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라프 구드뢰다르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라프 구드뢰다르손은 10세기 아일랜드와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이다. 그는 933년 아르마 약탈을 시작으로 역사에 등장했으며, 아버지 고프라이드 우어 이마르의 사망 후 더블린 왕위를 계승했다. 올라프는 잉글랜드의 에설스탄과 대립하여 브루난부르 전투에 참전했으나 패배했고, 이후 노섬브리아의 왕이 되었다. 그는 941년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 올라프는 아일랜드와 잉글랜드에서 바이킹 세력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르비크 국왕 - 할프단 라그나르손
할프단 라그나르손은 9세기 후반 잉글랜드를 침략한 이교도 대군세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들로, 잉글랜드에서 활약하며 요르비크 왕국을 건설하고 더블린 왕국을 통치했으나 스트랭퍼드호 전투에서 전사했다. - 요르비크 국왕 - 에이리크 1세 블로됙스
에이리크 1세 블로됙스는 10세기 노르웨이 왕이자 노섬브리아와 헤브리데스 제도의 통치자로, '피의 도끼'라는 별칭으로 알려졌으며, 왕위 다툼 끝에 노르웨이 왕위에 올랐으나 가혹한 통치로 반발을 사 영국으로 망명, 노섬브리아에서 두 차례 왕위에 올랐지만 축출당하고 살해되었다. - 927년 사망 - 시메온 1세
시메온 1세는 893년부터 927년까지 불가리아를 통치한 군주로, 비잔티움 제국과의 전쟁과 영토 확장을 통해 불가리아의 영토를 확장하고 문화적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그의 아들 페트르 1세가 뒤를 이었다. - 927년 사망 - 신숭겸
신숭겸은 고려 초기의 장군이자 개국공신으로,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는 데 공을 세워 평산 신씨의 시조가 되었으며 공산 전투에서 왕건을 구하려다 전사하여 태조 묘정에 배향되었다. - 10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에드먼드 1세
에드먼드 1세는 애설스탄의 뒤를 이어 939년부터 946년 암살당할 때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앵글로색슨족 왕으로, 바이킹 침략에 맞서 영토를 회복하고 스코틀랜드 등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통일 왕국을 유지, 확장하고 통치 체제를 강화했다. - 10세기 잉글랜드의 군주 - 에드워드 장형왕
에드워드 장형왕은 9세기 말에서 10세기 초 잉글랜드를 통치하며 데인족에 맞서 싸우고 머시아를 병합하여 잉글랜드 통일의 기반을 다지고 법과 행정 체제를 정비했으며, 앵글로색슨 시대의 건축과 예술 발전에 기여한 웨섹스 왕국의 왕이다.
올라프 구드뢰다르손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고대 노르드어) | Óláfr Guðrøðsson |
IPA (고대 노르드어) | /ˈoːˌlɑːvz̠ ˈɡuðˌrøðsˌson/ |
영어 이름 | Ánláf |
고대 아일랜드어 이름 | Amlaíb mac Gofraid |
한국어 이름 | 구드뢰드의 아들 올라프 |
고대 아일랜드어 이름 | 아믈리브 막 고프라드 |
영어 이름 | 안라프 |
아버지 | 고프라드 우아 이마르 |
왕조 | 이바르 왕조 |
더블린 왕국 | |
칭호 | 더블린 왕 |
통치 기간 | 934년 – 939년 |
이전 통치자 | 고프라드 우아 이마르 |
다음 통치자 | 블라카이레 막 고프라드 |
노섬브리아 왕국 | |
칭호 | 노섬브리아 왕 |
통치 기간 | 939년 – 941년 |
이전 통치자 | 애설스탠 (잉글랜드 왕으로서) |
다음 통치자 | 올라프 쿠아란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알려지지 않음 |
자녀 | 카만 고프라드 이마르 |
사망 | |
사망 년도 | 941년 |
사망 장소 | 알려지지 않음 |
매장 장소 | 올드햄, 스코틀랜드 (추정) |
2. 생애 초기
