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티가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티가라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의 지리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인도양 극동 만의 땅에 붙인 명칭이다. 어원은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되었으며, 18세기 프랑스 지리학자 장밥티스트 부르기뇽 당빌은 메콩강 하류에 위치시켰다. 학계에서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카티가라가 메콩강 하류의 사이공 전신이며, 옥에오 유적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 유물을 통해 동서 교역의 중심지였음을 뒷받침한다. 또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등 초기 탐험가들이 카티가라를 찾으려 했으나, 결국 발견하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남 - 옥에오
    옥에오는 1세기에서 5세기 사이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하며 해상 무역 중심지였던 고대 도시로, 로마, 인도, 중국 등 다양한 지역과의 교역 흔적과 복잡한 수로 체계가 특징이며, 도시화 과정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 부남 - 브야다푸라
    브야다푸라는 훈 판황을 기리기 위해 이름 붙여진 사냥꾼 왕의 도시로, 푸난 왕국 초기의 수도였으며 바 프놈 근처에 위치했고, 중국 기록에 따르면 바다에서 약 193km 떨어져 있었으며, 폴 펠리오에 따르면 하위 첸라의 수도였다.
  • 동남아시아의 역사 - 믈라유 왕국
    믈라유 왕국은 수마트라에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다양한 어원에서 기원한 '멜라유' 또는 '말레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스리비자야의 중심지로서 전성기를 누렸으나 마자파히트 왕국에 정복된 후 마지막 왕자가 말라카 술탄국을 건국했다.
  • 동남아시아의 역사 - 야마시타 도모유키
    일본 제국 육군 대장 야마시타 도모유키는 말레이 작전 지휘로 "말레이의 호랑이"라는 명성을 얻었으나, 종전 후 전쟁 범죄 혐의로 사형당했고, 그의 재판은 지휘 책임에 대한 논쟁과 '야마시타 기준'이라는 법적 선례를 남겼다.
  • 고대 도시 - 로마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이자 고대 로마 제국의 중심지로,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문화유산을 지닌 세계적인 도시이며, 왕정과 공화정을 거쳐 로마 제국을 건설하고 지중해 세계를 지배했으며, 가톨릭 교회의 중심지로서 유럽 역사와 르네상스 및 바로크 시대 예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쳤고, 현재는 이탈리아와 유럽 연합의 중요한 중심지이다.
  • 고대 도시 - 바빌론
    바빌론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의 도시 국가이자 여러 왕조의 수도로,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시대의 번영으로 유명하며, 다양한 문명의 흔적을 간직한 채 현재 이라크에 위치, 201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고, 문화적, 종교적 상징성이 커 현대 예술 및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모티프로 사용된다.
카티가라
위치 정보
일반 정보
유형항구 도시, 교역 중심지
위치황해 근처
좌표8°30′N 106°36′E (추정)
연대기원후 2세기
설명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언급된 고대 동남아시아의 항구 도시
역사적 맥락
주요 활동로마 제국과 중국 간의 교역 중개
관련 인물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지리적 추정
위치 비정오케오
트라빈
자바섬
말라야 반도
역사
기록150년 경, 알렉산드리아의 프톨레마이오스가 카티가라를 극동 지역의 가장 중요한 항구로 묘사
교역로마 제국 상인들은 카티가라를 통해 중국과 교역
카티가라는 금, 은, 직물 등을 수입하고 향신료, 상아 등을 수출
몰락카티가라의 정확한 위치가 잊혀지고, 그 중요성이 감소
논란
위치 논쟁카티가라의 위치에 대한 다양한 추측 존재
역사적 진실성카티가라의 실제 존재 여부에 대한 의문 제기
추가 정보
참고 문헌George Coedès (1968).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University of Hawaii Press.
Paul Wheatley (1983). 《Nāgara and Commandery: Origins of the Southeast Asian Urban Traditions》. 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Geography, Research Papers nos. 207-208.

