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라프 코눙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라프 코눙그는 9세기 아일랜드와 브리튼에서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이다. 853년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더블린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아일랜드의 여러 왕국과 전쟁을 벌였다. 860년에는 북부 우이 네일의 왕 아드 핀들리아스와 동맹을 맺고 멜 세크나일 왕에 대항했으며, 864년경부터는 브리튼에서 군사 활동을 펼쳤다. 870년에는 이마르와 함께 덤바턴 록을 점령했으며, 871년 더블린으로 돌아온 후 로클란으로 돌아갔다는 기록과 스코틀랜드에서 사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올라프 코눙그는 여러 사가에 등장하는 올라프 백색왕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지만, 사가와 연대기 기록의 불일치로 인해 논란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세기 아일랜드 사람 -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
    요하네스 스코투스 에리우게나는 9세기 아일랜드 출신 철학자이자 신학자로, 샤를 2세의 초청으로 궁정학교에서 교수직을 맡아 스콜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자연 분할론》 저술 및 위(僞) 디오니시오스 저작 번역을 통해 서유럽에 영향을 미쳤다.
  • 9세기 아일랜드 사람 - 말 미러 잉겐 키나다
  • 974년 사망 - 석중귀
    석중귀는 오대십국 시대 후진의 황제로서 석경당의 조카이자 양자였으며, 거란에 대한 강경책으로 후진을 멸망시킨 후 요나라에 끌려가 생을 마감했다.
  • 974년 사망 - 후지와라노 요시타카
    후지와라노 요시타카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자 시인으로, 고전 36가선 중 한 명이며 《오구라 백인일수》에 시가 수록되었고,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나 불교 신앙심과 예술적 재능으로 후대에 영향을 미쳤다.
올라프 코눙그
기본 정보
칭호이방인의 왕
통치 기간853년경–871년경
아버지고프라드
사망일874년경
매장지알려지지 않음
왕조
왕위 계승신설
후임이바르
대수1대
직책더블린 국왕 (공동 통치자: 이바르, 아우드기슬)
자녀
자녀오이스틴
카를루스

2. 배경

9세기 초부터 바이킹은 아일랜드를 빈번하게 침략하기 시작했다.[3] 이들은 아일랜드 곳곳에 롱포르트라는 거점을 건설했으며, 특히 841년에 세워진 아클리아스(Áth Cliath|아흐 클리어흐sga)의 롱포르트는 오늘날의 더블린으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5]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킹의 활동은 단순한 습격을 넘어 정착으로 이어졌고, 이는 아일랜드 내 바이킹 세력의 성장에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2. 1. 초기 바이킹의 침입

아일랜드에서 기록된 가장 초기의 바이킹 습격은 795년에 발생했다.[3]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습격의 강도는 점차 증가했으며, 840년에서 841년 사이에 바이킹은 아일랜드에서 처음으로 겨울을 보냈다.[4] 841년에는 아클리아스(Áth Cliath|아흐 클리어흐sga, '울타리를 친 여울'이라는 뜻의 고대 아일랜드어)에 롱포르트가 건설되었는데, 이곳은 나중에 더블린 시로 발전하게 된다.[5] 롱포르트는 아일랜드의 다른 지역에도 세워졌으며,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 큰 바이킹 정착지로 발전했다.

851년에는 "검은 외국인"(Dubgaill|두브갈sga)으로 알려진 대규모 집단이 도착하면서 아일랜드의 바이킹 인구가 증가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새로 도착한 바이킹을 지칭하는 용어로, 이전에 거주하던 "하얀 외국인"(Finngaill|핀갈sga)과는 구분된다.[7] 9세기 중반에는 스코틀랜드에 바이킹 왕국이 세워졌으며, 이들은 아일랜드의 일부 바이킹을 통제하기도 했다. 853년에는 아일랜드의 모든 바이킹을 통치한다고 주장하는 별도의 더블린 왕국이 세워졌다.[8]

바이킹 해상왕 올라프 백색왕(Olaf the White)은 여러 북유럽 사가에 등장하며, 역사가 허드슨과 홀먼 등은 그를 아믈라이브(올라프 코눙그)와 동일 인물로 간주한다.[62][63] 아이슬란드의 『토지 개척의 서』(Landnámabók|란드나마보크isl)는 올라프 백색왕이 852년에 아일랜드에 상륙하여 더블린 왕국을 세웠다고 기록하는데, 이는 아믈라이브에 대한 아일랜드 연대기의 기록과 시기적으로 거의 일치한다.[64] 이 사가에 따르면 아믈라이브의 계보는 다음과 같다.

