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옥에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옥에오는 베트남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했던 고대 유적지로,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2세기까지 번성했다. 고대 운하 체계로 해안과 연결되어 다른 도시들과 교역했으며, 450헥타르 규모의 유적지에서 자기류, 공구, 장신구, 로마 금 메달, 쿠샨 왕조의 불상 머리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옥에오는 푸난 왕국의 일부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동남아 해상 무역의 중요한 거점으로서 도시화와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남 - 브야다푸라
    브야다푸라는 훈 판황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사냥꾼 왕의 도시로, 푸난 왕국 초기의 수도였으며 바 프놈 근처에 위치했고, 중국 기록에 따르면 바다에서 약 193km 떨어져 있었으며, 폴 펠리오에 따르면 하위 첸라의 수도였다.
  • 부남 - 카티가라
    카티가라는 2세기 프톨레마이오스가 《지리학》에서 인도양의 가장 동쪽, 적도 남쪽 8½° 지점에 있다고 기록한 땅으로, '유명한 도시' 또는 '강력한 도시'를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현재의 호찌민 시로 추정된다.
  • 동남아시아의 고고문화 - 호아빈 문화
    호아빈 문화는 베트남 북부에서 발견된 홀로세 시대의 고고학 유적 집합체로, 뗀석기와 자갈 도구를 특징으로 하며,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발견되고 기원전 1만 7천 년 전부터 기원전 8천 년 전까지 존재했으며, 초기 농업 활동의 증거와 현대 동남아시아 일부 원주민 집단과의 유전적 연관성을 가진다.
  • 동남아시아의 고고문화 - 사후인 문화
    사후인 문화는 기원전 771년부터 기원전 221년까지 동남아시아에 존재했던 고대 문화로, 철기 유물과 항아리 매장, 링링오 옥 장신구, 광범위한 무역 네트워크가 특징이다.
  • 베트남의 유적 - 인드라푸라 (참파)
    875년경 인드라바르만 2세가 건설한 인드라푸라는 브르구 왕조 시대 참파의 고대 수도였으나, 대승 불교의 융성에도 불구하고 982년 대월의 공격으로 수도로서의 기능을 잃고 현재는 동즈엉으로 불리며 그 흔적을 찾기 어렵다.
  • 베트남의 유적 - 미선 유적
    미선 유적은 베트남 꽝남성에 위치한 4세기에서 13세기 사이 건설된 참파 왕국의 종교 및 문화 중심지로, 70여 개의 사원과 탑으로 구성되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옥에오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옥에오 시진 (Thị trấn Óc Eo)
기타 명칭어케오 (អូរកែវ, O'keo)
로마자 표기Oc Eo
한자 표기喔㕭
종류5급 시진
바테 산
옥에오 시진의 바테 산
행정 구역
국가베트남
지방메콩강 삼각주
안장성
토아이선현
지리
기타 정보
시간대ICT (+7)

2. 유적 위치

옥에오는 메콩강 삼각주의 저지대에 위치하며, 고대 운하 체계 안에 자리 잡고 있었다. 이 운하들은 옥에오를 해안 항구 및 앙코르 보레이와 같은 다른 주요 도시들과 연결했다. 유적지는 450 헥타르에 달하며, 수로로 나뉘어 있고 수상 가옥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9] 옥에오 문화 유적은 베트남 남부 전역, 특히 메콩 강 삼각주와 호치민시 주변에 집중되어 있다.

1958년 항공 사진을 통해, 과거 메콩강 지류가 옥에오 인근 타이만으로 흘렀으며, 옥에오가 해안과 운하로 연결되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30] 이 메콩강 지류는 프톨레마이오스지리학에서 '코티아리스'(Cottiaris)라고 부르던 강으로 추정된다.[31]

2. 1. 주요 유적지

옥에오 외에 가장 주목할 만한 유적지는 띠엔강 북쪽의 탑므어이현인데, 이곳에서 다른 유물들과 함께 6세기 산스크리트어 비문이 발견되었다.[29]

3. 유물

옥에오 유적에서는 도자기, 공구, 장신구, 주물, 주화, 종교 조각상 등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33] 로마 제국, 인도, 중국 등과의 교역을 보여주는 유물들이 출토되었으며, 호찌민시역사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36][11][21]

3. 1. 주요 유물

옥에오에서 발견된 유물은 자기류, 공구류, 장신구, 주물, 주화, 종교적 조각상 등 다양하다.[33] 특히 주목할 만한 유물은 다음과 같다.
옥에오에서 발견된 서기 6-7세기의 것으로 보는 인도 토착신 비슈누의 조각상 (호찌민시 역사박물관 소장)