2. 프톨레마이오스의 묘사

카티가라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그리스 지리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그의 저서 《지리학》에서 언급한 지명이다.[2][22] 그는 카티가라를 인도양의 가장 동쪽 해안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묘사했다.[2]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에 따르면 카티가라는 적도에서 남쪽으로 8.5°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었으나,[2][22] 이는 후대에 필사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로 여겨진다.[4][24] 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가 의도했던 실제 위치는 적도 북쪽 8.5° 지점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4][24]

2. 1. 카티가라의 어원

'카티가라'라는 명칭은 산스크리트어 कीर्ति- नगर|키르티나가라sa('명성이 자자한 도시') 또는 कोटि-नगर|코티나가라sa('강력한 도시')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

2. 2. 카티가라의 위치 비정

당빌의 지도 'Orbis Veteribus Notus'(고대인들에게 알려진 세계)에 메콩강(Cotiaris) 어귀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된 카티가라.


카티가라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그리스 지리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지명으로, 그는 인도양 가장 동쪽 해안의 땅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필사 과정의 오류로 인해 적도 남쪽 8.5°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잘못 기록되었다.[2][22] 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가 기록한 카티가라의 실제 위치는 적도 북쪽 8.5° 지점이며, 현재 베트남 사이공의 전신으로서 메콩강 하구의 주요 항구이자 무역 중심지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4][24]

'카티가라'라는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는 산스크리트어 कीर्ति- नगर|키르티나가라sa(Kīrtinagara, '명성 높은 도시') 또는 कोटि-नगर|코티나가라sa(Koṭinagara, '강력한 도시')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3][23]

카티가라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학자들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1767년 존 캐버힐(John Caverhill)은 카티가라가 메콩 델타의 항구였던 반띠미어(Banteaymeas, 현재의 하띠엔)이며, 고고학 유적지인 옥에오에서 멀지 않다고 추정했다.[7][26] 제러미 H.C.S. 데이비슨은 1979년에 하띠엔과 옥에오의 관계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았다.[8][27] 18세기 프랑스의 저명한 지리학자 장밥티스트 부르기뇽 당빌 역시 그의 지도 'Orbis Veteribus Notus'(고대인들에게 알려진 세계)에서 카티가라(그는 Cottiaris로 표기)를 메콩강 하류에 위치시켰다.[9][28] 스웨덴의 작가 비에른 란스트룀 또한 고대 상인이자 항해사였던 알렉산드로스가 남긴 항해 기록을 분석하여 카티가라가 메콩강 하류에 있었다고 결론지었다.[10][29]

현대에 들어서는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카티가라의 위치가 더욱 명확해지고 있다. '초기 동남아시아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조르주 세데스는 3세기 중반 푸난 왕국이 이미 중국 및 인도와 교류하고 있었으며, 그리스 항해사들이 도달했던 가장 동쪽 지점이 시암만 서쪽 해안이었을 것이므로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 항구는 이 지역, 특히 옥에오 유적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11][30] A. H. 크리스티 역시 1979년, 옥에오 유적에서 발견된 소수의 로마 시대 유물이 이곳이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라는 주장에 힘을 실어준다고 언급했다.[12][31] 독일의 고전학자 알브레히트 딜레는 알렉산드로스의 항해 경로 기록과 옥에오에서 발견된 2세기 로마 유물을 근거로 카티가라가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했을 것이라는 견해를 지지했다.[13][32] 그는 알렉산드로스가 말라카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한 뒤, 다시 해안을 따라 남동쪽으로 이동하여 카티가라에 도착했다는 기록을 중요한 근거로 제시했다.[13][32]

아디르 차크라바르티는 코친차이나 지역 옥에오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유물들이 이곳이 푸난 왕국의 주요 항구였음을 명백히 증명하며,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와 동일시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14][33] 고대 인도 문명 연구자인 루치아노 페테치 또한 옥에오에서 인도 보석, 중국 청동 거울과 함께 안토니누스 피우스 시대의 로마 동전을 포함한 여러 로마 유물이 발굴된 점을 들어 카티가라가 메콩강 삼각주, 특히 옥에오 지역에 위치했다고 보았다.[15]

이처럼 여러 학자들의 연구와 옥에오 유적에서 발견된 고고학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오늘날 학계에서는 카티가라를 현재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했던 고대 항구 도시, 특히 옥에오 유적과 동일시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는 당시 이 지역이 동서양을 잇는 중요한 해상 교역 중심지였음을 시사한다.

