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레산드로 파르네세 (파르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1545년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서녀 마르가리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된 어머니를 따라 브뤼셀로 이주했고, 1565년 포르투갈의 마리아 공주와 결혼 후 마드리드에서 생활했다. 군사 경력을 통해 레판토 해전에 참전하고,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 스페인 편에 서서 활약했으며, 프랑스 종교 전쟁에도 개입했다. 그는 파르마 공작위를 계승했지만, 스페인 무적함대 실패에 책임을 지게 되었다. 슬하에 마르가리타, 라누치오 1세, 오도아르도 세 자녀를 두었다.

2. 젊은 시절

알레산드로의 부친은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이고, 모친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서녀 마르가리타이다. 스페인펠리페 2세레판토 해전의 지휘관 돈 후안은 모친의 이복형제이다.

알레산드로는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된 어머니를 따라 브뤼셀로 이주했고, 알칼라 대학교에서 사촌인 스페인 왕태자 카를로스와 숙부 돈 후안과 함께 공부했다. 1565년 브뤼셀에서 포르투갈의 공주 마리아와 결혼 후 마드리드 궁정에서 생활했다. 아내 마리아는 경건하고 남편에 대한 애정이 깊었으며 교양 있는 여성이었다.[15]

1571년 레판토 해전에 참전했다.[7]

2. 1. 가문과 출생

알레산드로는 1545년 8월 27일에 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인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스페인 국왕 카를 5세의 사생아 딸인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 사이에서 태어났다.[7] 쌍둥이 형제 카를로가 있었으나, 카를로는 1549년 10월 7일 로마에서 사망했다.[7]

1560년, 15세의 알레산드로의 초상화, 소포니스바 앙귀솔라의 작품


알레산드로는 어머니 마르가레테가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자 1556년 그녀와 함께 브뤼셀로 갔으며, 파르네세 가문의 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펠리페 2세에게 인도되었다.[7] 그는 국왕의 감시를 받는 동안 잉글랜드 왕실을 방문한 후 스페인으로 가서 사촌 돈 카를로스와 이복 삼촌 돈 후안과 함께 양육되고 교육을 받았다.[7]

1565년 브뤼셀에서 포르투갈의 마리아와 결혼했다.[15] 마리아는 포르투갈 왕 마누엘 1세의 손녀 (기마랑이스 공작 두아르테의 딸)였기 때문에 마드리드 궁정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 알레산드로는 어머니가 스페인 합스부르크 가문 출신이었기 때문에 스페인 군에 들어가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다.

파르마 공작으로서의 파르네세 가문의 문장

2. 2. 스페인 궁정 생활

알레산드로는 1545년 8월 27일에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와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스페인 국왕 카를 5세의 사생아 딸)의 아들로 태어났다. 쌍둥이 형제 카를로가 있었으나 1549년 10월 7일 로마에서 사망했다. 1550년 알레산드로는 어머니 마르가레테와 함께 로마를 떠나 파르마로 갔다. 1556년 마르가레테가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자 알레산드로는 그녀와 함께 브뤼셀로 갔으며, 파르네세 가문의 충성을 보장하기 위해 펠리페 2세에게 인도되었다. 국왕의 감시를 받는 동안 잉글랜드 왕실을 방문한 후 스페인으로 가서 사촌 돈 카를로스와 이복 삼촌 돈 후안과 함께 양육되고 교육을 받았다.

1565년 포르투갈의 마리아와의 결혼은 브뤼셀에서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그가 펠리페 2세의 인질 생활을 끝내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레판토 해전과 그 이후의 투르크에 대항하는 작전에서 세 척의 갤리선을 지휘했다.[7]

3. 군사 경력

1565년 포르투갈 왕국의 공주 도나 마리아와 결혼 후, 알칼라 대학교에서 사촌 카를로스 왕자와 숙부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와 함께 공부했다. 어머니가 스페인 합스부르크 왕가 출신이었기 때문에 스페인 군에 들어가 군사적 재능을 발휘했다.