> ...그는 잉걀드 헬가손(Ingjald)의 아들이고, 헬기의 손자이며, 올라프의 증손자, 구드라우드의 현손자이며, 할프단 흐비트베인(Halfdan Whiteleg)의 5대손으로, 우플란(Uppland)의 왕이었다.[65]

한편, 『락스달라 사가』(Laxdæla saga|락스댈라 사가isl)는 약간 다른 계보를 제시하며, 올라프를 용맹왕 프로디의 아들 잉걀드의 아들이라고 칭한다.[63] 그러나 이 두 기록 모두 아일랜드 연대기(비록 동시대 기록은 아닌 『단편 연대기』이지만)와는 차이가 있는데, 연대기에서는 아믈라이브를 로클란의 왕 고프라이드의 아들이라고 기록하기 때문이다.[66]

사가들은 케틸 플랫노스의 딸 아우드 심사숙고를 올라프의 아내로 언급하지만, 아일랜드 연대기는 한 기록에서 아믈라이브의 배우자로 아에드 핀들리아스의 딸을, 다른 기록에서는 "키나에드"의 딸을 지목한다.[67] 아믈라이브/올라프의 자녀에 대해서도 기록이 엇갈리는데, 사가는 토르스테인 뢰드를 언급하는 반면, 연대기는 에이스테인 올라프손(Oistin)과 칼루스를 지목한다.[68] 『코가 가에델 레 갈라이브』(Cogad Gáedel re Gallaib|코가 가에델 레 갈라이브gle)를 번역한 토드는 토르스테인과 오이스틴이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했지만, 후대의 역사가들은 "그들의 연대가 명백히 불일치한다"는 이유로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69]

아믈라이브/올라프 백색왕에 대한 기록 비교
항목사가 기록아일랜드 연대기 기록
계보잉걀드 헬가손의 아들
또는 용맹왕 프로디의 아들 잉걀드의 아들[63]
로클란 왕 고프라이드의 아들[66]
배우자케틸 플랫노스의 딸 아우드 심사숙고아에드 핀들리아스의 딸
또는 "키나에드"의 딸[67]
자녀토르스테인 뢰드에이스테인 올라프손(Oistin)과 칼루스[68]
죽음아일랜드 전투에서 사망스코틀랜드 전투에서 사망 (픽트 연대기)[70]



더욱이, 『픽트 연대기』는 아믈라이브가 스코틀랜드의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기록하는 반면, 사가는 올라프가 아일랜드의 전투에서 사망했다고 기록하여 혼란을 더한다.[70] 허드슨은 이러한 명백한 모순에 대해 바이킹들이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게일인을 명확히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일 수 있다는 설명을 제시한다.[62]

2. 2. 바이킹 인구 증가

851년에는 "검은 외국인"(Dubgaill|두브갈gla)으로 알려진 대규모 바이킹 집단이 아일랜드에 도착하면서 바이킹 인구가 증가했다.[7] 이는 일반적으로 새로 도착한 바이킹을 가리키는 말로, 이전에 아일랜드에 거주하던 바이킹 인구인 "하얀 외국인"(Finngaill|핀갈gla)과 구분되었다. 9세기 중반에는 스코틀랜드 바이킹에 의해 왕국이 세워졌으며, 이 왕국은 아일랜드의 일부 바이킹 세력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853년에는 아일랜드의 모든 바이킹을 통치한다고 주장하는 별도의 더블린 왕국이 세워졌다.[8]

3. 생애

10세기경의 아일랜드 지도; 바이킹 정착지인 린스, 더블린, 웨스퍼드, 워터퍼드, 코크리머릭이 표시되어 있다.