3. 콜럼버스의 참바 탐색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를 바탕으로 신세계를 탐험하던 초기 탐험가들은 카티가라로 가는 길을 찾고자 했다.[34][16] 이러한 배경 속에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역시 그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항해(1502년–1503년)에서 참파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여 카티가라 곶을 돌아 말라카에 도달하려는 계획을 세웠다.[35][17] 그는 이 과정에서 코스타리카 해안의 카리아이(Cariay)에 도착했을 때, 자신이 찾던 참파의 황금 광산에 가까워졌다고 믿기도 했다.[37][19] 그러나 결국 콜럼버스는 참파나 카티가라 곶의 어떤 지역에도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 밝혀졌다.[20]

3. 1. 콜럼버스의 항해 계획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1503년에 진행된 그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항해에서 카티가라를 경유하는 경로를 계획했다.[35][17] 그는 참파(치암바)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여 카티가라 곶을 돌아간 뒤, 신세계와 카티가라를 분리한다고 생각한 해협을 통과하여 시누스 마그누스(타이만)를 거쳐 말라카에 도달하고자 했다. 콜럼버스는 이 경로가 1292년 마르코 폴로가 중국에서 인도로 갔던 길이라고 믿었다.[35][17]

또한 콜럼버스는 희망봉 부근에서 바스코 다 가마가 이끄는 포르투갈 탐험대와 만날 계획을 세웠으며, 이를 위해 스페인 군주가 다 가마에게 전달할 신임장을 소지하고 있었다.[36][18]

항해 중 코스타리카 해안의 카리아이(Cariay)에 도착했을 때, 콜럼버스는 자신이 찾던 참파의 황금 광산에 가까워졌다고 생각했다. 1503년 7월 7일, 그는 자메이카에서 "나는 카리아이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나는 내가 찾고 있던 참바 (참파)의 황금 광산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라고 기록하기도 했다.[37][19]

그러나 결국 콜럼버스는 참파나 카티가라 곶의 어떤 지역에도 도달하지 못했다는 것이 밝혀졌다.[20]

3. 2. 카티가라 탐색의 결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를 참고한 신세계 탐험가들은 초기에 카티가라로 가는 길을 찾으려고 노력했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도를 수정한 헨리쿠스 마르텔루스 게르마누스의 1489년 세계 지도에서는 아시아 대륙이 남동쪽의 카티가라 곶에서 끝나는 것으로 묘사되었다.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499년 항해 기록에서, 스페인을 출발하여 서쪽으로 대서양을 건너 카티가라 곶을 돌아 말레이반도(황금 반도) 동쪽에 위치한 Sinus Magnus|시누스 마그누스la(타이만)를 통해 말라카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를 밝혔다.[34][16]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1502년부터 1503년까지 이어진 그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항해에서 참파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항해하여 카티가라 곶을 통과한 뒤, 신세계와 카티가라를 나누는 해협을 거쳐 Sinus Magnus|시누스 마그누스la(타이만)를 통해 말라카로 가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이 경로가 1292년 마르코 폴로가 중국에서 인도로 갔던 길이라고 생각했다.[35][17] 콜럼버스는 또한 바스코 다 가마가 이끄는 포르투갈 탐험대가 희망봉을 돌아 항해하여 만날 것을 예상하고, 스페인 군주가 다 가마에게 전달할 신임장을 소지하고 있었다.[36][18] 코스타리카 해안의 카리아이(Cariay)에 도착했을 때, 콜럼버스는 자신이 참파의 금광 근처에 있다고 믿었다. 1503년 7월 7일, 그는 자메이카에서 "나는 카리아이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내가 찾던 참파의 금광에 대한 소식을 들었다"고 기록했다.[37][19]