이러한 유물들은 호치민시의 역사 박물관 또는 Museum of Vietnamese History|호치민시 베트남 역사 박물관영어에 전시되어 있다.[36][11][21]

4. 옥에오와 푸난

옥에오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2세기 사이에 메콩강 삼각주에서 번성했던 옛 푸난의 일부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푸난은 중국 문헌에 등장하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해상 무역 국가로, 인도 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바 테 옥 에오의 고고학 유적지 고 까이 티


옥에오는 기원전 2세기부터 서기 12세기 사이에 메콩 삼각주에서 번성했던 푸난에 속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푸난 왕국은 고대 중국 역사가들의 저작, 특히 왕조사 저술가들을 통해 알려졌는데, 그들은 중국 외교관과 여행자, 그리고 중국 황실에 파견된 외국(푸난 포함) 사절단의 증언을 인용했다.[40] "푸난"이라는 이름 자체는 중국 역사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고대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의 고고학적 기록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 자료를 통해 중국인들이 "푸난"이라고 불렀던 정치체가 메콩 삼각주 지역에서 지배적인 정치체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푸난 시대에 속하는 고고학적 발견은 푸난의 역사적 정치체와 동일시되었으며, 옥에오와 관련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물은 푸난의 물질 문화에 대한 주요 자료이다.

푸난은 고대 인도 텍스트에서 수바르나부미라고 불리는 동남아시아 지역의 일부였으며, 이 용어가 처음 적용된 지역이었을 수 있다.[16]

옥에오와 앙코르 보레이를 잇는 고대 운하


옥에오의 발굴은 1942년 2월 10일 프랑스 고고학자 루이 말레레( Louis Malleret영어 )가 항공 사진에서 유적을 발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유적군의 범위는 450헥타르에 달했다.

옥에오는 메콩 삼각주의 저지 평원을 종횡으로 잇는 고대 운하 네트워크 안에 위치해 있었으며, 옥에오와 바다 항구를 잇는 운하 중 하나는 북북서쪽으로 약 67km 떨어진 앙코르 보레이까지 연결되어 있었다. 옥에오는 운하에 의해 남북으로 분단되었으며, 4개의 운하가 동서로 뻗어 있었고, 그 운하는 메콩 삼각주 지역에서 현재에도 볼 수 있는 수상 가옥에 둘러싸여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17]

옥에오 문화를 반영한 유적군은 베트남 남부 전역에 퍼져 있지만, 특히 호치민시보다 남서쪽의 메콩 삼각주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현재의 옥에오 시진에서 떨어진 곳에서 가장 중요한 유적군은 메콩강의 동쪽 흐름(송티엔)에 위치하며, 동탑성까오라인 시의 동쪽, 동탑성 텁므어이현에 있으며, 여기에서 6세기의 산스크리트어 비문이 발견되었다.

1958년에 촬영된 항공 사진에 의해, 푸난 시대에는 메콩강의 지류가 따께오 주변에서 태국만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따께오는 옛날에는 해안에 면해 있었으나, 후에 퇴적 작용에 의해 해안선과 멀어졌다고 여겨진다. 푸난 시대의 옥에오는 운하로 따께오와 연결되어 있었고, 옥에오도 태국만 깊숙한 곳으로 연결되는 경로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18]

4. 1. 푸난과의 관계 논쟁

일부 학자들은 옥에오를 중심으로 메콩 강 삼각주에서 버마까지 널리 퍼진 '푸난 문화'의 존재를 주장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유물 유사성이 교역의 결과일 뿐이며 각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 발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다. 베트남 역사학자 하 반 떤은 옥에오 유적에서 발견된 유물들은 교역의 결과일 뿐이며, 각 지역의 독자적인 문화 발전을 보여준다고 주장했다.[38] 그는 '푸난'이라는 명칭 대신 고대 크메르 지명을 사용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주장했다.[38] 하 반 떤은 신석기 말 또는 금속 시대 초부터 옥에오가 점차 메콩 강 삼각주의 경제와 문화 중심지로 부상했고, 동남아 해상무역에 중요한 지점에 위치하여 수공업자와 무역업자들의 교류 장소가 되었으며, 이는 특히 인도 등 외국의 영향을 받으며 도시화를 위한 적절한 상태를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내부 발전을 자극했다고 주장했다.[39]

5. 옥에오의 중요성

옥에오는 신석기 시대 말기부터 금속 시대 초기에 걸쳐 메콩강 삼각주의 경제, 문화 중심지로 부상했다.[39] 동남아시아 해상 무역로의 요충지에 위치하여 장인과 상인들이 모여드는 국제적인 도시였다.[39] 이러한 지리적 이점은 옥에오가 외부, 특히 인도의 영향을 받아 도시화를 이루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39] 옥에오는 푸난 왕국의 주요 항구 도시 중 하나였으며, 푸난의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 역할을 수행했다.