올라프 코눙그는 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활동한 주요 바이킹 지도자이다. 그는 더블린 왕국의 초기 통치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지며, 아일랜드 내부의 여러 왕국들과 동맹 또는 전쟁을 벌이는 한편, 브리튼 지역으로도 원정을 떠나는 등 활발한 군사 활동을 펼쳤다. 그의 생애는 주로 아일랜드 연대기 기록을 통해 알려져 있다.

3. 1. 아일랜드 도착 (853년)

울스터 연대기에 따르면 올라프 코눙그는 853년 아일랜드에 처음 도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9]

: 로클란 왕의 아들 올라프가 아일랜드에 왔고, 아일랜드의 외국인들이 그에게 복종하여 아일랜드인들에게 조공을 받았다.[9]

연대기에서는 그를 '외국인들의 왕'으로 칭했지만, 현대에는 그의 권력 기반이었던 바이킹 정착지를 중심으로 더블린의 첫 번째 왕으로 여겨진다.[10] 그의 형제들도 나중에 아일랜드에 도착하여 공동 통치자로 활동했다.[11]

한편, 후대에 기록되어 역사적 신뢰도가 상대적으로 낮다고 평가받는[12] ''단편 연대기''는 올라프의 도착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묘사한다:

: 또한 이 해, 즉 Máel Sechlainn의 통치 6년째에 로클란 왕의 아들 올라프 코눙그가 아일랜드에 왔으며, 그는 아버지로부터 많은 조공과 세금을 징수하는 선포를 가져왔고 갑자기 떠났다. 그런 다음 그의 동생 Ímar가 같은 조공을 징수하기 위해 그를 따라왔다.[14]

올라프의 아버지가 왕이었다고 전해지는 로클란은 본래 라일린 또는 로틀렌으로 불렸으며, 종종 노르웨이와 동일시되지만 초기 시대에 그러한 의미였는지는 논란이 있다.[15] 일부 역사가들은 당시 라일린이 헤브리디스, 맨 섬, 스코틀랜드 북부 등 노르드인 및 노르드-게일 세력권을 지칭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6] 이 명칭은 망누스 3세가 서쪽으로 원정을 떠났던 12세기에 이르러서는 노르웨이를 의미하게 되었다.[17]

3. 2. 멜 세크나일과의 전쟁 (857년 ~ 862년)

올라프는 늦어도 857년까지 아일랜드로 돌아왔을 것으로 보이며, 이때 그는 이마르와 함께 남부 이넬의 최고 왕인 멜 세크날 및 노르드게일인이라 불리는 바이킹 집단과 전쟁을 벌였다.[18][19] 당시 멜 세크날은 아일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왕이었고, 그의 영토는 더블린의 바이킹 정착지와 인접해 있었다.[20] 이미 전년부터 "이교도들과 노르드-아일랜드인의 지원을 받은 멜 세크날 사이의 대규모 전쟁"이 있었다고 ''얼스터 연대기''는 기록하고 있다.[21]

전쟁은 주로 먼스터 지방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멜 세크날은 이 지역 왕들에 대한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20] 그는 854년, 856년, 858년에 먼스터에서 인질을 확보했으며,[22] 856년에는 바이킹이 로크 켄드(Loch Cend)에 있는 왕실 중심지를 습격하여 먼스터 최고 왕의 친척인 고르만(Gormán)을 포함한 많은 이들을 살해하면서 최고 왕들의 권력이 약화된 상태였다.[23] 이러한 상황은 멜 세크날과 바이킹 모두에게 먼스터의 자원을 차지할 기회로 보였을 수 있으며, 이것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20] 초기 전투는 올라프와 이마르에게 유리하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카이틸 핀(Caitill the Fair)과 그의 노르드-아일랜드인들에게 먼스터 땅에서 참패를 안겼다."[24] 이 카이틸이 후대 사가에 등장하는 케틸 플랫노즈와 동일 인물인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일부 학자들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했다.[25]