그러나 결국 콜럼버스는 참파나 카티가라 곶의 어느 지역에도 도달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카티가라를 찾으려는 시도는 16세기 초까지 계속되었다.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끈 탐험대의 세계 일주 이후, 요하네스 쇠너태평양이 바로 Sinus Magnus|시누스 마그누스la(타이만)이며, 카티가라는 남아메리카 서해안에 위치한다고 결론지었다. 오론스 피네와 디에프 지도 제작자들도 이러한 견해를 따랐으나, 결국 지리학자들과 지도 제작자들은 카티가라를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인정하게 되었다. 수학자이자 우주학자인 게마 프리시우스는 1531년에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카티가라를 적도 너머 멀리 뻗어 있는 것으로 묘사하고, 다른 이들이 의심스러운 추론으로 여러 왕국과 인접해 있다고 말했지만, 적도 양쪽에서 반복적인 항해가 이루어진 후에도 대륙은 발견되지 않았고, 대신 거의 무한한 수의 섬들만 발견되었다."[20]

4. 카티가라와 옥에오 유적



카티가라는 2세기 알렉산드리아그리스 지리학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극동 지역의 항구이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카티가라를 적도 남쪽 8½° 지점, 인도양 동쪽 끝 만에 위치한다고 기록했으나[22], 이는 오류로 여겨진다. 학계에서는 실제 위치가 적도 북쪽 8½° 지점이며, 현재의 사이공 인근 메콩강 하류의 주요 항구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24]

'카티가라'(Cattigara)라는 이름은 '유명한 도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 '키르티나가라'(कीर्ति- नगर) 또는 '강력한 도시'를 뜻하는 '코티나가라'(कोटि-नग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3]

여러 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의 유력한 위치로 베트남 남부 메콩 델타 지역, 특히 옥에오 유적지를 지목해왔다. 18세기 프랑스 지리학자 장밥티스트 부르기뇽 당빌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카티가라를 메콩강 하류에 위치시켰다.[28][29]

옥에오 유적에서 발굴된 로마 시대 유물 등 고고학적 증거들은 옥에오가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일 가능성을 뒷받침하며[31][32], 이곳이 고대 후난의 주요 항구이자 동서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시사한다.[33]

4. 1. 옥에오 유적의 발굴



1767년, John Caverhill은 카티가라가 옥에오[25]에서 멀지 않은 메콩 델타의 항구 반띠미어(Banteaymeas, 오늘날 하띠엔)라고 추론하였다.[26] 18세기 프랑스의 지리학자 장밥티스트 부르기뇽 당빌 역시 카티가라를 메콩강 하류에 위치시켰으며(Cottiaris로 표기), 이는 그의 지도 'Orbis Veteribus Notus|고대인들에게 알려진 세계lat'에 나타나 있다.[28] 스웨덴의 요트 조종사이자 저술가인 비에른 란스트룀 또한 고대 상인 알렉산드로스가 제시한 항해 방향을 분석하여 카티가라가 메콩강 하류에 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29]

'초기 동남아시아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조르주 세데스는 3세기 중엽 후난이 이미 중국과 인도와의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시암만 서쪽 해안이 그리스 항해사들이 도달한 가장 먼 지점이었고,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 항구가 바로 이곳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30]