올라프는 933년 아르마를 약탈한 기록을 통해 역사에 처음으로 명확히 등장한다.[2] 그는 고프라이드 우어 이마르의 아들이며, 934년 아버지가 사망한 후 더블린 국왕 자리를 계승했다.[2][7]
2. 1. 더블린 왕위 계승
고프라이드 우어 이마르, 더블린 국왕이었던 올라프의 아버지는 934년에 사망했고, 올라프가 그의 뒤를 이어 국왕이 되었다.[2][7] 이듬해인 935년, 올라프는 미스 카운티의 라고르 크래농을 습격했으며, 같은 주에는 노스의 매장실을 약탈했다.[6][2]2. 2. 아일랜드 내 세력 다툼
올라프는 933년에 처음으로 역사 기록에 확실히 등장하는데, 연대기에 따르면 그가 11월 10일에 아르마를 약탈했다고 한다.[2] 이후 울라드의 국왕인 마투단 막 아에다와 동맹을 맺고 슬리아브 베그까지 약탈했으나, 그곳에서 아일레흐의 무이르케르타크 막 네일이 이끄는 군대에게 패배하여 약탈품 대부분과 함께 240명의 병력을 잃었다.[3][4][5] 928년에 킬데어의 수도원을 약탈한 "고프라이드의 아들"이 올라프를 가리킬 수도 있지만, 이름이 명시되지는 않았다.[6]올라프의 아버지이자 더블린 국왕이었던 고프라이드 우어 이마르가 934년에 사망하자, 올라프가 그의 뒤를 이어 국왕이 되었다.[2][7] 이듬해인 935년, 올라프는 미스 카운티의 라고르 크래농을 습격했고, 그 다음 주에는 노스의 매장실을 약탈했다.[6][2]
937년, ''사대 대신 연대기''는 올라프를 "외국인의 군주"로 묘사했다.[8] 이 해에 그는 러프 리로 진격하여 리머릭의 국왕인 아믈라입 켄카이레크와 그의 군대를 격파하고 사로잡았으며, 그들의 배를 파괴했다.[6][2] 이 사건은 당시 경쟁 관계에 있던 더블린과 리머릭의 바이킹 세력 사이의 다툼에서 더블린의 결정적인 승리를 의미했다. 이 시기는 아일랜드에서 바이킹의 영향력이 최고조에 달했던 때로 여겨진다.[9] 아일랜드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굳힌 올라프는 이후 잉글랜드와 노섬브리아로 관심을 돌리게 된다.[7][10]
3. 노섬브리아 원정과 통치
937년 리머릭을 정복하여 아일랜드 내 바이킹 세력 중 우위를 확보한 올라프는 잉글랜드와 노섬브리아로 관심을 돌렸다.[9][7] 노섬브리아는 한때 그의 아버지가 통치했던 곳이었으나 927년 잉글랜드의 에설스탄에게 정복당한 상태였다.[7] 올라프는 934년 에설스탄의 침공을 받았던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와 동맹을 맺고, 937년 잉글랜드 원정에 나섰다.[10]
이 원정은 브루난부르 전투에서 에설스탄에게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며 실패로 돌아갔다.[10][11] 올라프는 전투에서 살아남아 아일랜드로 돌아왔고,[10] 938년에는 킬컬렌을 습격하여 세력을 회복하려 했다.[6]
939년 에설스탄이 사망하자 올라프는 다시 잉글랜드로 향하여 요크를 점령하고 노섬브리아의 국왕으로 즉위했다.[14][15] 그는 새로운 잉글랜드 국왕 에드먼드 1세와 레스터에서 만나 잉글랜드를 분할하는 협정을 맺었으나,[16] 이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고 곧 데인로의 5개 자치구를 점령했다.[17] 941년에는 이스트 로디안의 교회를 습격했는데, 이는 단순한 약탈을 넘어 요크와 더블린 간의 통신로를 확보하려는 전략적 목적이 있었을 수 있다.[18][19][20] 올라프는 같은 해인 941년에 사망했으며,[15] 그의 사후 노섬브리아 왕위는 사촌인 아믈라입 쿠아란이 계승했다.[15] 연대기들은 그를 "데인족의 국왕"(''스코트 연대기'') 또는 "공정하고 어두운 외국인의 국왕"(''클론맥노이스 연대기'')으로 기록했다.[21][22]
3. 1. 브루난부르 전투
937년, 아일랜드에서의 입지를 다진 올라프는 잉글랜드와 노섬브리아로 관심을 돌렸다. 이곳은 한때 올라프의 아버지가 다스렸으나 927년 잉글랜드의 에설스탄에게 정복당한 지역이었다.[7] 에설스탄이 934년 스코틀랜드를 침공한 바 있어, 올라프는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와 동맹을 맺었다.[10] 같은 해 리머릭과의 전투에서 승리한 올라프는 더블린의 바이킹 군대를 이끌고 잉글랜드로 향했다.[10]올라프와 콘스탄틴의 연합군은 브루난부르 전투에서 에설스탄의 군대와 맞붙었다. 전투가 벌어진 장소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체셔의 브롬보로를 유력한 곳으로 본다.[2][11] 올라프와 콘스탄틴이 바이킹-스코틀랜드 연합군을 이끌었고, 에설스탄은 동생 에드먼드와 함께 잉글랜드 군대를 지휘했다. 당시 기록에 따르면 양측 모두 많은 사상자를 냈지만, 전투는 잉글랜드의 결정적인 승리로 끝났다.[10] 이 패배로 바이킹 세력의 잉글랜드 확장은 저지되었다. 올라프와 콘스탄틴은 전투에서 살아남아 각각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로 돌아갔으나, 콘스탄틴의 아들 중 한 명은 이 전투에서 목숨을 잃었다.[10]
