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비오 파르네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타비오 파르네세는 16세기 이탈리아의 귀족으로, 파르마와 피아첸차의 공작이었다. 그는 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이자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의 사생아 마르게리타 다우스트리아와 결혼했다. 1551년 파르마 공작으로 즉위한 후, 프랑스와 동맹을 맺고 카를 5세와 대립했으나, 이후 화해하고 파르마를 공국의 수도로 정하고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파르마 공작 궁전 건설을 시작하고,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그림에 모델로 등장하기도 했다. 온건한 통치로 백성의 칭송을 받았으며, 1586년 사망 후 아들 알레산드로가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스트로 공작 -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16세기 스페인 제국 시기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으로서 80년 전쟁에서 남부 네덜란드를 스페인에 복속시키고 프랑스 종교 전쟁에 개입했으며, 스페인 무적함대 작전에도 참여한 군사 지도자이자 정치가이다. - 비테르보도 출신 -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
마르쿠스 살비우스 오토는 69년에 잠시 로마 황제를 지냈으며 네로의 측근이었으나 갈바를 지지하여 네로 몰락에 기여, 갈바 암살 후 황제가 되었지만 비텔리우스에게 패배 후 자살했고 그의 죽음은 내전 방지를 위한 희생으로 평가받는다. - 비테르보도 출신 - 줄리아 파르네세
이탈리아 귀족 여성인 줄리아 파르네세는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정부로서, 그녀의 가문 영향력 확대와 오빠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의 추기경 임명에 기여했으며, 당시 "교황의 창녀"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 1524년 출생 - 덕양군
조선 중종의 서자이자 숙의 이씨 소생인 덕양군은 9세에 덕양군으로 봉해진 후 종부시 도제조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며 사후 선조의 애도로 국가 주관 장례를 치르고 정희라는 시호를 받았다. - 1524년 출생 - 피에르 드 롱사르
피에르 드 롱사르는 16세기 프랑스의 시인이자 플레야드 시단의 중심 인물로서, 송시, 사랑시, 프랑시아드 등의 다양한 작품을 통해 프랑스 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했으며 왕실의 후원을 받았지만 위그노와의 갈등 속에서 풍자시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19세기 낭만주의 시대에 재조명되었다.
오타비오 파르네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작위 | 파르마와 피아첸차 공작 |
통치 기간 | 1547년 9월 10일 – 1586년 9월 18일 |
이전 통치자 | 피에르 루이지 |
다음 통치자 | 알렉산더 파르네세 |
배우자 | 마르게리타 다우스트리아 |
가문 | 파르네세 가문 |
자녀 | 알렉산더 파르네세 |
아버지 |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
어머니 | 제롤라마 오르시니 |
출생일 | 1524년 10월 9일 |
출생지 | 발렌타노, 교황령 |
사망일 | 1586년 9월 18일 |
사망지 | 피아첸차, 파르마와 피아첸차 공국 |
매장지 | 산타 마리아 델라 스테카타 |
카스트로 공작 | |
첫 번째 통치 기간 | 1545년 – 1547년 |
이전 통치자 |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 |
다음 통치자 | 오라치오 파르네세 |
두 번째 통치 기간 | 1553년 – 1586년 |
다음 통치자 (두 번째 통치) | 알렉산더 파르네세 |
2. 일대기
오타비오 파르네세는 발렌타노 출신으로, 파르마와 피아첸차 공작 피에르 루이지의 둘째 아들이자 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이며, 라누치오 파르네세 추기경의 형이고,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추기경의 동생이다.
1538년 11월 4일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의 사생아 파르마의 마르가레테와 결혼하였다. 당시 오타비오는 15세였고, 마르가레테는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사망으로 과부가 된 상태로 16세였다. 처음에는 마르가레테가 어린 남편을 싫어했지만, 1541년 알제 원정에서 오타비오가 부상을 입고 돌아오자 그를 싫어했던 마음은 애정으로 바뀌었다.
1540년 카메리노의 영주가 되었으나, 1545년 아버지가 파르마 공작이 되면서 봉토를 포기했다. 1547년 아버지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가 파르마 귀족들에게 암살당한 후, 신성 로마 제국 군대가 피아첸차를 점령했다. 교황 바오로 3세는 피아첸차를 되찾기 위해 오타비오의 파르마 계승 주장을 무시하고 교황 사절을 임명하여 카메리노를 돌려주고 황제에게 피아첸차를 요구했지만, 이는 파르네세 가문이 아닌 교회를 위한 것이었다.
오타비오는 무력으로 파르마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페란테 곤차가와 협상에 들어갔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오타비오의 반란은 1549년 11월 10일 교황의 죽음을 재촉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 공석 기간 동안 오타비오는 다시 파르마의 지사에게 도시를 넘겨줄 것을 유도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조반니 마리아 치오키 델 몬테가 율리오 3세로 선출되자, 1551년에 파르마 공작령을 하사받았다.