옥에오 유적의 발굴은 이러한 추정에 중요한 근거를 제공했다. A.H. Christie는 1979년 옥에오에서 발견된 소수의 로마 시대 유물이 이곳이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라는 추측에 무게를 더한다고 주장했다.[31] 독일의 고전학자 알브레히트 딜레 역시 프톨레마이오스가 기록한 알렉산드로스의 항해 경로를 분석하며 이 관점을 지지했다. 딜레에 따르면, 알렉산드로스의 항해 기록을 통해 볼 때 카티가라는 말라카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항해한 뒤 남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도달한 곳이므로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그는 또한 고대 후난 왕국이 있었던 메콩 삼각주 서쪽 옥에오에서 엠포리움(시장)이 발굴되었고, 기원후 2세기의 로마 유물이 발견되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32]

아디르 차크라바르티 또한 코친차이나 지역 옥에오에서 발굴된 고고학 유물들이 이곳이 후난의 주요 항구였음을 명백히 증명하며, 말라레와 세데스가 제시한 것처럼 프톨레마이오스의 카티가라 엠포리움과 동일시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33] 이러한 발굴 결과들은 옥에오가 고대 동서 교역의 중요한 거점이었음을 시사한다.

4. 2. 옥에오 유적의 중요성

옥에오 유적은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고대 항구 도시 카티가라의 위치를 밝히는 데 중요한 고고학적 증거로 여겨진다. 여러 학자들이 옥에오와 카티가라의 연관성을 주장해왔다.

1767년, John Caverhill은 카티가라가 옥에오[25]에서 멀지 않은 메콩 델타의 항구 반띠미어(Banteaymeas, 현재의 하띠엔)일 것이라고 추론했다.[26] 그러나 1979년 Jeremy H.C.S. Davidson은 하띠엔과 옥에오 지역에 대한 역사적 맥락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지적했으며, 이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27]

'초기 동남아시아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조르주 세데스는 3세기 중엽 후난이 이미 중국, 인도와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시암만 서쪽 해안이 그리스 항해사들이 도달한 가장 먼 지점이었고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 항구가 존재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보았다.[30] A.H. Christie는 1979년 옥에오에서 발견된 소수의 로마 시대 유물이 옥에오가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일 가능성을 높인다고 주장했다.[31] 독일의 고전학자 알브레히트 딜레 역시 이러한 관점을 지지하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알렉산드로스의 항해 기록을 통해 볼 때, 카티가라는 실제로 메콩강 삼각주에 위치할 수밖에 없다. 알렉산드로스는 먼저 말라카반도 동쪽 해안을 따라 북쪽(방콕 방향)으로 항해한 뒤, 해안을 따라 남동쪽으로 이동하여 카티가라에 도착했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다른 경로 변경은 언급되지 않았다. 더욱이, 고대 후난 왕국이 있던 메콩 삼각주 서쪽의 옥에오에서 교역소(엠포리움)가 발굴되었고, 기원후 2세기의 로마 유물이 발견되었다.[32]


아디르 차크라바르티는 코친차이나 지역 트랑바싹의 쁘놈 바 테 남쪽에 있는 옥에오에서 발굴된 고고학 유물들이 이곳이 후난의 주요 항구였음을 명백히 증명하며, 말라레와 세데스가 제시한 것처럼 프톨레마이오스의 카티가라 교역소와 동일시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33]

이처럼 옥에오 유적에서 발견된 로마 시대 유물과 지리적 위치는 이곳이 프톨레마이오스가 언급한 카티가라일 가능성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고대 동남아시아와 서방 세계 간의 교역 네트워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를 제공한다.