1577년 침묵공 빌럼을 중심으로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에 맞서 독립전쟁 중이던 네덜란드에 펠리페 2세의 명령으로 지원군을 이끌고 합류, 1578년 장블루 전투에서 승리했다.[8]

플랑드르와 왈롱 지역이 개신교와 구교로 나뉜 것을 이용해 1579년 남부 지역은 아라스 동맹을 맺고 스페인에 충성을, 북부 지역은 위트레흐트 동맹을 맺게 했다. 이후 투르네, 마스트리흐트, 브레다, 브뤼허, 헨트를 점령하고, 공성전에서 관대한 조건으로 항복을 유도했다.[10]

1586년 아버지 사망 후 파르마 공작이 되었으나 펠리페 2세가 네덜란드를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아 아들 라누치오 1세가 섭정을 맡았다. 파르네세는 잉글랜드 공격을 주장했으나, 펠리페 2세는 무적함대를 편성했다.

3. 1. 레판토 해전 참전

1571년 레판토 해전에 참전하였다.[15]

3. 2. 네덜란드 독립 전쟁

1571년 레판토 해전에 참전한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1578년부터 외숙부인 스페인 왕 펠리페 2세로부터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되었다.[8] 그는 1579년 아라스 동맹을 맺어 남부 10개 주를 스페인에 귀순시키는 공을 세웠다. 이후 위트레흐트 동맹으로 결속된 북부 7개 주와의 팔십 년 전쟁에서 1582년 아우데나르데, 1584년부터 1585년에 걸쳐 안트베르펜, 브뤼셀을 함락하며 네덜란드를 압박했다.

1588년 펠리페 2세가 잉글랜드 원정을 위해 네덜란드의 스페인 군을 활용하기로 하면서 됭케르크에서 대기했지만, 무적함대가 패배하면서 네덜란드 공격은 중단되었다.

1589년 프랑스에서 발루아 왕조가 단절된 후, 가톨릭 동맹 귀족들이 부르봉 가문의 앙리 4세의 왕위 계승을 인정하지 않아 내란 (위그노 전쟁)이 일어났다. 이에 알레산드로는 스페인 군을 이끌고 가톨릭 동맹을 지원하러 갔지만, 1592년 루앙에서 앙리 4세의 군대와 교전 중 중상을 입고 아라스에서 사망했다.

3. 2. 1. 네덜란드 총독 임명

1577년 당시 네덜란드는 침묵공 빌럼을 중심으로 연합하여 알레산드로의 이복외삼촌이자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인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에 맞서 독립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1577년 가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스페인 왕 펠리페 2세의 명령으로 지원군을 이끌고 돈 후안과 합류했고, 이듬해 장블루 전투에서 네덜란드군을 물리치고 군사적 재능을 증명하였다. 이 전투 직후 돈 후안이 병사하여, 펠리페 2세는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했다. 전임 총독이었던 어머니 파르마의 마르가리타는 공동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4년 뒤 사임하였다.

파르네세는 네덜란드의 플랑드르와 왈롱 지역이 개신교와 구교로 나뉘어 있는 것을 이용해 적을 분열시킬 계획을 세웠다. 1579년 네덜란드 남부 지역(오늘날의 벨기에 왈롱 지역)은 아라스 동맹을 맺고 스페인 왕에게 충성을 서약했고, 북부 주들은 위트레흐트 동맹을 맺어 마지막까지 펠리페 2세에 맞서 싸울 것을 약속했다. 적을 분열시키는데 성공한 파르네세는 투르네, 마스트리흐트, 브레다, 브뤼허, 헨트를 차례차례 점령했다. 파르네세는 공성전을 치를 때 주민의 학살과 약탈을 금지하고, 포로들에게 특사를 약속하고, 가톨릭으로의 단계적 개종을 허용하는 등 관대한 조건을 내걸어 도시의 항복을 유도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1584년, 네덜란드 상업의 중심지였던 항구도시 안트베르펜 바로 앞까지 진격한 파르네세는 안트베르펜을 육지 쪽에서 포위하고, 앞바다에는 부교를 설치해 도시의 육로와 해로를 모두 차단했다. 1585년 8월 안트베르펜이 항복함에 따라 파르네세는 오늘날의 벨기에 지역을 모두 스페인령으로 회복했고, 육로로는 접근하기 쉽지 않은 홀란트와 젤란트 지역만이 남아 있었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가 네덜란드에 원군을 보냈으나 보급 소홀로 파르네세에게 패퇴하였다.