1556년 의붓동생인 스페인 국왕 펠리페 2세와 화해하여 피아첸차를 반환받고, 1559년 카토 캉브레지 조약에서 이를 확인받았다. 동시에 한 번 포기했던 금양모 기사단 훈장도 되찾았지만, 가족들과는 헤어져 1556년 아들이 스페인에 인질로 보내졌고, 1559년에는 아내도 네덜란드 17개 주 총독으로 부임해 갔다.
이후 파르마·피아첸차 공국의 도시 계획을 추진하여, 1556년 파르마를 공국의 수도로 정하고 통화 개정과 농업·상업 개혁을 실시했다.
1586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아들 알레산드로가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지만, 스페인의 군인으로서 네덜란드에서 80년 전쟁을 치르고 있었기 때문에, 손자 라누치오가 대신 파르마를 통치했다.
2. 1. 초기 생애와 결혼
오타비오 파르네세는 발렌타노에서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와 제롤라모 오르시니 사이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이자 라누치오 파르네세 (추기경)의 형,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추기경)의 동생이었다.[1] 1538년 11월 4일, 신성 로마 제국의 카를 5세의 사생아 파르마의 마르가레테와 결혼했다.[2] 오타비오는 15살이었고, 마르가레테는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가 사망하여 과부가 된 상태로 16살이었다. 처음에는 마르가레테가 어린 남편을 싫어했지만, 1541년 알제 원정에서 오타비오가 상처를 입고 돌아오자 그를 싫어했던 마음은 애정으로 바뀌었다.[2]2. 2. 파르마 공작 즉위와 통치
1540년 카메리노의 통치자가 되었으나, 1545년 아버지가 파르마 공작이 되면서 봉토를 포기했다.[1] 1547년 아버지 피에르 루이지 파르네세가 파르마 귀족들에게 암살당한 후, 신성 로마 제국 군대가 피아첸차를 점령했다.[1] 교황 바오로 3세는 파르마를 탈환하고자 했으나, 오타비오의 반란으로 1549년 사망했다.[1] 교황 율리오 3세 즉위 후, 1551년 오타비오는 파르마 공작령을 하사받았다.[1]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의 불화는 계속되었고, 페란테 곤차가가 피아첸차 반환을 거부하면서 오타비오는 프랑스와 동맹을 맺었다.[1] 트리엔트 공의회 문제로 율리오 3세와 카를 5세가 오타비오에게 파르마 포기를 명령했으나, 오타비오는 거부하고 전쟁을 벌였다.[1] 이후 장인 카를 5세와 화해하고 피아첸차를 포함한 봉토에 대한 주권을 회복했다.[1] 남은 생애 동안 온건하고 슬기로운 통치로 백성의 칭송을 받았다.[1]
2. 3. 사망과 유산
1586년 오타비오가 죽자 유일한 적자인 알레산드로가 그 뒤를 이었다. 그는 또한 율란다 파르네세와 에르실리아 파르네세라는 두 명의 딸을 두었다. 율란다는 토르콰토 콘티(1520-1575)와 결혼하였으며, 에르실리아는 성 카를로 보로메오의 사촌인 레나토 보로메오(1555-1608)와 결혼하였다.3. 문화적 업적
1556년 파르마를 공국의 수도로 정하고 통화 개정과 농업 및 상업 개혁을 실시하였다. 1561년부터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의 설계로 파르마 공작 궁전 건설을 시작했으며,[6] 1560년에는 피아첸차에 팔라초 파르네세 건설을 위해 비뇰라를 초청했다.[6]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그림 교황 바오로 3세와 그의 손자들의 모델 중 한 명이다. 1573년 지롤라모 미롤라와 야코포 장구이디 등에게 광란의 오를란도를 소재로 한 작품을 그리게 하여 "아리오스토의 방"과 "키스의 방"을 완성했다.[7]
4. 자녀
마르게리타와의 사이에서 쌍둥이 아들을 얻었으나, 이 중 카를로 파르네세는 요절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Carlo Farneseit Carlos Farnesioes Karl Farnesede | 1545년 8월 27일 | 1545년 9월 | 파르마 공국 상속자, 요절 |
알렉산데르 파르네세 | 1545년 8월 27일 | 1592년 12월 3일 | 제3대 파르마 공작, 포르투갈의 마리아 공주와 결혼[1] |
오타비오는 또한 6명의 서자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체사레 | 1550년 | 1627년 | |
비올란테 | 1555년 | ? | |
라비니아 | 1560년 | 1605년 | |
줄리오 오스틸리오 | 1562년 | ? | |
엘실리아 | 1565년 | 1596년 | 성 카를로 보로메오의 사촌인 아로나 백작 레나토 보로메오와 결혼 |
이사벨라 | 1570년 | 1638년 |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