참조

[1] 간행물 "Claude Ptolémée, Astronome, Astrologue, Géographe: Connaissance et Représentation du Monde habité" Editions du CTHS 1993
[2] 저널 The Origin of Ptolemy's Geographia Geografiska Annaler, Vol. 27 1945-01-01
[3] 간행물 Early Sino-Indian Maritime Trade and Fu-Nan University of Calcutta Centre of Advanced Study in Ancient Indian History and Culture 1972
[4] 간행물 Der Magnus Sinus und Cattigara nach Ptolemaeus Brill 1938
[5] 웹사이트 The mystery of Cattigara, the city located at the ends of the ancient world • Neperos https://www.neperos.[...] 2023-12-04
[6] 서적 The Princes of Hà-Tiên (1682-1867): the Last of the Philosopher-Princes and the Prelude to the French Conquest of Indochina: a Study of the Independent Rule of the Mac Dynasty in the Principality of Hà-Tiê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of Vietnam Thanh-long 1983
[7] 저널 Some Attempts to ascertain the utmost Extent of the Knowledge of the Ancients in the East Indies https://books.google[...] 1767
[8] 간행물 Archaeology in Southern Viet-Nam since 1954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9] 서적 Eclaircissements géographiques sur la carte de l'Inde Imprimerie Royale 1753
[10] 서적 The quest for India : a History of Discovery and Exploration from the Expedition to the Land of Punt in 1493 B.C. to the Discovery of the Cape of Good Hope in 1488 A.D., in words and pictures Allen & Unwin 1964
[11] 저널 Some Problems in the Ancient History of the Hindu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1964-09
[12] 간행물 Lin-i, Fu-nan, Jav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13] 서적 Umstrittene Daten: Untersuchenen zum Auftreten der Griechen an Roten Meer Westdeutsch Verlag 1964
[14] 저널 International Trade and Towns of Ancient Siam 1995
[15] 저널 Rome and Eastern Asia Roma 1951-07
[16] 간행물 Der Magnus Sinus und Cattigara nach Ptolemaeus Brill 1938
[17] 저널 'The Three Maplets attributed to Bartholomew Columbus’' 1952
[18] 편지 Coleccion de los Viages y Descubrimientos Imprenta Nacional 1858
[19] 편지 The Four Voyages of Christopher Columbus Penguin 1969
[20] 서적 De Principiis Astronomiae et Cosmographiae Louvain 1530
[21] 간행물 "Claude Ptolémée, Astronome, Astrologue, Géographe: Connaissance et Représentation du Monde habité" Editions du CTHS 1993
[22] 저널 The Origin of Ptolemy's Geographia Geografiska Annaler, Vol. 27 1945-01-01
[23] 간행물 Early Sino-Indian Maritime Trade and Fu-Nan University of Calcutta Centre of Advanced Study in Ancient Indian History and Culture 1972
[24] 간행물 Der Magnus Sinus und Cattigara nach Ptolemaeus Brill 1938
[25] 저널 Some Attempts to ascertain the utmost Extent of the Knowledge of the Ancients in the East Indies https://books.google[...] 1767
[26] 서적 The Princes of Hà-Tiên (1682-1867): the Last of the Philosopher-Princes and the Prelude to the French Conquest of Indochina: a Study of the Independent Rule of the Mac Dynasty in the Principality of Hà-Tiê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of Vietnam Thanh-long 1983
[27] 간행물 Archaeology in Southern Viet-Nam since 1954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28] 서적 Eclaircissements géographiques sur la carte de l'Inde Imprimerie Royale 1753
[29] 서적 The quest for India : a History of Discovery and Exploration from the Expedition to the Land of Punt in 1493 B.C. to the Discovery of the Cape of Good Hope in 1488 A.D., in words and pictures Allen & Unwin 1964
[30] 저널 Some Problems in the Ancient History of the Hindu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1964-09
[31] 간행물 Lin-i, Fu-nan, Java Oxford University Press 1979
[32] 서적 Umstrittene Daten: Untersuchenen zum Auftreten der Griechen an Roten Meer Westdeutsch Verlag 1964
[33] 저널 International Trade and Towns of Ancient Siam 1995
[34] 간행물 Der Magnus Sinus und Cattigara nach Ptolemaeus Brill 1938
[35] 저널 'The Three Maplets attributed to Bartholomew Columbus’' 1952
[36] 서적 Coleccion de los Viages y Descubrimientos Imprenta Nacional, Madrid 1858
[37] 서신 1503-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