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셜 스토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피셜 스토리는 아르헨티나의 더러운 전쟁 시기를 배경으로, 고등학교 역사 교사 알리시아가 입양한 딸 가비의 출생에 대한 의혹을 품고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알리시아는 친구 아나의 증언과 5월 광장 어머니회와의 만남을 통해 군사 정권의 실상과 가비가 실종된 아이일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남편 로베르토와의 갈등 속에서 진실을 찾으려 한다. 이 영화는 1985년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았으며, 아르헨티나 군사 정권의 어두운 역사를 다루며 인권과 사회 정의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제실종 - 실종: 충격적 사실들
아르헨티나 군사 독재 시대를 배경으로 부패한 저널리스트가 실종된 후, 초능력을 얻은 연극 감독인 남편이 아내와 구금자들에게 벌어지는 끔찍한 현실을 마주하는 영화이다. - 강제실종 - 피닉스 프로그램
피닉스 프로그램은 1967년부터 1972년까지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과 남베트남 정부가 베트콩 조직원 혐의자를 대상으로 정보 수집, 체포, 회유, 암살 등을 수행한 프로그램이다. - 더러운 전쟁 (아르헨티나) 영화 - 실종: 충격적 사실들
아르헨티나 군사 독재 시대를 배경으로 부패한 저널리스트가 실종된 후, 초능력을 얻은 연극 감독인 남편이 아내와 구금자들에게 벌어지는 끔찍한 현실을 마주하는 영화이다. - 더러운 전쟁 (아르헨티나) 영화 - 두 교황
페르난두 메이렐레스 감독의 영화 《두 교황》은 조너선 프라이스와 앤서니 홉킨스가 열연한 작품으로, 베네딕토 16세의 사임과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과정을 배경으로 두 교황의 만남과 가톨릭교회의 변화를 다룬다. - 아르헨티나의 드라마 영화 - 모노스
《모노스》는 알레한드로 란데스 감독의 콜롬비아 영화로, 남미 외딴 산악 지대를 배경으로 가명으로 불리는 10대 특공대원 '모노스' 부대와 그들이 감시하는 미국인 엔지니어 '라 독토라'의 이야기를 다루며, 콜롬비아 분쟁 속 청춘의 고립과 폭력성을 탐구하고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다. - 아르헨티나의 드라마 영화 - 가족의 죄
부유한 여성이 아들의 살해 미수 혐의 재판에 휘말리는 아르헨티나 영화 《가족의 죄》는 여성 폭력, 계급 불평등, 사법 시스템 문제를 다루며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보여주는 심리 스릴러이자 멜로드라마다.
오피셜 스토리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a historia oficial |
언어 | 스페인어 |
개봉일 | 1985년 4월 3일 (아르헨티나) |
상영 시간 | 112분 |
국가 | 아르헨티나 |
제작 정보 | |
감독 | 루이스 푸엔조 |
제작자 | 마르셀로 피녜이로 |
각본 | 아이다 보트닉 |
음악 | 아틸리오 스탐포네 |
촬영 | 펠릭스 몬티 |
편집 | 후안 카를로스 마시아스 |
제작사 | Historias Cinematograficas Cinemania |
배급사 | Almi Pictures (미국 극장 개봉) |
출연 | |
출연 배우 | 엑토르 알테리오 노르마 알레안드로 우고 아라나 기예르모 바탈리아 첼라 루이스 파트리시오 콘트레라스 아니발 모리세 마리아 루이사 로블레도 호르헤 페트라글리아 아날리아 카스트로 춘추나 비야파녜 |
2. 줄거리
영화 <오피셜 스토리>는 더러운 전쟁 시기, 군사 독재가 끝나갈 무렵 국가 주도 테러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살해되고 ''실종자''가 되었던 아르헨티나의 암울한 현실을 그리고 있다.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사는 고등학교 역사 교사 알리시아와 정부 관리인 남편 로베르토, 그리고 입양한 딸 가비의 이야기가 중심을 이룬다. 알리시아는 다른 아르헨티나 상류층 사람들처럼 죄가 있는 사람들만 체포된다고 믿었지만, 주변 인물들과의 만남을 통해 점차 진실에 눈뜨게 된다.