참조

[1] 간행물 Recognition of Oc Eo Culture Relic in Thoai Son District an Giang Province, Vienam http://asrjetsjourna[...] 2017-10-06
[2] 문서 "the most probable site of Kattigara is Óc Eo in modern An Giang province of Vietnam"
[3] Youtube Roman merchants in Indochina https://bjuniornewbl[...]
[4] 간행물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es by the École Français d’Extrême Orient, French Indo-China, 1940–1945"
[5] 간행물 "Ancient canals and environments of the Mekong Delta, Vietnam" 1980-02
[6] 간행물 Researches on Ptolemy's Geography of Eastern Asia; Asiatic Society Monographs http://dfg-viewer.de[...]
[7] 서적 "The Riddle of Cattigara," in Robert Nichols and Martin Woods (eds), Mapping Our World: Terra Incognita to Australia 2013
[8] 간행물 "Le trace de Rome en Indochine"
[9]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2014
[10] 간행물 "Some Western Imports assigned to the Oc Eo Period Reconsidered"
[11]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2001
[12] 간행물 "Óc Eo – Cảng thị quốc tế của Vương quốc Phù Nam (Óc Eo – International Trade Port of Funnan Kingdom)" 2011
[13] 웹사이트 Curry may have landed in Southeast Asia 2000 years ago https://www.science.[...]
[14] 간행물 "‘Funan’, ‘Zhenla’: The Reality Concealed by these Chinese Views of Indochina"
[15] 간행물 "Óc Eo: Endogenous and Exogenous Elements" 1986
[16] 간행물 «Le Bouddhisme au Cambodge»
[17] 간행물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es by the École Français d’Extrême Orient, French Indo-China, 1940–1945"
[18] 간행물 “Ancient canals and environments of the Mekong Delta, Vietnam” 1980-02
[19] 간행물 Researches on Ptolemy's Geography of Eastern Asia; Asiatic Society Monographs http://dfg-viewer.de[...]
[20] 간행물 “Le trace de Rome en Indochine”
[21] 서적 物語 ヴェトナムの歴史 一億人国家のダイナミズム
[22] 간행물 “Óc Eo - Cảng thị quốc tế của Vương quốc Phù Nam (Óc Eo – International Trade Port of Funnan Kingdom)” 2011
[23] 간행물 "‘Funan’, ‘Zhenla’: The Reality Concealed by these Chinese Views of Indochina”
[24] 간행물 "Óc Eo: Endogenous and Exogenous Elements" 1986
[25] 간행물 «Le Bouddhisme au Cambodge»
[26] 저널 Recognition of Oc Eo Culture Relic in Thoai Son District an Giang Province, Vienam http://asrjetsjourna[...] 2017-10-06
[27] 문서 "the most probable site of Kattigara is Óc Eo in modern An Giang province of Vietnam"
[28] Youtube Roman merchants in Indochina https://bjuniornewbl[...]
[29] 간행물 "Recent Archaeological Researches by the École Français d’Extrême Orient, French Indo-China, 1940–1945"
[30] 간행물 "Ancient canals and environments of the Mekong Delta, Vietnam" 1980-02
[31] 간행물 Researches on Ptolemy's Geography of Eastern Asia; Asiatic Society Monographs http://dfg-viewer.de[...]
[32] 서적 "The Riddle of Cattigara," in Robert Nichols and Martin Woods (eds), Mapping Our World: Terra Incognita to Australia 2013
[33] 간행물 "Le trace de Rome en Indochine"
[34] 서적 Early Mainland Southeast Asia 2014
[35] 간행물 "Some Western Imports assigned to the Oc Eo Period Reconsidered"
[36] 서적 Rome's Eastern Trad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mperial Policy, 31 BC - AD 305 2001
[37] 논문 Óc Eo – Cảng thị quốc tế của Vương quốc Phù Nam (Óc Eo – International Trade Port of Funnan Kingdom) 2011
[38] 논문 ‘Funan’, ‘Zhenla’: The Reality Concealed by these Chinese Views of Indo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39] 간행물 Óc Eo: Endogenous and Exogenous Elements 1986
[40] 논문 Le Bouddhisme au Cambodge Gallimard 1987
[null] 논문 India and Thailand: Early Trade Routes and Sea Ports Y.K. Publishers 1988
[null] 서적 The Ascendancy of Theravada Buddhism in Southeast Asia Silkworm Books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