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과 오프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컴퓨터 기술과 통신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장치나 시스템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온라인은 다른 장치 제어, 시스템 연결, 즉각적인 사용 가능성 등을 의미하며, 오프라인은 그 반대의 상태를 뜻한다. 이 용어는 19세기 철도 및 전신 산업에서 유래되었으며, 1950년대 이후 컴퓨팅 분야에서 컴퓨터와 주변 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 현재는 이메일, 미디어 재생, 웹 브라우징, 저장소, 메시지, 파일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사회학적 연구에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이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컴퓨터 특수용어 - DLL 지옥
DLL 지옥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DLL 파일 공유로 인해 발생하는 호환성 문제 및 의존성 충돌을 의미하며, 특정 프로그램의 설치/제거 과정에서 시스템 DLL이 변경되어 다른 프로그램의 동작을 방해하는 현상이다. - 컴퓨터 특수용어 - FUD
FUD는 경쟁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퍼뜨려 소비자의 의사 결정을 왜곡하는 전략으로, 1970년대 IBM에서 유래하여 정보통신 기술, 정치,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비판받는다. - 인터넷 용어 -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DSL)은 전화선을 이용하여 다운로드 속도가 더 빠른 비대칭적인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로, 주파수 분할 이중 방식과 이산 다중톤 변조 방식을 사용하며 거리와 잡음에 따라 속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고 광섬유 인터넷의 발전으로 서비스가 축소되고 있다. - 인터넷 용어 - 전자우편
전자우편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편지와 메시지를 주고받는 시스템으로, 시분할 메인프레임 통신에서 시작하여 @ 기호 주소 체계 도입 후 아파넷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다양한 형식의 파일 첨부와 스팸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는 통신 수단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 |
---|---|
연결 상태 | |
온라인 | 연결됨 |
오프라인 | 연결 해제됨 |
컴퓨터 과학 | |
온라인 | 컴퓨터 또는 장치가 네트워크(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 |
오프라인 | 컴퓨터 또는 장치가 네트워크에서 연결 해제된 상태 |
일반적인 사용 | |
온라인 | 인터넷에 연결된 상태 이용 가능하거나 작동 중인 상태 |
오프라인 |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 이용 불가능하거나 작동 중단된 상태 |
특징 | |
온라인 | 실시간 상호 작용 가능 정보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 가능 원격으로 서비스 및 기능 이용 가능 |
오프라인 | 인터넷 연결 없이 작업 가능 데이터 사용량 감소 보안 강화 (인터넷 기반 공격으로부터 보호) |
장점 및 단점 | |
온라인 | 장점: 광범위한 정보 접근성, 편리한 통신, 다양한 서비스 이용 가능 단점: 개인 정보 위험, 중독 가능성, 기술 의존성 심화 |
오프라인 | 장점: 집중력 향상, 데이터 보안, 배터리 절약 단점: 정보 접근 제한, 실시간 업데이트 불가, 연결된 서비스 이용 불가 |
기타 | |
활용 예시 | 온라인: 온라인 쇼핑, 소셜 미디어, 온라인 게임 오프라인: 독서, 오프라인 회의, 개인 작업 |
2. 용어
각 국가 및 지역별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부르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영어 낱말을 그대로 사용한다.[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직결, 비직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1]
- 일본에서는 한때 직결(直結)이라는 낱말을 이용한 적이 있었고 회선접속(回線接續)으로 바꿔 부르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온라인이라는 용어만을 주로 사용한다.[1]
- 중국에서는 온라인을 재선(在線)으로, 오프라인을 이선(離線) 또는 하선(下線)으로 부른다.[1]
2.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영어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직결, 비직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1]2.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이라는 영어 낱말을 그대로 가져와서 사용하고 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직결, 비직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1]2. 3. 일본
일본에서는 한때 직결(直結)이라는 낱말을 이용한 적이 있었고 회선접속(回線接續)으로 바꿔 부르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온라인이라는 용어만을 주로 사용한다.2. 4. 중국
