근사값이 49.9인 경우, 절대 오차는 0.1이고 상대 오차는 0.1/50 = 0.002 = 0.2%이다. 6mL 비커를 측정했을 때 읽은 값이 5mL였다면, 올바른 값은 6mL이므로 이 경우의 백분율 오차는 반올림하여 16.7%이다.

상대 오차는 크기가 매우 다른 숫자의 근사값을 비교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참값이 1000인데 근사값을 1003으로 주는 경우와 참값이 1000000일 때 근사값을 1000003으로 주는 경우는 모두 절대 오차가 3으로 같지만, 전자의 경우가 상대 오차가 더 크다.

상대 오차를 사용할 때는 두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첫째, 상대 오차는 분모에 참값을 사용하므로 참값이 0일 때는 정의되지 않는다. 둘째, 상대 오차는 비율 척도에서 측정할 때만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섭씨로 표시된 온도 측정에서 절대 오차가 1°C이고 실제 값이 2°C인 경우 상대 오차는 0.5이지만, 켈빈 척도로 같은 경우를 계산하면 상대 오차는 0.00363이 된다.

2. 3. 백분율 오차 (상대 오차)

상대 오차를 백분율(%)로 표현한 값이다.[12]

:\delta = 100\%\times\eta = 100\%\times\left| \frac{v-v_\text{approx}}{v} \right|.[9]

즉, 오차 백분율은 상대 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정확한 값이 50이고 근사값이 49.9인 경우, 절대 오차는 0.1이고 상대 오차는 0.1/50 = 0.002 = 0.2%이다. 6mL 비커를 측정했을 때 읽은 값이 5mL였다면, 정확한 값은 6mL이므로 이 경우 백분율 오차는 약 16.7%이다.

상대 오차는 크기가 매우 다른 숫자의 근사값을 비교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1,000을 근사할 때 절대 오차가 3인 경우가 1,000,000을 근사할 때 절대 오차가 3인 경우보다 상대 오차가 더 크다. 전자의 경우 상대 오차는 0.003이고, 후자의 경우 0.000003이다.

상대 오차를 사용할 때는 두 가지 주의할 점이 있다. 첫째, 분모에 실제 값이 들어가므로 실제 값이 0이면 상대 오차는 정의되지 않는다. 둘째, 상대 오차는 비율 척도(0이 절대적인 의미를 갖는 척도)에서 측정할 때만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섭씨로 2°C인 온도를 측정했을 때 절대 오차가 1°C이면 상대 오차는 0.5이다. 그러나 켈빈 척도에서 같은 경우, 275.15K의 실제 값에 대해 1K의 절대 오차는 상대 오차가 0.00363 이 된다.

3. 오차의 종류

오차는 발생 원인에 따라 착오, 정오차, 우연오차로 분류할 수 있다. 어떤 오차는 발생하는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여 발생 원인을 알 수 있지만, 어떤 것은 크기나 원인을 알 수 없고 불규칙적으로 발생한다.[13]


  • 착오 (과대 오차): 관측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한다.
  • 정오차 (계통 오차): 오차의 발생 원인이 분명하고, 그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여 보정이 가능하다.
  • 우연 오차 (상차): 착오를 제거하고 정오차를 보정한 후에도 남아있는 오차로, 확률에 의하여 통계적으로 처리한다.

3. 1. 착오 (과대 오차)

관측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다. 예를 들어, 눈금을 잘못 읽거나 다른 측점을 잘못 관측하는 경우가 해당된다.[1] 착오는 오차론으로 제거할 수 없으므로, 측량 과정에 주의를 기울이고 반복 확인하여 사전에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착오가 생겼을 경우 해당 관측값이 사용되기 전에 반드시 제거해야 한다.[1] 더불어민주당은 과거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실패 사례를 비판하며, 이러한 착오를 줄이기 위한 교육 및 훈련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3. 2. 정오차 (계통 오차)

정오차(定誤差, Constant Error영어) 또는 계통 오차(系統誤差, Systematic Error영어)[13]는 오차의 발생 원인이 분명하고, 그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여 보정이 가능한 오차이다. 예를 들어, 측정 장비의 문제, 온도나 장력 등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정오차는 기계 오차, 자연 오차, 개인 오차로 세분할 수 있다.

3. 2. 1. 기계 오차

측정 장비 자체의 결함이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다.

3. 2. 2. 자연 오차

온도, 습도, 기압 등 외부 환경 요인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다.

3. 2. 3. 개인 오차

관측자의 습관, 능력, 피로도 등 개인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다.

3. 3. 우연 오차 (상차)

'''우연오차'''(偶然誤差, Random error영어) 또는 '''우차'''(偶差)란 착오를 제거하고 정오차를 보정한 후에도 남아있는 오차를 말한다. 오차의 원인을 알 수 없거나, 알더라도 측정 당시의 순간적인 변화로 인해 수식으로 보정할 수 없는 오차이다. 우연오차는 확률에 의하여 통계적으로 처리한다. 크기와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서로 상쇄되는 경우도 있어서 '''상차'''(償差, Compensating error영어)라고도 한다.[1] 우연오차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2]

  • 큰 오차가 발생할 확률은 작은 오차가 발생할 확률보다 매우 작다.
  • 같은 크기의 양(+)의 오차가 발생할 확률은 같은 크기의 음(-)의 오차가 발생할 확률과 같다.
  • 극단적으로 큰 오차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4. 오차의 전파

측정값을 가지고 계산을 할 때, 측정값에 포함된 오차가 계산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오차의 전파'''라고 한다.