브루난부르 전투는 당시 영국 제도 전역에 큰 영향을 미친 중요한 사건이었다. 아일랜드 연대기에도 기록되었고, ''앵글로색슨 연대기''에는 전투에 관한 시가 수록될 정도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12][13] 영국 제도 전역의 여러 연대기에서 이 전투를 언급하는 것은 당시 사건의 중요성을 보여준다.[10]
3. 2. 노섬브리아 왕 즉위
에설스탄은 939년 10월에 사망했고[14] 그 직후 올라프는 요크로 가서 재빨리 노섬브리아의 국왕으로 자리 잡았다.[14][15] 올라프는 사촌인 아믈라입 쿠아란과 함께 잉글랜드로 갔으며, 그의 형제 블라케어 막 고프리드는 그가 없는 동안 더블린을 통치하도록 남겨졌다.[14][15] 더럼의 시메온의 ''역사 레굼''에 따르면, 올라프와 새로운 잉글랜드 국왕 에드먼드는 939년에 레스터에서 만나 잉글랜드를 둘로 나누기로 합의했다.[16] 그러나 이 평화는 오래가지 못했고, 합의 후 몇 년 안에 바이킹들은 데르비, 레스터, 링컨, 노팅엄, 스탬퍼드의 데인로의 5개 자치구를 점령했다.[17]941년 ''멜로즈 연대기''는 올라프가 현재 이스트 로디안에 있는 고대 앵글족 교회를 습격했다고 기록하는데, 당시에는 노섬브리아의 일부였다.[18][19] 이 공격은 단순한 습격을 넘어, 요크와 더블린 간의 통신에 의존하는 스코틀랜드를 통한 경로를 확보하려는 목적이었을 수 있다.[20] 올라프는 941년에 사망했고,[15] 노섬브리아에서는 아믈라입 쿠아란이 그의 뒤를 이었다.[15] 그의 죽음을 기록하면서 연대기에서는 그를 "데인족의 국왕"(''스코트 연대기'')과 "공정하고 어두운 외국인의 국왕"(''클론맥노이스 연대기'')이라고 칭했다.[21][22]
3. 3. 최후
941년에 ''멜로즈 연대기''는 올라프가 현재 이스트 로디안에 있는 고대 앵글족 교회를 습격했다고 기록하는데, 당시에는 노섬브리아의 일부였다.[18][19] 이 공격은 단순한 습격 이상일 수 있으며 요크와 더블린 간의 통신에 의존하는 스코틀랜드를 통한 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20] 올라프는 941년에 사망했고 노섬브리아에서는 올라프 쿠아란이 그의 뒤를 이었다.[15] 그의 죽음을 기록하면서 연대기에서는 그를 "데인족의 국왕"(''스코트 연대기'')과 "공정하고 어두운 외국인의 국왕"(''클론맥노이스 연대기'')이라고 칭했다.[21][22]4. 무덤 발견
2005년, 이스트로디언의 올드험에서 고고학 발굴을 통해 유골이 발견되었다. 바이킹 시대 아일랜드에서 착용했던 것과 유사한 허리띠를 포함한 부장품은 이 유골이 높은 지위에 있던 인물의 것이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부장품의 존재와 유골의 연대로 인해, 역사학자와 고고학자들은 이 유골이 올라프의 것일 수 있다는 추측을 제기했다.[23] 올라프는 941년 사망 직전 올드험과 타이닝엄을 공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올드험과 타이닝엄은 성 발드레드에게 헌정된 여러 지역 교회 중 두 곳이었다. 알렉스 울프에 따르면, 이 유골이 올라프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매장 시기와 성격으로 볼 때 941년 올라프의 공격으로 사망한 인물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울프는 또한 "왕의 추종자들이 그를 성인의 묘지에 묻음으로써 사후 참회의 혜택을 받기를 바랐을 가능성이 크다"고 제안했다.[23]
5. 가족 관계