영화는 알리시아의 각성, 로베르토의 갈등, 가비의 출생에 얽힌 진실을 파헤치는 과정을 그린다.
2. 1. 알리시아의 각성
알리시아는 평범한 아르헨티나 상류층 사람들처럼 국가 주도 테러의 실상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죄가 있는 사람들만 체포된다고 순진하게 믿었다. 하지만 동료 교사와 학생들과의 대화를 통해 점차 진실에 다가가게 된다.동료 역사 교사인 베니테스는 알리시아의 의문에 불을 지폈고, 마리아노 모레노의 죽음에 대한 토론 중, 코스타라는 학생은 정부가 발간한 역사서는 "살인자들에 의해 쓰인 것"이라고 주장하며 알리시아의 믿음에 의문을 제기한다.
망명에서 돌아온 알리시아의 친구 아나는 자신이 반정부주의자로 몰려 고문당하고, 임신한 여성들이 출산 후 아기 없이 돌아오는 것을 목격했다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려준다. 아나는 그 아기들이 부유한 가정에 팔렸다고 믿었고, 이 이야기는 알리시아가 입양한 딸 가비의 출생에 대한 의혹을 품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알리시아는 남편 로베르토에게 가비의 출생에 대해 묻지만, 로베르토는 "굳이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며 평범한 입양이었다고 주장한다.[1]
코스타는 계속해서 급우들을 계몽시켰고, 어느 날 알리시아가 반에 도착했을 때 칠판에는 실종자들의 소식이 가득 붙어있었다. 알리시아는 학생들을 나무라려 했지만, 베니테스가 학생들을 옹호하며 개입했고, 알리시아는 베니테스와 점차 가까워지며 진실에 다가가게 된다.
가비의 출생 기록을 찾던 중, 알리시아는 5월 광장 어머니회와 만나게 되고, 임신한 딸을 납치당한 사라를 만나 가비가 자신의 손녀일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2. 2. 로베르토의 갈등
알리시아의 남편 로베르토는 정부 고위 관리로, 여러 갈등을 겪는다. 직장에서는 동료들의 음모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그들 중 몇 명은 실종되기도 한다. 아나는 로베르토를 찾아와 그가 자신을 고발하고 체포되게 만들었다고 비난한다. 로베르토는 집권 보수 군사 엘리트와의 관계를 탐탁지 않게 여기는 아버지, 그리고 사회 정의를 옹호하는 자유주의적인 형제와도 갈등을 겪는다.알리시아가 가비의 친부모에 대한 진실을 알고 싶어 하자, 로베르토는 분노하며 사라에게 나가라고 요구한다. 알리시아는 로베르토가 진실을 알기를 원치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가비가 어디 있는지 모르는 기분이 어떤지 질문하며 로베르토를 자극한다. 이에 로베르토는 분노하여 알리시아를 폭행한다.
2. 3. 가비의 진실
알리시아는 입양한 딸 가비의 출생에 대해 의문을 품기 시작한다. 남편 로베르토는 정상적인 입양 절차를 거쳤다고 주장하지만, 알리시아는 그의 예민한 반응과 "생각할 필요 없다"는 말에 의심을 더한다.알리시아는 가비의 병원 출생 신고서를 찾던 중, 사라진 아이들을 찾는 단체와 만나게 된다. 그곳에서 만난 사라라는 여성은 자신의 딸이 임신 중에 무장 세력에게 납치되었으며, 가비가 자신의 손녀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영화 후반부, 알리시아는 사라를 집으로 데려와 로베르토에게 소개하려 하지만, 로베르토는 분노하며 사라를 쫓아낸다. 이 사건은 알리시아와 로베르토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키고, 가비의 출생에 대한 진실을 둘러싼 의혹을 증폭시킨다.
