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계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계면은 대한민국 강릉시 최남단에 위치한 면으로, 과거 예국의 땅이었으며 신라 시대에는 우계현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강릉대도호부 소속, 조선 시대에는 강릉현 우계면으로 불리다가 1941년 옥계면으로 개칭되었다. 동해, 정선군, 동해시와 접하며, 금진리, 낙풍리 등 9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옥계초등학교, 금진초등학교, 옥계중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주문진읍
    주문진읍은 강릉시에 있는 읍으로, 과거 지산현, 신리면을 거쳐 일제강점기 주문진면으로 개칭된 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현재 5개의 리와 강원도립대학교 등의 교육기관, 복지시설, 그리고 다양한 관광지와 축제가 있는 곳이다.
  • 강릉시의 행정 구역 - 교동 (강릉시)
    교동은 강릉시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강릉역이 있으며 교동초등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교가 밀집한 교육 중심지이고, 1990년대 후반부터 아파트 단지들이 조성되고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정선읍
    정선읍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 위치한 읍으로, 국도와 철도가 지나 교통의 요지이며, 메밀, 황기, 옥수수 등의 특산물이 있고, 조양강이 읍 중앙부를 흐르며, 정선군청 등 다양한 행정 기관이 위치해 있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읍·면 - 평창읍
    평창읍은 강원도 평창군의 행정 중심지로, 태백산맥 서쪽 산악 지형에 위치하며 평창강이 흐르고, 담배, 견직물, 꿀 생산과 월정사 등의 문화재 및 관광지로 알려져 있으며, 2018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서 지역 경제에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옥계면 - [지명]에 관한 문서
옥계면
강릉 지도
강릉 지도
일반 정보
한자 표기玉溪面
영문 표기Okgye-myeon
광역시도강원특별자치도
시군구강릉시
면적148.83
세대2,039
세대 조사2011
인구3,475
인구 조사2022년 2월
법정리9
행정리20
92
면사무소옥계면 현내시장길 30
홈페이지옥계면 주민센터

2. 연혁

옥계면은 옛 예국의 땅으로서 한사군(漢四郡) 때 임둔(臨屯) 땅이었고, 고구려 미천왕 14년(313년)에 현재 묵호 지역을 포함하여 아슬라주(何瑟羅州) 우곡현(羽谷縣)에 속하였다. 신라 내물왕 42년(397년)에 신라 영토로 편입된 이후 경덕왕 16년(757년)에 삼척군의 속현인 우계현(羽谿縣)이라 하였다.

고려 현종 9년(1018년) 강릉대도호부 소속 우계현이 되었고, 조선 정조 6년(1782년) 강릉현 우계면이라 칭하였다. 이후 줄곧 우계면이라 불렸다. 임영지에 의하면 1786년 당시 묵진(墨津), 현내(縣內), 북동(北洞), 산계(山溪), 천남(川南), 오곡(梧谷) 등 6개 리가 있었다.

1941년 옥천우계(玉泉羽溪)의 의미로 강릉군 옥계면(玉溪面)으로 개칭하였고, 1955년 명주군 옥계면으로, 1995년 시군 통합으로 강릉시 옥계면이 되었다.

3. 지리

옥계면은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다.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한 시멘트 생산 공장, 시멘트 운반 선로 옥계항, 평온한 농촌, 금진항의 어촌이 독특한 풍경을 보여준다. 국도 제7호선동해고속도로가 해안으로 관통하여 강릉 시내와 동해시로 연결되고, 북동골, 산계골, 남양골로 불리는 내륙 마을은 지방도와 리도가 이어준다.[1] 마을마다 서낭제, 짐대제 등 고대 민속 신앙이 행해지고 있고, 산계리 3층 석탑, 옥계굴 등 6개의 지정 문화재를 비롯하여 선사 유적, 호열비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 옥계, 금진, 도직 해수욕장과 석병산 등 산로는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1] 한때는 인구가 많아 옥계역과 옥계 시외버스 정류장도 존재하였다.