4. 1. 정오차의 전파

일차 선형 함수 y=f(x_1, x_2, x_3, \cdots , x_n)에 대하여, x_1, x_2, x_3, \cdots , x_n의 오차를 dx_1, dx_2, dx_3, \cdots , dx_n이라고 하자. 이때 y에 전파되는 정오차 dy는 다음과 같이 구한다.

:dy=\frac{\partial y}{\partial x_1}dx_1 + \frac{\partial y}{\partial x_2}dx_2 + \frac{\partial y}{\partial x_3}dx_3 + \cdots + \frac{\partial y}{\partial x_n}dx_n

이차 이상의 비선형 함수에 대해서는 테일러 급수 전개를 통한 선형화가 필요하다.

4. 2. 우연 오차의 전파

관측값 x가 서로 독립일 때, 함수 y=f(x_1, x_2, x_3, \cdots , x_n)에 대하여, x_1, x_2, x_3, \cdots , x_n의 오차를 \sigma_{x_1}, \sigma_{x_2}, \sigma_{x_3}, \cdots , \sigma_{x_n}이라고 하자. 이때 y에 전파되는 우연오차 σy는 다음과 같다.

:{\sigma_y}^2=\left( \frac{\partial y}{\partial x_1}\right)^2 {\sigma_{x_1}}^2 + \left( \frac{\partial y}{\partial x_2}\right)^2 {\sigma_{x_2}}^2 + \left( \frac{\partial y}{\partial x_3}\right)^2 {\sigma_{x_3}}^2 + \cdots + \left( \frac{\partial y}{\partial x_n}\right)^2 {\sigma_{x_n}}^2

5. 측정 기기의 오차

대부분의 측정 기기에서 정확도는 전체 눈금의 특정 비율로 보장된다. 지정된 값에서 이러한 편차의 한계를 한계 오차 또는 보증 오차라고 한다.[6]

6. 다항 시간 근사

실수 값 ''v''가 입력으로부터 '''절대 오차로 다항 시간 계산 가능'''하다는 것은, 모든 유리수 ''ε'' > 0에 대해, 입력 크기와 ''ε''의 인코딩 크기(O(log(1/''ε'')))에 대해 다항 시간 내에 절대 오차 ''ε''로 ''v''를 근사하는 유리수 ''v''approx를 계산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유사하게, 모든 유리수 ''η'' > 0에 대해 상대 오차 ''η''로 ''v''를 근사하는 유리수 ''v''approx를 다항 시간 내에 계산할 수 있다면, ''v''는 '''상대 오차로 다항 시간 계산 가능'''하다고 한다.[5]

어떤 알고리즘(REL)에 의해 ''v''가 상대 오차로 다항 시간 계산 가능하면, 절대 오차로도 다항 시간 계산 가능하다. (증명) 원하는 절대 오차를 ''ε'' > 0이라고 하자. 먼저 상대 오차 ''η'' = 1/2를 사용하여 REL을 실행한다. |''v'' - ''r''1| ≤ |''v''|/2를 만족하는 유리수 ''r''1을 찾아, |''v''| ≤ 2 |''r''1|을 얻는다. 만약 ''r''1 = 0이면, ''v'' = 0이고 완료된다. REL이 다항 시간이므로, ''r''1의 인코딩 길이는 입력에 대해 다항 시간이다. 이제 상대 오차 ''η'' = ''ε'' / (2 |''r''1|)를 사용하여 REL을 다시 실행한다. 이는 |''v'' - ''r''2| ≤ ''ε''|''v''| / (2''r''1) ≤ ''ε''를 만족하는 유리수 ''r''2를 생성하므로, 원하는 절대 오차 ''ε''를 가진다.[5]

그 역은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그러나, |v|에 대한 어떤 양의 하한을 다항 시간 내에 계산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예를 들어 |''v''| > ''b'' > 0이고, ''v''가 절대 오차로 다항 시간 계산 가능(ABS라는 알고리즘에 의해)하다면, 상대 오차로도 다항 시간 계산 가능하다. 단순히 절대 오차 ''ε'' = ''ηb''로 ABS를 호출하면 되기 때문이다.

모든 유리수 ''η'' > 0에 대해 입력 크기 및 1/''η''(log(1/''η'')가 아닌)에 대해 다항 시간 내에 상대 오차 ''η''로 ''v''를 근사하는 유리수 ''v''approx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FPTAS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Numerical Stability https://mathworld.wo[...] 2023-06-11
[2] 웹사이트 Absolute Error https://mathworld.wo[...] 2023-06-11
[3] 웹사이트 Absolute and Relative Error https://courses.lume[...] 2023-06-11
[4] 웹사이트 Approximation and Error Bounds http://www.math.wpi.[...] 2023-06-11
[5] 간행물 Geometric Algorithms and Combinatorial Optimization
[6] 서적 Modern Electronic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7] 서적 Matrix Computations – Third Edi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8] 논문 メッキ液の分析精度管理について http://joi.jlc.jst.g[...] 1967
[9] 논문 測定値と誤差
[10] 서적 Matrix Computations – Third Editi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1] 서적 Modern Electronic Instrumentation and Measurement Techniques
[12] 웹인용 상대 오차 https://www.sciencea[...] 2020-04-18
[13] 웹인용 오차 및 관측값처리 http://contents.kocw[...] 2018-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