중국에서는 온라인을 재선(在線)으로, 오프라인을 이선(離線) 또는 하선(下線)으로 부른다.[1]3. 역사
19세기에는 철도와 전신 산업에서 "온라인(on line)"이라는 용어가 흔히 사용되었다. 철도에서는 신호 제어소가 전선을 통해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열차 운행 중(Train on line)" 또는 "선로 개방(Line clear)"과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5] 전신선 작업자는 회선을 통해 전류를 보내는 것을 "직접 온라인(direct on line)" 또는 "배터리 온라인(battery on line)"이라고 불렀으며, 전원이나 종단 장비와는 반대로 회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온라인(on line)"이라고 표현했다.[6][7]
1950년대 이후 컴퓨팅 분야에서는 컴퓨터와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8] 1950년 책 "고속 컴퓨팅 장치(High-Speed Computing Devices)"는 대규모 데이터 축소를 위한 자동 컴퓨팅 장비의 사용이 데이터를 기계에 자동으로 입력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전사하는 수단이 제공될 경우에만 성공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축소된 데이터가 측정 중인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입력은 "온라인(on-line)" 작동을 위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 경우 입력이 지연 없이 데이터 축소 장치로 직접 전달된다고 설명한다. 다른 응용 분야에서는 나중에 기계에 도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데이터를 자동 전사하는 "오프라인(off-line)" 작동이 허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전신타자기 작동 요구 사항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일부 전신타자기 기계는 온라인으로 작동하여 작업자가 즉시 통신할 수 있지만, 다른 기계는 천공 테이프를 통해 오프라인으로 작동하여 메시지를 테이프에 뚫어 보존하고 나중에 테이프를 다른 기계에 공급하여 전송한다.
3. 1. 19세기
19세기 동안, "온라인(on line)"이라는 용어는 철도와 전신 산업에서 흔히 사용되었다. 철도에서는 신호 제어소가 전선(케이블)을 통해 선로(트랙)의 상태를 나타내는 "열차 운행 중(Train on line)" 또는 "선로 개방(Line clear)"과 같은 메시지를 보냈다.[5] 전신선 작업자는 회선을 통해 전류를 보내는 것을 "직접 온라인(direct on line)" 또는 "배터리 온라인(battery on line)"이라고 불렀으며,[6] 전원이나 종단 장비와는 반대로 회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온라인(on line)"이라고 표현했다.[7]3. 2. 1950년대 이후
19세기에는 철도와 전신 산업에서 "온라인(on line)"이라는 용어를 흔히 사용하였다. 철도에서는 신호 제어소가 전선을 통해 선로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보냈는데, "열차 운행 중(Train on line)" 또는 "선로 개방(Line clear)"과 같은 메시지였다.[5] 전신선 작업자는 회선을 통해 전류를 보내는 것을 "직접 온라인(direct on line)" 또는 "배터리 온라인(battery on line)"이라고 불렀으며,[6] 전원이나 종단 장비와는 반대로 회로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도 "온라인(on line)"이라고 표현했다.[7]1950년 이후, 컴퓨팅 분야에서는 컴퓨터와 주변 장치를 포함한 기계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기 위해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8] 1950년에 출판된 "고속 컴퓨팅 장치(High-Speed Computing Devices)"에서는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4. 표준 정의
컴퓨터 기술 및 전자 통신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연방 표준 1037C에 정의되어 있다. 이는 장치, 장비 또는 실행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온라인은 특정 조건들을 만족하는 상태이며, 오프라인은 그렇지 않은 상태(예: 전원이 연결되지 않거나 꺼진 상태)를 의미한다.[20]
대한민국의 법률에서는 정보통신망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이는 전기통신사업법 제2조 제2호에 따른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를 의미한다.[20]
4. 1. 연방 표준 1037C
컴퓨터 기술과 전자 통신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연방 표준 1037C에 의해 정의되었다. 장치나 장비, 또는 실행 장치의 조건을 서술하고 있다. 온라인의 경우 적어도 아래의 항목 가운데 하나를 만족해야 한다.[20]- 다른 장치의 직접 제어
- 연결된 시스템의 직접 제어
- 인간의 입력 없이 시스템에 의해 명령을 받아 즉각 사용할 수 있음
- 시스템과 연결되며, 운영되고 있음
- 서비스에 기능적이고 사용할 준비가 되어 있음
반면, 오프라인의 경우 이를 만족하지 않는다. (이를테면, 전원 대상이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꺼져 있다)[20]
5. 시스템
시스템 측면에서 온라인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스템으로 구성된다.[21][22] 전자는 중앙 집중식으로 데이터를 즉시 처리하는 방식이며, 후자는 데이터를 모아서 일괄 처리하는 방식이다.