858년, 이마르는 오스라게의 왕 케르발과 동맹을 맺었다. 그들은 섀넌강의 로흐 데르그 동쪽에 위치한 아라드 티러(Araid Tíre)에서 노르드-아일랜드인 군대를 격파했다.[26] 오스라게는 먼스터와 렌스터 사이에 위치한 작은 왕국이었는데, 케르발은 통치 초기에 먼스터 왕에게 충성했지만, 먼스터가 약화되자 오스라게의 전략적 위치를 이용해 세력을 확장할 기회를 엿보고 있었다.[27] 케르발은 이전에는 바이킹과 싸웠으나, 멜 세크날과 그의 노르드-아일랜드 동맹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바이킹과 손을 잡은 것이다.[28] 이듬해인 859년, 올라프, 이마르, 케르발은 미스에 있는 멜 세크날의 핵심 영토를 습격했다.[29] 그 결과 라투그(Rathugh, 현재 웨스트미스주)에서 왕실 회의가 열렸고,[30] 이 회의 이후 케르발은 바이킹과의 동맹을 파기하고 "아일랜드인들 사이의 평화와 우정을 만들기 위해" 멜 세크날에게 공식적으로 복종했다.[31]

동맹의 배신에 직면한 올라프와 이마르는 멜 세크날의 경쟁자인 북부 이넬의 최고 왕 아에드 핀들리아스와 새로운 동맹을 모색했다.[32] 860년, 멜 세크날과 케르발은 먼스터, 렌스터, 코노트 및 남부 이넬 병사들로 구성된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아마 근처의 아에드 핀들리아스 영토로 진격했다. 남부 연합군이 그곳에 주둔하는 동안 아에드는 야간 기습을 감행하여 일부 병사를 살해했지만, 자신의 군대도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해야 했다.[33] 이에 대한 보복으로 올라프와 아에드는 861년과 862년에 미스를 습격했으나 두 번 모두 격퇴당했다.[34] ''아일랜드 단편 연대기''에 따르면, 이 동맹은 올라프가 아에드의 딸과 결혼함으로써 더욱 공고해졌다.[35] 이후 북부 이넬과 더블린 바이킹 간의 동맹은 아일랜드 지배권을 둘러싼 북부와 남부 이넬 간의 경쟁 속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 되었다. 더블린과 남부 이넬의 불안정한 관계는 바이킹을 북부 이넬에게 자연스러운 동맹 상대로 만들었다.[32]

3. 3. 오스라거와의 동맹 (858년)

올라프는 늦어도 857년까지 아일랜드로 돌아와 이마르(Ímar)와 함께 남부 이 넬(Southern Uí Néill)의 상왕(High King)인 마엘 세크날(Máel Sechnaill mac Maíl Ruanaid)[18] 및 노르드-아일랜드인(Norse-Irish)으로 알려진 바이킹 집단과 싸웠다.[19] 마엘 세크날은 당시 아일랜드에서 가장 강력한 왕이었으며, 그의 영토는 더블린의 바이킹 정착지와 가까웠다.[20] 전투는 주로 먼스터에 집중되었는데, 마엘 세크날은 그곳 왕들에 대한 영향력을 키우려 했다.[20] 이전 전투에서 올라프와 이마르는 먼스터 땅에서 카이틸(Caitill the Fair)과 그의 노르드-아일랜드인들에게 큰 패배를 안긴 바 있다.[24]

858년, 이마르는 오스라거의 왕 케르발(Cerball mac Dúnlainge)과 동맹을 맺었다.[26] 오스라거는 먼스터와 렌스터 사이에 위치한 작은 왕국이었다.[27] 케르발은 이전에는 바이킹과 싸웠으나, 마엘 세크날과 그의 노르드-아일랜드 동맹 세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바이킹과 손을 잡았다.[28] 이마르와 케르발은 섀넌강 동쪽 아라이드 티러(Araid Tíre)에서 노르드-아일랜드인 군대를 격파했다.[26]