올라프 구드뢰다르손의 가계는 바이킹 시대 더블린과 노섬브리아의 복잡한 정치 상황과 깊이 얽혀 있다. 그의 아버지 고프뢰드 우어 이바르는 Uí Ímair 왕조의 일원으로, 더블린과 노섬브리아를 통치했던 강력한 인물이었다.[25][26] 고프라이드는 934년에 사망했고, 올라프는 그의 뒤를 이어 더블린의 왕이 되어[2][7] 아버지의 정치적 기반 위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올라프의 형제인 블라케어는 올라프가 939년 노섬브리아로 떠나 왕위를 차지하는 동안 더블린의 통치를 맡았는데,[14][15] 이는 형제간의 협력을 통해 가문의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올라프의 결혼에 대해서는 몇 가지 기록이 있으나 명확하지 않다. 12세기 역사가 우스터의 존은 그가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의 딸과 결혼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기록의 신뢰성은 낮게 평가된다.[31] 또한, 13세기 연대기 작가 웬도버의 로저는 올라프가 잉글랜드 국왕 에드먼드 1세와의 협정 결과로 노섬브리아 백작 오름(Orm)의 딸 알드기스(Aldgyth)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다.[32] 이러한 기록들은 당시 바이킹 지도자들이 정략결혼을 통해 동맹을 강화하려 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올라프의 자녀들에 대한 기록도 남아있으나, 상세한 내용은 하위 가계도에서 다룬다.
5. 1. 가계도
올라프의 아버지는 고프뢰드 우어 이바르로, 920년부터 934년까지 더블린의 왕이었으며 927년에는 잠시 노섬브리아를 통치했다.[25][26] 고프라이드는 이마르의 손자였으나, 그의 아버지가 누구인지는 기록에 남아있지 않다. 이는 그의 아버지가 더블린을 통치하지 않았거나, 고프라이드가 이마르의 딸의 아들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7] 뼈 없는 이바르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이 있는 이마르는 9세기 중반 더블린의 초기 왕 중 한 명이자 Uí Ímair 왕조의 시조이다.[28]올라프에게는 알반(Albann), 블라이케어(Blácaire), 라그날(Ragnall)이라는 세 명의 형제가 있었다.[25] 알반은 926년 무이르케르타크 막 네일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29] 블라이케어는 939년부터 더블린을 통치했으며, 라그날 구드프리드손은 943년에서 944년 사이, 아마도 그의 사촌인 아믈라브 쿠아란과 함께 노섬브리아를 통치하다 에드먼드 1세에게 축출되었다.[14][30]
12세기 역사가 우스터의 존은 올라프가 937년 이전에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의 딸과 결혼했다고 주장했지만, 이 기록의 신뢰성은 낮게 평가된다.[31] 13세기 연대기 작가 웬도버의 로저는 올라프가 레스터에서 에드먼드 1세와의 협정 결과로 노섬브리아 백작 오름(Orm)의 딸 알드기스(Aldgyth)와 결혼했다고 기록했다.[32]
카만 막 아믈라브는 올라프의 아들로 확인된다. 그는 960년 둡(Dub)이라는 곳에서 패배한 기록이 있다.[33][34][35][36] 962년 아일랜드로 와서 코나일레 무이르테임네와 호스를 약탈한 '올라프의 아들들(meic Amlaíb)' 중 한 명일 수 있다.[36][35] 카만은 962년 해상 공격을 감행했다가 패배한 시트리크 캄(Sitriuc Cam)과 동일 인물일 가능성도 제기된다.[37] 963년에 사망한 것으로 기록된 고프라이드 막 아믈라브(Gofraid mac Amlaíb)는 올라프 구드뢰다르손의 아들이거나 아믈라브 쿠아란의 아들일 수 있다.[38] 《클론맥노이스 연대기》에는 브루난버 전투의 사망자 명단에 "왕의 아들(king's son)" 이마르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올라프의 아들일 가능성이 있지만 출처는 불분명하다.[39][40]
아래는 올라프 구드뢰다르손의 가계도를 요약한 표이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이마르 | Uí Ímair 왕조 시조, 더블린 초기 왕.[27][28] 뼈 없는 이바르와 동일인물설 있음. |
조부 | 미상 | 이마르의 아들이나 딸의 자식으로 추정.[27] |