5. 1. 온라인 시스템
온라인 시스템은 중앙에 전자계산기를 설치하고 각 지역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정보)를 말단 장치에서 중앙으로 보내어 즉시 처리하는 방식이다.[21][22] 기업은 본사가 필요로 하는 각 지구 지사나 공장의 정보를 곧바로 수취할 수 있으므로, 경영에 새로운 방식을 가져다준다. 은행의 예금 업무에서 본점과 지점을 직결하는 뱅킹 시스템이 좋은 예이다.5. 2. 오프라인 시스템
전자계산기를 말단 장치와 연결하지 않고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온라인 시스템에 대하여 반대의 의미를 갖는다.[21][22] 오프라인 시스템은 데이터를 일단 모아서 일괄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취한다. 다만 전자계산기를 고속처리만을 위해 사용할 경우 오프라인 시스템으로 충분하다.6. 일반화
온라인과 오프라인 개념은 컴퓨팅과 전자 통신 분야를 넘어 인간의 상호 작용 관계로까지 확장되었다. 이러한 구분은 사회학 분야의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17]
때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이 역전되어, 오프라인 활동을 정의하고 설명하기 위해 온라인 개념이 사용되기도 한다. 뉴요커에 게재된 여러 만화는 이러한 현상을 풍자했는데, 성 베드로가 한 남자에게 천국에 들어가기 전에 사용자 이름과 비밀번호를 요구하는 장면이나, "모든 상품이 실제 크기!"이고 "결제하는 즉시 집으로 가져갈 수 있으며!", "구매 전에 상품을 만져볼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을 묘사하는 장면이 그 예이다.[18][19]
6. 1. 사회학적 연구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은 컴퓨터 매개 통신과 대면 커뮤니케이션(예: 페이스 타임)의 구분으로 여겨진다. 온라인은 가상 또는 사이버 공간이며, 오프라인은 현실(즉, 실생활 또는 "육체적 공간")이다. 슬레이터는 이러한 구분이 "너무 단순하다"고 말한다.[17] 그는 관계의 구분이 온라인 대 오프라인이라는 단순한 이분법보다 더 복잡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일부 사람들은 사이버 섹스와 같은 온라인 관계와 편지 친구와 같은 오프라인 관계 사이에 아무런 구분을 두지 않는다는 점을 관찰한다. 그는 심지어 전화도 어떤 상황에서는 온라인 경험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술(예: PDA 대 휴대폰, 인터넷 텔레비전 대 인터넷, 전화 대 인터넷 전화 등) 사용 간의 구분이 모호해지면서 "첫 번째 세대의 인터넷 연구에서 사용된 의미로 ''온라인''이라는 용어를 의미 있게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고 주장한다.[17]슬레이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을 줄이기 위한 법적 및 규제적 압력이 있으며, "온라인을 오프라인에 동화시키고 구분을 지우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이 온라인 관계가 ''기존의'' 오프라인 관계로 축소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는 온라인 관계에 더 큰 법적 지위가 부여될 수 있다고 추측하며 (온라인 비즈니스 거래와 같은 계약 관계가 이미 오프라인 관계만큼 "현실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 순전히 온라인 성적 관계를 맺은 사람들에게 법원이 위자료를 지급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는 또한 사람들이 10년 안에 온라인/오프라인 구분을 "다소 고풍스럽고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길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17]
6. 2. 법적, 규제적 변화
슬레이터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구분을 줄이기 위한 법적 및 규제적 압력이 있으며, "온라인을 오프라인에 동화시키고 구분을 지우는 일반적인 경향"이 있다고 주장한다.[17] 하지만, 이것이 온라인 관계가 ''기존의'' 오프라인 관계로 축소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그는 온라인 관계에 더 큰 법적 지위가 부여될 수 있다고 추측하며(온라인 비즈니스 거래와 같은 계약 관계가 이미 오프라인 관계만큼 "현실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 순전히 온라인 성적 관계를 맺은 사람들에게 법원이 위자료를 지급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말한다. 그는 또한 사람들이 10년 안에 온라인/오프라인 구분을 "다소 고풍스럽고 완전히 이해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길 수도 있다고 추측한다.[17]7. 현대적 이용
현대 사회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 개념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되고 있다.