이듬해인 859년, 올라프, 이마르, 케르발은 미스에 있는 마엘 세크날의 핵심 영토를 습격했다.[29][30] 이 습격 이후 라후그(Rathugh, 현대 웨스트미스주)에서 왕실 회의가 열렸다.[30] 회의 결과, 케르발은 바이킹과의 동맹을 파기하고 "아일랜드인들 사이의 평화와 우정을 만들기 위해" 마엘 세크날에게 공식적으로 복종했다.[31] 동맹에게 배신당한 올라프와 이마르는 마엘 세크날의 경쟁자인 북부 이 넬의 상왕 아드 핀들리아흐(Áed Findliath)와 새로운 동맹을 모색하게 된다.[32]

3. 4. 북부 이 넬과의 동맹 (860년 ~ 862년)

케르발이 멜 세크나일에게 복속하며 동맹 관계를 바꾸자, 올라프와 이마르는 멜 세크나일의 경쟁자인 북부 이 넬의 왕 아드 핀들리아스와 새로운 동맹을 모색했다.[32]

860년, 멜 세크나일과 케르발은 먼스터, 렌스터, 코노트 및 남부 이 넬의 병사들로 구성된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아마 근처의 아드 핀들리아스 영토로 진군했다. 남부 군대가 그곳에 주둔하는 동안 아드 핀들리아스는 야간 기습을 감행하여 남부 병사 중 일부를 살해했지만, 그의 군대 역시 많은 사상자를 내고 퇴각해야 했다.[33] 이 침공에 대한 보복으로 올라프와 아드 핀들리아스는 861년과 862년에 미스를 습격했으나, 두 번 모두 격퇴되었다.[34] ''아일랜드 단편 연대기''에 따르면, 이 동맹은 정략 결혼으로 더욱 공고해졌다. 아드 핀들리아스의 딸이 올라프의 아내가 된 것이다.[35]

이후 북부 이 넬과 더블린바이킹 간의 동맹은 정기적인 양상을 띠게 되었다. 북부와 남부 이 넬은 아일랜드의 지배권을 놓고 자주 경쟁했으며, 더블린과 남부 이 넬 사이의 불안정한 관계는 바이킹을 북부 세력의 자연스러운 동맹 상대로 만들었다.[32]

3. 5. 이후의 군사 활동 (863년 ~ 871년)

863년 이후 올라프 코눙그는 아일랜드를 넘어 브리튼 지역에서도 활발한 군사 활동을 전개했다. 864년경부터 그는 형제인 이마르, 아우슬레와 함께 브리튼으로 원정을 떠났으며, 특히 866년에는 아우슬레와 함께 픽트랜드를 침공하여 많은 인질을 확보하고 돌아왔다.

그러나 올라프와 형제들이 브리튼에서 활동하는 사이, 아일랜드에서는 바이킹 세력에 대한 아일랜드 토착 왕들의 저항이 거세졌다. 악화된 상황을 수습하기 위해 올라프는 867년 아일랜드로 돌아왔으나, 같은 해 동생 아우슬레가 내부 분쟁으로 살해당하는 사건이 있었다. 이후 868년에는 아일랜드의 지고왕 아드 핀들리아흐 막 닐에 대한 보복으로 아마의 주요 수도원을 습격하기도 했다.

870년에는 다시 브리튼으로 건너가 이마르와 함께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주요 거점인 덤바턴 록을 4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함락시켰다. 871년, 올라프와 이마르는 200척의 배에 포로와 전리품을 가득 싣고 더블린으로 귀환했다.

3. 5. 1. 브리튼 원정 (864년 ~ 870년)

864년부터 올라프와 그의 형제들은 아일랜드에서의 활동을 잠시 멈추고 브리튼으로 원정을 떠났다. 그의 형제 중 한 명인 이마르는 864년에서 870년 사이 아일랜드 연대기 기록에서 찾아볼 수 없는데, 이는 그가 이 시기 잉글랜드에서 활동한 바이킹 지도자 '이바르(Ivar)'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866년에는 올라프와 또 다른 형제 아우슬레가 픽트랜드를 습격하여 많은 인질을 사로잡아 돌아왔다.

