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드필드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드필드쥐(Oldfield mouse, 학명: Peromyscus polionotus)는 미국 남동부 지역에 분포하는 쥐의 일종이다. 해변, 모래밭, 옥수수 농장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발견되며, 몸 색깔은 서식 환경에 따라 밝은 황갈색에서 흰색까지 다양하다. 야행성 잡식 동물로, 씨앗, 과일, 곤충 등을 먹으며, 땅에 굴을 파서 생활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올드필드쥐를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했지만,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43년 기재된 포유류 -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
뉴질랜드 고유종인 뉴질랜드작은짧은꼬리박쥐는 약 2,000만 년 전 출현한 짧은꼬리박쥐속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공중과 지상에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는 잡식성이며, 서식지 파괴 및 포식 위협으로 IUCN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뉴질랜드 환경보전부의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843년 기재된 포유류 - 파나마올빼미원숭이
- 숲쥐아과 - 아메리카멧밭쥐
아메리카멧밭쥐는 샌프란시스코 만 지역의 멸종 위기 종으로, 평원밭쥐와 관련 있으며, 갯개미취와 습지 식물이 풍부한 소금 습지에 서식하고, 서식지 파괴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숲쥐아과 - 브라이언트숲쥐
브라이언트숲쥐는 쥐의 일종이다.
올드필드쥐 | |
---|---|
분류 | |
![]() | |
상태 | 최소 관심종 |
학명 | Peromyscus polionotus |
명명자 | (Wagner, 1843) |
학문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숲쥐아과 |
속 | 사슴쥐속 |
종 | 올드필드쥐 (P. polionotus) |
분포 | |
![]() | |
아종 |
2. 분포 및 서식지
올드필드쥐는 미국 남동부에 서식하며, 분포 범위는 플로리다에서 테네시주까지 이른다.[1] 구체적으로는 앨라배마주 중부, 테네시주 남중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서부, 미시시피주 북동부, 조지아주 지역부터 멕시코만에 접하는 해안 지역, 그리고 플로리다반도 대부분과 서부 지역에서 발견된다.[23]
몸의 윗부분은 엷은 황갈색을 띠며, 대부분의 서식지에서는 아랫부분이 회색 또는 흰색이다. 하지만 흰 모래 해변에 서식하는 개체는 몸 색깔이 더 밝거나 완전히 흰색을 띠기도 한다.[25][3] 내륙에 사는 개체군은 해변 개체군보다 색이 더 진하고 몸집이 작으며, 꼬리가 짧은 편이다. 이들의 꼬리는 윗면이 검고 아랫면은 희다.[25] 전반적으로 몸과 꼬리의 색깔은 서식하는 지리적 위치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25][3]
주된 서식지는 모래밭과 해변이지만,[3] 옥수수 농장이나 면화밭, 때로는 산울타리나 앞이 트인 산림 지대에서도 발견된다.[25] 육지와 해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점차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25] 개체 밀도는 헥타르 당 최대 6마리까지 기록된 바 있다.[23]
3. 특징
3. 1. 측정값
성체 20마리(앨라배마 주, 플로리다, 조지아 주)의 측정값[25] | |
---|---|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 | 127mm, 122mm~138mm |
꼬리 길이 | 47mm, 40mm~51mm |
뒷발 길이 | 16.5mm, 15mm~18mm |
몸무게 | 8g~19g |
배수성 염색체 수 | 48 |
치열 | 상악: 1.0.0.3, 하악: 1.0.0.3 (총 16개) |
4. 생태
이 쥐는 주로 야행성이다.[1] 올드필드쥐(''P. polionotus'')는 잡식성이며, 주요 먹이는 야생 풀과 잡초의 계절별 씨앗이지만, 블랙베리, 도토리, 야생 완두도 먹는다.[1][4][5] 집을 만들기 위해 땅에 굴을 파는데, 거미나 뱀 등 다른 동물들이 이 굴을 이용하기도 한다.[6]
4. 1. 번식
wikitext
4. 2. 생존
올드필드쥐는 앨라배마주 중부와 테네시주 남중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서부, 미시시피주 북동부, 조지아주 지역부터 멕시코 만에 접하는 해안 지역, 플로리다반도 대부분 지역과 서부 지역의 미국 남동부에서만 발견된다.[23]주로 모래밭과 해변을 선호하지만, 옥수수 농장이나 면화밭, 때로는 산울타리나 앞이 트인 산림 지대에서도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다.[25] 그러나 육지와 해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점차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25] 개체 밀도는 헥타르 당 최대 6마리까지 기록된 바 있다.[23]
올드필드쥐의 주요 천적은 조류와 포유류이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기생충에 감염될 수 있으며, 그중 선충이 주요 기생충으로 알려져 있다.[8] 사육 환경에서는 한 개체가 5.5년까지 생존한 기록이 있다.[9]
5. 보존 상태
올드필드쥐는 앨라배마주 중부, 테네시주 남중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서부, 미시시피주 북동부, 조지아주 지역부터 멕시코만에 접하는 해안 지역, 플로리다반도 대부분 지역과 서부 지역의 미국 남동부에서만 발견된다.[23] 모래밭과 해변을 선호하지만, 옥수수 농장, 면화밭, 산울타리, 앞이 트인 산림 지대에서도 서식한다. 그러나 육지와 해변 개발로 인해 서식지가 위협받고 있다.[25] 개체 밀도는 헥타르당 최대 6마리까지 기록되었다.[23]
2010년 기준으로, IUCN은 올드필드쥐를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관심(LC) 범주로 분류했다. 하지만 올드필드쥐의 16개 아종 중 1종은 멸종했고, 1종은 위급종(CR), 4종은 위기종(EN), 2종은 취약종(VU)으로 평가되어, 일부 아종은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다.[1]
미국의 1973년 멸종 위기 종 법에 따라 보호받는 아종은 다음과 같다.