3. 등장인물
주어진 '등장인물' 섹션의 내용은 하위 섹션인 '주연', '조연'과 완전히 중복됩니다. 따라서 하위 섹션 내용을 유지하고, 상위 섹션은 삭제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등장인물' 섹션 자체는 영화의 등장인물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를 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어진 자료에서는 그러한 정보를 추출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빈 내용만 남게 되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3. 1. 주연
- 노르마 알레안드로 - 알리시아 마르네 드 이바녜스 역[1]
- 헥터 엘터리오 - 로베르토 이바녜스 역[2]
- 추나 비야파녜 - 아나 역[3]
- 우고 아라나 - 엔리케 역[4]
- 기예르모 바타글리아 - 호세 역[5]
- 체라 루이스 - 사라 역[6]
- 파트리시오 콘트레라스 - 베니테스 역[7]
- 마리아 루이사 로블레도 - 나타 역[8]
- 아니발 모리세 - 밀러 역[9]
- 호르헤 페트라글리아 - 마시 역[10]
- 아날리아 카스트로 - 가비 역[11]
- 다니엘 라고 - 단테 역[12]
- 아우구스토 라레타 - 장군 역[13]
- 파블로 라고 - 엔리케의 아들 역[14]
3. 2. 조연
4. 역사적 배경
영화는 1976년 3월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군부 집권 이후 아르헨티나에서 일어난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이 시기 아르헨티나에서는 더티 워로 불리는 국가 주도 테러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다.
노르마 알레안드로 등 많은 진보 배우들이 망명을 강요받았으며, 1983년 군사 정부 붕괴 후에야 귀국했다.[10]
''오피셜 스토리''는 레오폴도 갈티에리 장군과 그의 독재 정권 몰락 후 제작된 영화 중 하나로, 아르헨티나 더티 워 기간의 탄압, 고문, 실종 사건을 솔직하게 다룬다.
4. 1. 더러운 전쟁 (1976-1983)
1983년 아르헨티나를 배경으로, 영화는 군사 독재가 끝나갈 무렵 수천 명의 정치 좌파와 무고한 사람들이 살해되고 고문당한 국가 주도 테러 시기를 그리고 있다. 희생자들은 이름 없는 무덤에 묻히거나 ''실종자''가 되었다.[9]이 영화는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의 반동적인 군부 ''군부''가 1976년 3월 24일 권력을 잡은 후 아르헨티나에서 일어난 실제 정치적 사건을 바탕으로 한다. ''군부'' 통치 기간 동안 의회는 정지되었고, 노동 조합, 정당, 지방 정부는 금지되었으며, 더티 워로 알려진 사건에서 9,000명에서 30,000명 사이의 좌익 "전복자"로 간주되는 사람들이 사회에서 사라졌다.[9]
영화의 주연 여배우인 노르마 알레안드로는 많은 진보적인 배우들과 마찬가지로 이 시기에 망명을 강요받았다. 그녀는 먼저 우루과이로, 나중에는 스페인으로 갔다. 그녀는 1983년 군사 정부가 무너진 후 돌아왔다.[10]
''오피셜 스토리''는 1983년 마지막 아르헨티나 독재자 레오폴도 갈티에리 장군과 그의 독재 정권이 몰락한 후 아르헨티나에서 처음으로 제작된 영화 중 하나이다. 이 영화들은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아르헨티나의 더티 워 기간 동안의 탄압, 고문, 실종 사건을 솔직하게 다루고 있으며, ''재미있는 더러운 작은 전쟁''(1983)과 ''연필의 밤''(1986)이 이에 해당한다. ''베로니코 크루즈''(1988)를 포함한 두 번째 그룹의 영화는 은유를 사용하고 더 넓은 사회 정치적 문제를 암시한다.[12][13]
4. 2. 5월 광장 어머니회
Madres de Plaza de Mayoes는 '더러운 전쟁' 당시 실종된 자녀를 찾기 위해 결성된 아르헨티나의 인권 단체이다. 이 단체는 군사 독재 정권에 의해 자행된 국가 주도 테러로 희생된 사람들을 찾고, 그들의 행방을 밝히기 위해 노력했다. 영화에서 고등학교 역사 교사인 알리시아는 어린이 실종자를 찾는 단체를 통해 이 단체를 알게 되고, 입양한 딸 가비의 친모를 찾기 시작한다.[1]5. 제작 과정
푸엔조 감독은 처음에는 자신의 안전을 우려하여 숨겨진 16mm 카메라로 영화를 비밀리에 촬영할 계획이었으나, 각본이 완성될 무렵 군사 정권이 붕괴되었다.[14]
영화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촬영되었으며, 5월 광장의 어머니들이 더러운 전쟁에서 실종된 사람들의 사진과 팻말을 들고 모였던 5월 광장도 포함되어 있다. 5월 광장의 어머니들은 부에노스아이레스의 5월 광장에서 매주 목요일 오후 3시 30분에 계속 시위를 벌이고 있다.[15]
5. 1. 촬영
푸엔조 감독은 처음에는 자신의 안전을 우려하여 숨겨진 16mm 카메라로 영화를 비밀리에 촬영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각본이 완성될 무렵 군사 정권이 붕괴되었다.[14]영화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시내 전역에서 촬영되었으며, 5월 광장도 포함된다. 5월 광장에서는 1970년대 후반 5월 광장의 어머니들이 아르헨티나 군부에 의해 더러운 전쟁에서 강제 실종된 ''데사파레시도스''의 사진과 팻말을 들고 모였다.[15]
6. 평가