3. 2. 2. 남부 네덜란드 회복

1577년 당시 네덜란드는 침묵공 빌럼을 중심으로 연합하여 알레산드로의 이복외삼촌이자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인 돈 후안 데 아우스트리아에 맞서 독립전쟁을 벌이고 있었다. 그해 가을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펠리페 2세의 명령으로 지원군을 이끌고 돈 후안과 합류했고, 이듬해 장블루 전투에서 네덜란드군을 물리치고 군사적 재능을 증명하였다.[8] 이 전투 직후 돈 후안이 병사하여, 펠리페 2세는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네덜란드 총독으로 임명했다. 전임 총독이었던 어머니 마르가리타는 공동 총독으로 임명되었으나 4년 뒤 사임하였다.

파르네세는 네덜란드의 플랑드르와 왈롱 지역이 개신교와 구교로 나뉘어 있는 것을 이용해 적을 분열시킬 계획을 세웠다. 1579년 네덜란드 남부 지역(오늘날의 벨기에 왈롱 지역)은 아라스 동맹을 맺고 스페인 왕에게 충성을 서약했고,[9] 북부 주들은 위트레흐트 동맹을 맺어 마지막까지 펠리페 2세에 맞서 싸울 것을 약속했다. 적을 분열시키는데 성공한 파르네세는 투르네, 마스트리흐트, 브레다, 브뤼허, 헨트를 차례차례 점령했다. 파르네세는 공성전을 치를 때 주민의 학살과 약탈을 금지하고, 포로들에게 특사를 약속하고, 가톨릭으로의 단계적 개종을 허용하는 등 관대한 조건을 내걸어 도시의 항복을 유도하는 전략을 활용했다.[10]

1584년, 네덜란드 상업의 중심지였던 항구도시 안트베르펜 바로 앞까지 진격한 파르네세는 앤트워프 함락으로 안트베르펜을 육지 쪽에서 포위하고, 앞바다에는 부교를 설치해 도시의 육로와 해로를 모두 차단했다.
1585년 파르마의 스헬데강 위에 놓인 배 다리
1585년 8월 안트베르펜이 항복함에 따라 파르네세는 오늘날의 벨기에 지역을 모두 스페인령으로 회복했고, 육로로는 접근하기 쉽지 않은 홀란트와 젤란트 지역만이 남아 있었다.
1585년 전쟁 상황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가 네덜란드에 원군을 보냈으나 보급 소홀로 파르네세에게 패퇴하였다.

3. 3. 스페인 무적함대

1586년 아버지 오타비오 파르네세가 사망하자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파르마 공작이 되었지만, 펠리페 2세는 그가 네덜란드를 떠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아 파르마를 방문하지 못하고 아들 라누치오 1세에게 섭정을 맡겼다. 파르네세는 네덜란드와 동맹을 맺은 영국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펠리페 2세는 이를 반대하고 무적함대를 편성했다. 그 사이 파르네세는 1587년 8월 제일란트의 항구도시 슬라위스를 점령했다.[11]

스페인의 영국 침공 계획은 무적함대의 호위 하에 파르네세 공작이 이끄는 지상군이 바지선을 이용해 도버 해협을 건너는 것이었다. 1년 후 무적함대가 해협에 도착했지만, 지상군과 해군 사이의 연락 혼선과 네덜란드 쾌속선의 방해로 제대로 협력하지 못했다. 결국 무적함대는 그레벨링건 전투에서 패배하고 기상 악화로 흩어져 지상군과 만나지 못했다. 무적함대와의 만남이 좌절된 후, 파르네세는 베르헌옵좀에 주둔한 영국군을 공격했으나 실패하고 브뤼셀로 퇴각했다.[11]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는 아르마다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되었고, 이는 그의 뛰어난 경력의 종말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다.