창백한 해변쥐(''Peromyscus polionotus decoloratus'')는 멸종된 것으로 추정된다.[19][20] 산타 로사 해변쥐( ''Peromyscus polionotus leucocephalus'')[21]는 네이처서브에 의해 위급(Critically Imperiled)으로 등재되어 있다.[22]
6. 아종
16종의 아종이 알려져 있다.[23] 2010년 기준 IUCN 적색 목록에서 올드필드쥐 전체는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되었으나,[1] 다수의 아종이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다. 각 아종의 보전 상태 및 1973년 멸종 위기 종 법에 따른 보호 상태는 아래와 같다.
국문명 | 학명 | IUCN 상태[1] | 미국 멸종위기종법 상태 | 기타 |
---|---|---|---|---|
(정보 없음) | P. p. albifrons Osgood, 1909 | |||
촉타왓치해변쥐 | P. p. allophrys Bowen, 1968 | 위기종 | 위기종[14][16] | |
앨라배마해변쥐 | P. p. ammobates Bowen, 1968 | 위기종 | 위기종[13][14] | |
(정보 없음) | P. p. colemani Schwartz, 1954 | |||
창백한 해변쥐 | P. p. decoloratus A. H. Howell, 1939 | 절멸종 | 멸종 추정[19][20] | |
(정보 없음) | P. p. griseobracatus Bowen, 1968 | |||
산타 로사 해변쥐 | P. p. leucocephalus A. H. Howell, 1920 | 준위협종 | 네이처서브 위급종[21][22] | |
(정보 없음) | P. p. lucubrans Schwartz, 1954 | |||
남동부해변쥐 | P. p. niveiventris (Chapman, 1889) | 취약근접종 | 위협종[10][11] | |
세인트앤드류해변쥐 | P. p. peninsularis A. H. Howell, 1939 | 위기종 | 위기종[17][18] | |
아나스타시아섬해변쥐 | P. p. phasma Bangs, 1898 | 위기종 | 위기종[11][12] | |
올드필드쥐 (모식아종) | P. p. polionotus (Wagner, 1843) | |||
(정보 없음) | P. p. rhoadsi Bangs, 1898 | |||
(정보 없음) | P. p. subgriseus (Chapman, 1893) | |||
(정보 없음) | P. p. sumneri Bowen, 1968 | |||
페르디도케이해변쥐 | P. p. trissyllepsis Bowen, 1968 | 절멸위급종 | 위기종[14][15] |
참조
[1]
간행물
"''Peromyscus polionotus''"
2023-04-24
[2]
웹사이트
2023-04-24
[3]
서적
[4]
서적
[5]
문서
Wooten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문서
"''Peromyscus polionotus''"
[10]
웹사이트
Southeastern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niveiventri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1]
간행물
[12]
웹사이트
Anastasia Island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phasma'')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3]
웹사이트
Alabama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ammobate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4]
간행물
[15]
웹사이트
Perdido Key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trissyllepsi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6]
웹사이트
Choctawhatchee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allophry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7]
웹사이트
St. Andrew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peninsulari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18]
간행물
[19]
웹사이트
"''Peromyscus polionotus''"
https://animaldivers[...]
2023-04-24
[20]
웹사이트
"''Peromyscus polionotus decoloratus''"
https://explorer.nat[...]
NatureServe
2023-04-24
[21]
웹사이트
Santa Rosa beach mouse (''Peromyscus polionotus leucocephalus'')
https://ecos.fws.gov[...]
U.S. Fish & Wildlife Service
2023-04-24
[22]
웹사이트
"''Peromyscus polionotus leucocephalus''"
https://explorer.nat[...]
NatureServe
2023-04-24
[23]
인용
Peromyscus polionotus
http://www.iucnredli[...]
IUCN
2010-02-10
[24]
간행물
[25]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