- 오프라인 이메일: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MUA)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로 설정할 수 있는데,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이 대표적인 예이다. 온라인 상태에서는 메일 서버에 연결을 시도하지만, 오프라인 상태에서는 연결하지 않는다. MUA의 온라인/오프라인 상태가 컴퓨터 자체의 인터넷 연결 상태를 반드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9]
- 오프라인 미디어 재생: 디지털 오디오 기술에서 테이프 레코더, 디지털 오디오 편집기 등은 동기화 마스터 장치의 클럭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오프라인 상태의 장치는 외부 클럭 참조 없이 자체 내부 클럭에 의존한다.[10]
- 오프라인 브라우징: 웹 브라우저는 온라인 상태에서만 서버에서 페이지를 가져오지만, 오프라인 모드에서는 이전에 다운로드한 페이지의 로컬 사본을 사용하여 탐색할 수 있다. 이는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때 유용하다.[11]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브라우저는 즐겨찾기에 추가된 페이지를 오프라인에서 볼 수 있도록 로컬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13][14]
- 오프라인 저장소: 의도적으로 연결될 때까지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는 컴퓨터 데이터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 전원이 꺼진 온라인 시스템도 오프라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각각 "마운트됨"과 "마운트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7. 1. 오프라인 이메일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MUA)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로 지정할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이 이러한 MUA의 한 예이다. 온라인 상태일 때는 메일 서버에 연결을 시도하고 (예를 들어, 정기적으로 새 메일을 확인하기 위해) 오프라인 상태일 때는 그러한 연결을 시도하지 않는다. MUA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상태가 반드시 MUA가 실행되는 컴퓨터와 인터넷 간의 연결 상태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즉, 컴퓨터 자체가 케이블 모뎀이나 다른 수단을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온라인 상태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아웃룩을 오프라인 상태로 유지하여 메시지를 보내거나 받으려는 시도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컴퓨터는 (아웃룩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서버에 연결을 시도할 때처럼) 필요에 따라 전화 접속 인터넷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아웃룩이 메일을 확인할 때마다 해당 전화를 걸도록 원하지 않을 수 있다.[9]7. 2. 오프라인 미디어 재생
디지털 오디오 기술에서 테이프 레코더, 디지털 오디오 편집기 또는 온라인 상태인 다른 장치는 동기화 마스터 장치의 클럭 제어를 받는 장치이다. 동기화 마스터가 재생을 시작하면 온라인 장치는 자동으로 마스터와 동기화되어 녹음의 동일한 지점부터 재생을 시작한다. 오프라인 상태인 장치는 외부 클럭 참조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 내부 클럭에 의존한다. 여러 장치가 동기화 마스터에 연결되어 있을 때 단일 장치의 출력만 듣고 싶다면 해당 장치를 오프라인 상태로 만드는 것이 편리하다. 장치가 온라인 상태로 재생되면 동기화된 모든 장치가 재생 지점을 찾아 서로 동기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10] (관련 논의는 MIDI 타임코드, 워드 클럭, 녹음 시스템 동기화를 참조하십시오.)7. 3. 오프라인 브라우징
웹 브라우저는 온라인 상태에서만 서버에서 페이지를 가져오려고 시도한다. 오프라인 상태 또는 "오프라인 모드"에서 사용자는 '''오프라인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전에 온라인 상태에서 다운로드한 페이지의 로컬 사본을 사용하여 페이지를 탐색할 수 있다. 이는 컴퓨터가 오프라인 상태이고 인터넷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을 때 유용할 수 있다.[11] 페이지는 사용자의 이전 온라인 브라우징 결과로 웹 브라우저 자체의 캐시에 암묵적으로 다운로드되거나, 브라우저가 온라인 상태일 때 업데이트되는 특정 웹 페이지의 로컬 사본을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정기적으로 또는 브라우저가 온라인으로 전환될 때마다 로컬 사본이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여 명시적으로 다운로드될 수 있다.[12] 이러한 웹 브라우저 중 하나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이다. 