3. 4. 프랑스 종교 전쟁 개입

1589년 8월 앙리 3세가 개신교도에게 암살되자, 파르네세는 펠리페 2세의 명령을 받고 프랑스의 가톨릭 교도와 연합해 개신교도인 앙리 4세를 공격했다.[15] 파리로 달려간 파르네세는 1590년 긴 공성전을 치르고 있던 파리를 구원한 후 루앙으로 향했다. 한편 1576년 이후 패퇴를 거듭하고 있던 네덜란드군은 이를 기회로 스페인군에게 반격할 수 있었다.

1590년 파리 포위전 (1590년)에서 파르네세의 주요 목표는 앙리 4세의 군대를 전멸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지 봉쇄를 해제하여 파리에 물자를 재공급하는 것이었다. 그는 라니쉬르마른의 요새를 점령하여 가톨릭 동맹의 손에 있는 마른 강을 따라 교통을 유지하고자 했다. 9월 5일 새벽, 라니는 스페인 군대에 의해 공격을 받아 800명의 수비대가 학살당했다. 앙리 4세는 이틀 후 파리 포위를 포기했지만, 9월 8~9일에 마지막으로 "구원 투" 시도를 했지만 실패했다. 마른 강이 교통에 완전히 개방되면서, 다음 며칠 동안 파리로 물자가 흘러 들어갔다.

파리에 물자를 공급하려면 여러 곳에서 식량이 유입되어야 했지만, 앙리 4세의 군대는 대부분 센 강과 욘 강을 따라 지역을 점령했기 때문에 파르마는 센 강에서 교통을 복구하기 위해 코르베이에송을 점령하기로 결정했다. 포위는 9월 22일에 시작되었고, 10월 16일에는 마을이 점령되었다. 그곳의 수비대는 학살당했고, 마을은 철저히 약탈당했다.

파리 포위가 풀리고 보급로가 확보되자, 파르네세는 11월 3일 나사우의 마우리츠가 공세로 전환한 네덜란드로 돌아가는 길에 들어섰다. 파르네세의 철수는 쉽지 않았다. 그는 악천후 속에서 수천 명의 병사, 마차, 말을 이동시켜야 했고, 앙리 4세는 내내 그를 괴롭혔다. 아미앵 근처에서 앙리 4세는 기병대를 이끌고 파르네세의 대열을 과감하게 공격했지만, 오히려 엔 강 너머로 패주했고, 후퇴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1591년 7월, 파르네세는 필리프 2세로부터 다시 프랑스로 돌아가라는 명령을 받았다. 1592년 1월, 파르마는 마옌 공작과 합류하여 앙리 4세로부터 루앙을 구출하기 위한 준비를 했다. 루앙으로 향하기 전에, 파르네세는 뇌프샤텔-앙-브레이를 점령하여 보급선을 유지하고자 했다.

마침내 4월 20일, 파르마는 루앙에서 몇 마일 떨어진 곳에 도착했고, 루앙은 구원받았다. 파르네세의 조언을 따라 앙리 4세의 진영을 공격하는 대신, 동맹 지도자들은 코드벡-앙-코를 점령하기로 선택했고, 그곳에서 파르네세는 마을을 정찰하던 중 포위전 동안 오른쪽 팔뚝에 머스킷 총을 맞았다. 이 부상은 이미 불안정한 그의 건강을 더욱 악화시켰고 그는 아들 라누초에게 군대를 지휘하도록 요청해야 했다.

앙리 4세는 여기서 루앙의 손실을 복수할 기회를 보았다. 그는 동맹 군대에 대한 전면적인 공격을 감행하는 대신 파르네세의 책을 보고 모든 보급로를 차단하고 그들을 굶주리게 하기로 결정했다. 동맹군은 코드벡을 버리고 이베토로 향했다. 파르마 공작은 보트를 타고 센 강을 은밀하게 건너는 계획을 세웠고, 앙리 4세가 그것을 알게 되었을 때는 가톨릭 군대가 강을 건너 오래전에 사라졌고, 말 그대로 그의 코 밑에서 벌어진 일이었다.