이 영화는 처음 개봉했을 때 많은 상을 받았으며, 1980년대에 널리 호평을 받았다.[16] 로저 이버트를 비롯한 여러 평론가들은 영화의 균형 잡힌 시각과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17] 반면,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연출 방식이 지나치게 작위적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19]
6. 1. 긍정적 평가
로저 이버트는 영화 평론에서 "'''오피셜 스토리'''는 논쟁, 스릴러, 비극의 일부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정치적 불안의 인간적인 측면을 다루는 ''Z'', ''미싱'' 그리고 ''엘 노르테''와 같은 영화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라며 극찬했다. 그는 알리시아 역을 맡은 노르마 알레안드로의 연기가 칸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을 받을 만 했다고 평가하며, 특히 그녀의 내면 연기가 잊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17]''뉴욕 타임스''의 영화 평론가 월터 굿맨은 "푸엔조 씨의 영화는 인권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면서도 어떤 이념이나 교리도 강요하지 않는다."라며 영화가 균형을 잘 이루었다고 평가했다.[16]
웹사이트 ''영성과 실천''의 영화 평론가 프레데릭과 메리 앤 브루삿은 "'''오피셜 스토리'''는 이념을 위해 가족의 연대성을 파괴하는 정치 활동의 공포와 추악함을 결정화하는 고통스럽고 아픈 드라마"라며 "충격적인 강렬함을 선사한다."라고 평했다.[18]
''시카고 리더''의 데이브 케어는 "푸엔조의 방식이 너무나 조잡하게 조작적이어서... 영화는 좋은 의도의 공로를 빨리 소진한다."라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19]
6. 2. 부정적 평가
일부 비평가들은 영화의 연출 방식이 지나치게 작위적이라고 지적했다.[1]7. 수상 내역
La historia oficiales는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부문 | 수상자 |
---|---|---|---|
1986 | 제58회 아카데미 시상식 | 외국어영화상 | 루이스 푸엔조 |
1985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영화 란과 공동 수상) |
1986 | 골든 글로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
1985 | 토론토 국제 영화제 | 관객상 | 루이스 푸엔조 |
1985 | 칸 영화제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5 | 칸 영화제 |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 루이스 푸엔조[21] |
1986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인터필름상, 오토 디벨리우스 영화상 | 루이스 푸엔조 (영화 Un Complicato intrigo di donne, vicoli e delitti와 공동 수상) |
1986 |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
1987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다비드 외국 여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5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촬영상 | 펠릭스 몬티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감독상 | 루이스 푸엔조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편집상 | 후안 카를로스 마시아스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작품상 |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신인 여우상 | 아날리아 카스트로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각본상 | 아이다 보르트닉과 루이스 푸엔조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남우조연상 | 파트리시오 콘트레라스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조연상 | 첼라 루이즈 |
1986 | ACE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6 | ACE상 | 감독상 | 루이스 푸엔조 |
1986 | ACE상 | 작품상 |
7. 1. 아카데미 시상식
제58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20]연도 | 상 이름 | 부문 | 수상자 |
---|---|---|---|
1986 | 제58회 아카데미 시상식 | 외국어영화상 | 루이스 푸엔조 |
1985 | 로스앤젤레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영화 란과 공동 수상) |
1986 | 골든 글로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
1985 | 토론토 국제 영화제 | 관객상 | 루이스 푸엔조 |