부친 | 고프뢰드 우어 이바르 | 더블린 왕 (920-934), 노섬브리아 통치 (927).[25][26] |
형제 | 알반(Albann) | 926년 전투 중 사망.[29] |
형제 | 블라이케어 막 고프리드 | 더블린 왕 (939-).[14][30] |
형제 | 라그날 구드프리드손 | 노섬브리아 통치 (943-944).[14][30] |
배우자 (추정) | 스코틀랜드의 콘스탄틴 2세의 딸 | 우스터의 존 기록, 신뢰도 낮음.[31] |
배우자 (추정) | 알드기스(Aldgyth) | 노섬브리아 백작 오름의 딸. 웬도버의 로저 기록.[32] |
아들 | 카만 막 아믈라브 | 960년 전투 패배.[33][34][35][36] 시트리크 캄과 동일인물설 있음.[37] |
아들 (추정) | 고프라이드 막 아믈라브 | 963년 사망. 아믈라브 쿠아란의 아들일 가능성도 있음.[38] |
아들 (추정) | 이마르 | 브루난버 전투에서 사망했을 가능성.[39][40] |
사촌 | 아믈라브 쿠아란 | 라그날과 함께 노섬브리아를 통치했을 가능성.[14][30] |
참조
[1]
문서
Downham (2007)
[2]
문서
Hudson (2004)
[3]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4]
문서
Chronicon Scotorum
[5]
문서
Murphy (1896)
[6]
문서
Downham (2007)
[7]
문서
Cannon (2009)
[8]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9]
문서
Downham (2007)
[10]
문서
Downham (2007)
[11]
문서
Roffe (2012)
[12]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13]
문서
Thorpe (1861)
[14]
문서
Forte, Oram, and Pedersen (2005)
[15]
문서
Downham (2007)
[16]
문서
Harper-Bill (1998)
[17]
문서
Downham (2007)
[18]
문서
Stevenson (1853)
[19]
문서
Stenton (2001)
[20]
문서
Forte, Oram, and Pedersen (2005)
[21]
문서
Chronicon Scotorum
[22]
문서
Murphy (1896)
[23]
뉴스
Skeleton discovered may be Viking King Olaf Guthfrithsson
http://www.heritaged[...]
Heritage Daily
2016-05-14
[24]
뉴스
East Lothian skeleton may be 10th Century Irish Viking king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5-14
[25]
문서
Downham (2007)
[26]
문서
Hart (2004)
[27]
문서
Downham (2007)
[28]
문서
Bartlett and Jeffrey (1997)
[29]
문서
Downham (2007)
[30]
문서
Downham (2007)
[31]
문서
Downham (2007)
[32]
문서
Harper-Bill (1998)
[33]
문서
Annals of Ulster
[34]
문서
Downham (2007)
[35]
문서
Downham (2007)
[36]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37]
문서
Downham (2007)
[38]
문서
Downham (2007)
[39]
문서
Murphy (1896)
[40]
문서
Downham (2007)
[41]
문서
앵글로색슨 편년사
[42]
서적
Scandinavian York and Dublin
Irish Academic Press
[43]
문서
Noted in Richard Hall, ''Viking Age Archaeology''
[44]
저널
Anlaf Gufthrithson at York: A Non-existent Kingship?
http://www.maneyonli[...]
University of Leeds
2013-09
[45]
뉴스
East Lothian skeleton may be 10th Century Irish Viking king
http://www.bbc.com/n[...]
BBC News
2014-05-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