페이지를 즐겨찾기 목록에 추가하면 "오프라인 브라우징에 사용 가능"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는 표시된 페이지와 선택적으로 해당 페이지가 링크된 모든 페이지의 로컬 사본을 다운로드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6에서는 각 개별 즐겨찾기 항목에 대해 직접 및 간접 링크 수준, 사용할 수 있는 최대 로컬 디스크 공간, 로컬 사본이 최신 상태인지 확인하는 일정이 구성 가능했다.[13][14]개발 도상국, 농촌 지역, 교도소와 같이 적절한 인터넷 연결이 부족한 커뮤니티의 경우, WiderNet의 eGranary 디지털 라이브러리(2,000개 이상의 웹 사이트와 수백 개의 CD-ROM에서 제공되는 약 3천만 개의 교육 리소스 모음)와 같은 오프라인 정보 저장소가 정보에 대한 오프라인 액세스를 제공한다.[15] 최근 인터넷 아카이브는 USB 스틱과 SD 카드를 사용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는 저렴한 서버에서 자료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설계된 오프라인 서버 프로젝트를 발표했다.[16]
7. 4. 오프라인 저장소
마찬가지로, 오프라인 저장소는 의도적으로 연결될 때까지 다른 시스템과 연결되지 않는 컴퓨터 데이터 저장 장치이다. 또한, 전원이 꺼진 온라인 시스템도 오프라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7. 5. 오프라인 메시지
메시징 도구를 통해 활동 중이지 않아 메시지를 즉시 수신할 수 없는 상태일 때 남겨진 메시지를 오프라인 메시지라고 하며, 나중에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람의 접속 가능 여부에 따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한다.[1]7. 6.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에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은 각각 "마운트됨"과 "마운트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파일 시스템의 크기 조절 기능에서 "온라인 확장"과 "온라인 축소"는 파일 시스템을 언마운트하지 않고도 할당 공간을 늘리거나 줄이는 기능을 뜻한다.참조
[1]
문서
Federal Standard 1037C
https://www.its.bldr[...]
[2]
웹사이트
onlin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31
[3]
웹사이트
Synonyms of online in English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31
[4]
웹사이트
19 things we miss about the early days of the web
https://www.denofgee[...]
[5]
서적
Great Britain Railways: Accidents. Court of Inquiry Reports
https://archive.org/[...]
2015-04-08
[6]
서적
Journal of the Society of Telegraph Engineers: Including Original Communications on Telegraphy and Electrical Science, Volume 8
https://books.google[...]
2015-04-08
[7]
서적
The practical telegraphist and guide to the telegraph service
https://books.google[...]
2015-04-08
[8]
서적
High-Speed Computing Devices
https://archive.org/[...]
McGraw Hill Book Company, Inc.
1950
[9]
서적
How to Do Everything with Microsoft Office Outlook 2003
https://archive.org/[...]
McGraw-Hill Professional
[10]
서적
Audiopro Home Recording Course: A Comprehensive Multimedia Audio Recording Text
Hal Leonard
[11]
서적
Good Web Guide
The Good Web Guide Ltd
[12]
서적
The Complete Idiot's Guide to Wireless Computing and Networking
Alpha Books
[13]
서적
The Internet Companion: The Easy Australian Guide
UNSW Press
[14]
서적
Configuring and Troubleshooting Windows XP Professional
https://archive.org/[...]
Syngress Publishing
[15]
웹사이트
The eGranary Digital Library
https://er.educause.[...]
2020-01-08
[16]
웹사이트
Internet Archive: Offline Archive
https://archive.org/[...]
2020-01-08
[17]
서적
Handbook of New Media: Social Shaping and Consequences of ICTs
Sage Publications Inc
[18]
서적
Evolve: Succeeding in the digital culture of tomorrow
https://archive.org/[...]
Harvard Business School
[19]
웹사이트
The "off-line store" cartoon from ''The New Yorker''
https://web.archive.[...]
2007-09-06
[20]
법률
정통망법 제2조 제1호
[21]
글로벌2
온라인 시스템
[22]
글로벌2
오프라인 시스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