칸 영화제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 | 루이스 푸엔조[21] | ||
1986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인터필름상, 오토 디벨리우스 영화상 | 루이스 푸엔조 (영화 Un Complicato intrigo di donne, vicoli e delitti와 공동 수상) |
1986 |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최우수 외국어 영화 | |
1987 |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 다비드 외국 여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5 |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1986 | 아르헨티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촬영상 | 펠릭스 몬티 | ||
감독상 | 루이스 푸엔조 | ||
편집상 | 후안 카를로스 마시아스 | ||
작품상 | |||
신인 여우상 | 아날리아 카스트로 | ||
각본상 | 아이다 보르트닉과 루이스 푸엔조 | ||
남우조연상 | 파트리시오 콘트레라스 | ||
여우조연상 | 첼라 루이즈 | ||
1986 | ACE상 | 여우주연상 | 노르마 알레안드로 |
감독상 | 루이스 푸엔조 | ||
작품상 |
7. 2. 칸 영화제
1985년 칸 영화제에서 노르마 알레안드로가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루이스 푸엔조는 에큐메니컬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21]7. 3. 골든 글로브 시상식
1986년 제43회 골든 글로브상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였다.[20]참조
[1]
웹사이트
Channel 4
http://geo.channel4.[...]
2007-12-09
[2]
웹사이트
Time Out London
http://www.timeout.c[...]
2006-05-23
[3]
웹사이트
Atrocities in Argentina (1976–1983)
https://www.hmh.org/[...]
[4]
웹사이트
Advertencia
http://www.desaparec[...]
CONADEP
[5]
웹사이트
The 58th Academy Awards (1986) Nominees and Winners
http://www.oscars.or[...]
2013-11-10
[6]
간행물
Las 100 mejores del periodo 1933-1999 del Cine Argentino
https://drive.google[...]
Museo del Cine Pablo Ducrós Hicken
2022-11-21
[7]
웹사이트
Top 100
https://encuestadeci[...]
Encuesta de cine argentino 2022
2022-11-13
[8]
웹사이트
Las 20 mejores películas argentinas de la historia
https://www.fotogram[...]
Hearst España
2022-12-06
[9]
웹사이트
The Vanished Gallery
http://www.yendor.co[...]
[10]
서적
Cinebooks: Foreign Films
McPherson's Publishing
[11]
웹사이트
Social and Cultural Circularity in La historia oficial
http://www.lehman.cu[...]
[12]
웹사이트
Cinergía
http://lilt.ilstu.ed[...]
2006-12-09
[13]
뉴스
new internationalist
http://newint.org/fe[...]
2012-05-13
[14]
서적
Ibid
[15]
뉴스
Mothers of Plaza De Mayo: Justice for disappeared loved ones, one step at a (long) time
http://www.thejakart[...]
The Jakarta Post
2013-05-13
[16]
뉴스
Screen: Argentine Love And Loss
https://movies.nytim[...]
The New York Times
1985-11-08
[17]
뉴스
The Official Story
http://rogerebert.su[...]
Chicago Sun-Times
2008-01-08
[18]
웹사이트
Spirituality and Practice, film review
http://www.spiritual[...]
2008-01-08
[19]
뉴스
The Official Story
http://www.chicagore[...]
The Chicago Reader
2012-05-13
[20]
Youtube
"The Official Story" Wins Foreign Language Film: 1986 Oscars
https://www.youtube.[...]
[21]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Official Story
http://www.festival-[...]
2009-06-28
[22]
웹사이트
1985 Award Winners
http://www.nationalb[...]
National Board of Review of Motion Pictures
2016-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