3. 1. 위치 및 지형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서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인접해 있고, 면적은 148.02km2로 강릉시 전체 면적의 14.2%를 차지한다. 석병산, 자병산, 두리봉, 망덕봉, 만덕봉 등으로 이어지는 연봉들로 둘러싸여 있고 낙풍천, 주수천, 남양천 주위로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해와도 닿아 있다.[1] 동쪽은 동해, 서쪽은 두리봉과 석병산, 남쪽은 옻재를 경계로 하고 북쪽은 선목이와 밤재를 경계로 한다.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으며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한 시멘트 생산공장, 시멘트 운반선로 옥계항과 이와 대조적으로 평온한 농촌과 금진항의 어촌이 독특한 인문적 풍경을 보여준다. 해안으로 관통되는 국도 제7호선동해고속도로를 통해 강릉 시내와 동해시로 연결되고 북동골, 산계골, 남양골로 호칭되는 내륙 마을을 지방도와 리도가 이어주고 있다.[1]

3. 2. 하천

옥계면에는 낙풍천, 주수천, 남양천이 흐르며, 이 하천들 주위로 평야가 형성되어 있다.[1]

3. 3. 산

옥계면은 석병산, 자병산, 두리봉, 망덕봉, 만덕봉 등으로 이어지는 연봉들로 둘러싸여 있다.[1]

4. 행정 구역

법정리한자명행정리
금진리金津里금진1리, 금진2리, 금진3리
낙풍리樂豊里낙풍1리, 낙풍2리
남양리南陽里남양1리, 남양2리, 남양3리
도직리道直里도직리
북동리北洞里북동리
산계리山溪里산계1리, 산계2리, 산계3리
주수리珠樹里주수1리, 주수2리
천남리川南里천남리
현내리縣內里현내1리, 현내2리, 현내3리, 현내4리


5. 인문 환경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있는 행정구역으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접해 있다. 면적은 148.02km2로 강릉시 전체 면적의 14.2%를 차지한다.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으며,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한 시멘트 생산 공장, 시멘트 운반 선로 옥계항과 평온한 농촌, 금진항의 어촌이 독특한 인문적 풍경을 보여준다.[1] 한때 인구가 많아 옥계역과 옥계 시외버스 정류장 등이 있었다.

5. 1. 산업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인접해 있다. 면적은 148.02km2로 강릉시 전체 면적의 14.2%를 차지한다.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으며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한 시멘트 생산공장, 시멘트 운반선로 옥계항과 이와 대조적으로 평온한 농촌과 금진항의 어촌이 독특한 인문적 풍경을 보여준다.[1] 한때는 인구도 상당하여 옥계역과 옥계 시외 버스 정류장 등도 존재하였다.

5. 2. 교통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인접해 있다. 국도 제7호선동해고속도로가 해안을 관통하여 강릉 시내와 동해시로 연결되며, 북동골, 산계골, 남양골로 불리는 내륙 마을은 지방도와 리도가 이어주고 있다.[1] 한때 인구가 많아 옥계역과 옥계 시외버스 정류장 등이 있었다.

5. 3. 문화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서 강릉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인접해 있다. 석병산, 자병산, 두리봉, 망덕봉, 만덕봉 등으로 이어지는 연봉들로 둘러싸여 있고 낙풍천, 주수천, 남양천 주위로 평야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해와도 닿아 있다.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으며 풍부한 석회석을 바탕으로 한 시멘트 생산공장, 시멘트 운반선로 옥계항과 이와 대조적으로 평온한 농촌과 금진항의 어촌이 독특한 인문적 풍경을 보여준다.[1]

마을마다 서낭제, 짐대제 등 고대 민속신앙이 행해지고 있고, 산계리 3층석탑, 옥계굴 등 6개의 지정문화재를 비롯하여 선사유적, 호열비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으며 옥계, 금진, 도직 해수욕장과 석병산 등 산로가 관광명소로 유명하다.[1]

6. 지명 유래

옥계면은 본래 강릉군 우계현(羽溪縣) 지역이었다. 1916년 행정구역 변경으로 현내리, 금진리, 낙풍리, 산계리, 북동리, 도직리, 남양리, 주수리, 천남리가 옥계면에 속하게 되었다. 옥계면의 옛 지명은 옥천현(玉泉縣)이었으며, 현내리는 옥천현 시절 고을 현감이 살던 곳이다.[1]

7. 관광

옥계면은 강릉시 최남쪽에 위치한 행정구역으로서 강동면, 왕산면, 정선군 임계면, 동해시와 인접해 있다. 산, 들, 바다를 모두 갖추고 있어 농업, 어업, 광산업이 발달하였으며 옥계, 금진, 도직 해수욕장과 석병산 등 산로가 관광 명소로 유명하다.[1] 마을마다 서낭제, 짐대제 등 고대 민속 신앙이 행해지고 있고, 산계리 3층석탑, 옥계굴 등 6개의 지정 문화재를 비롯하여 선사 유적, 호열비 등 다수의 문화재가 있다.[1]

8. 교육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