파르네세는 루앙을 구원한 후 코드벡을 점령했으나, 이곳에서 앙리 4세의 군대에게 포위되었다. 1592년 4월 20일 전투 중 손에 부상을 입은 파르네세는 플랑드르로 후퇴했으나, 부상이 점차 악화됨에 따라 지휘를 아들 라누치오 1세에게 맡겼다. 더 이상 군대를 지휘할 수 없게 된 파르네세는 1592년 12월 3일 아라스에서 병사했다.

4. 유산 및 평가

1592년 브뤼셀에 도착한 파르마 공작의 장례 행렬. 빌렘 보다르티우스의 '나사우 전쟁'의 판화.

5. 가족 관계

알레산드로는 파르마 공작 오타비오 파르네세(교황 바오로 3세의 손자)와 신성 로마 황제 카를 5세의 서녀 마르가리타 사이에서 태어났다. 쌍둥이 형제가 있었으나 일찍 사망했고, 펠리페 2세와 돈 후안은 그의 이복 외삼촌이다.

1565년, 알레산드로는 포르투갈의 공주 마리아와 결혼하여 세 자녀를 두었다.

이름출생사망비고
마르가리타1567년 11월 7일1643년 4월 13일만토바 공작 빈첸초 1세와 결혼
라누치오1569년 3월 28일1622년 3월 5일파르마 공작 계승
오도아르도1573년 12월 7일1626년 2월 21일추기경



알레산드로에게는 사생아 딸이 있다는 주장이 있으나, 출처가 불분명하여 논란이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알레산드로는 플랑드르 귀족 여성 카트린 드 로쿠아와의 사이에서 딸 이자벨라 마르게리타 파르네세를 두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주장은 개인 족보 웹사이트 등에서만 확인할 수 있으며, 정보의 출처나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신뢰하기 어렵다.

확실하게 확인된 것은 알레산드로가 "벨 프랑슬린"으로 알려진 프랑수아즈 드 렁티와 관계를 가졌다는 것이다. 나폴리 국립 도서관에 보관된 편지를 통해 이 사실이 확인된다. 이 관계에서 아이가 있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파르네세는 프랑수아즈를 자신의 가신과 결혼시키고, 그 부부의 첫 아이 이름이 알렉상드린인 점 등을 고려할 때, 그가 아이의 생물학적 아버지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참조

[1] 논문 Alexander Farnese and the Origins of Modern Belgium
[2] 서적 The Fifteen Decisive Battles of the World
[3] 서적 English Renaissance Drama and the Specter of Spain: Ethnopoetics and Empir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4] 서적 Diccionario enciclopédico hispano-americano de literatura, ciencias y artes: Apéndice 24–25. Segundo apéndice 26–28 Montaner y Simón
[5] 서적 Who's Who in Military History: From 1453 to the Present Day Routledge
[6]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6 volumes]: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09
[7] 서적 Spain's Road to Empire: The Making of a World Power, 1492–1763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Limited 2003
[8] 서적 World Military Leaders: A Biographical Dictionary Infobase Publishing 2007
[9] 서적 Warfare and Armed Conflicts: A Statistical Encyclopedia of Casualty and Other Figures, 1492–2015 McFarland 2017
[10] 논문 Reconquista and Reconciliation in the Dutch Revolt: The Campaign of Governor-General Alexander Farnese (1578–1592)
[11] 간행물 Alessandro Farnese fra Italia, Spagna e Paesi Bassi Roma: Bulzoni 2010
[12] 논문 Alessandro Farnese fra Italia, Spagna e Paesi Bassi 2010
[13] 서적 Histoire de Philippe II 1882
[14] 서적 Mémoires de Frédéric Perrenot, sieur de Champagney, 1573–1590 Bruxelles Société de l'histoire de Belgique 1860
[15] 논문 オリヴェイラ・マルケス著『中世ポルトガル社会』第1章を読む : ナポリ国立図書館蔵『ドナ・マリア内親王の料理書』和訳の前提として 流通経済大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