3. 5. 2. 아일랜드 상황 악화 (866년 ~ 867년)

올라프와 그의 형제들이 스코틀랜드에서 활동하는 동안 아일랜드에서는 상황이 달라지고 있었다. 그들이 자리를 비운 틈을 타 아일랜드의 토착 왕들은 바이킹 세력에 맞서 반격을 시작했다. 866년, 북부 이 네일(Uí Néill)의 왕 아드 핀들리아흐 막 닐(Áed Findliath mac Néill)은 로크 포일(Lough Foyle) 북부 해안에 있던 바이킹의 롱포트들을 성공적으로 공격하여 파괴했다. 또한, 먼스터(Munster)의 왕 켄 파엘라드 막 무그리그(Cenn Fáelad mac Mugthigirn)는 코크(Cork) 근처의 유걸(Youghal)에 있던 바이킹 캠프를 파괴하고, 클루안 페르타(Cluain Ferta) 전투에서 바이킹을 격파했다. 같은 해, 코나크타(Connachta)의 왕 콘코바르 막 타드그 모르(Conchobar mac Taidg Mór)는 키아라거 아이르네(Ciarraige Airne)의 바이킹을 물리쳤다. 이러한 아일랜드 토착 세력의 공세로 인해 바이킹은 여러 차례 패배를 겪었다. 악화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올라프는 867년 픽트랜드(Pictland)에서 아일랜드로 돌아왔다. 올라프의 귀환 목적은 아일랜드에서의 바이킹 세력을 다시 강화하고, 아일랜드 토착 왕들의 저항을 진압하는 것이었다.

3. 5. 3. 아우슬레의 죽음 (867년)

867년, 올라프의 동생인 아우슬레(Auisle)가 친족에게 살해당했다. 일부 기록에서는 올라프가 이 죽음에 연루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한다.

3. 5. 4. 아마 수도원 습격 (868년)

868년, 올라프는 당시 아일랜드 지고왕이었던 아드 핀들리아스가 후원하던 아마의 중요 수도원을 공격하여 약탈했다. 이 습격은 아드 핀들리아스에 대한 보복 행위로 여겨진다.

3. 5. 5. 덤바턴 록 포위 (870년)

870년, 올라프 코눙그는 이마르와 함께 스트래스클라이드 왕국의 주요 요새인 덤바턴 록을 공격했다. 이들은 4개월 동안 요새를 포위 공격한 끝에 함락시켰다. 871년, 올라프와 이마르는 200척의 배에 많은 포로와 전리품을 싣고 더블린으로 돌아왔다.

4. 올라프 백색왕과의 동일시 문제

여러 북유럽 사가에 등장하는 올라프 백색왕은 올라프 코눙그와 동일 인물로 여겨지기도 한다.

5. 가족

올라프의 아버지는 고프레이드이다. 형제로는 이마르와 아우슬레가 있었으며, 일부 학자들은 할프단 라그나르손 역시 그의 형제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올라프에게는 두 명의 아내가 있었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 명은 아일랜드의 왕 아드 핀들리아스의 딸이었으며, 다른 한 명은 픽트인의 왕 키네드 막 알핀의 딸이었다고 전해진다. 그의 아들로는 오이스틴과 칼루스가 있다.

참조

[1] 문서 Downham, p. xvi
[2] 문서 Ó Corrain, p. 2
[3] 문서 Ó Corrain, p. 27; Annals of Ulster, s.a. 795
[4] 문서 Ó Corrain, p. 28; Annals of Ulster, s.a. 840
[5] 문서 Holman, p. 180
[6] 문서 Downham, p. xvii; Ó Corrain, p. 7
[7] 문서 Downham, p. 14
[8] 문서 Ó Corrain, p. 28–29
[9] 문서 Annals of Ulster, s.a. 853
[10] 문서 Holman, p. 107; Clarke et al., p. 62; Ó Corrain, p. 28–29
[11] 문서 Woolf, p. 108
[12] 문서 Radner, p. 322–325
[13] 문서 Ó Corrain, p. 7
[14] 문서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 239; Anderson, pp. 281–284
[15] 문서 Ó Corrain, p. 9
[16] 문서 Ó Corrain, pp. 14–21; Helle, p. 204
[17] 문서 Ó Corrain, pp. 22–24
[18] 문서 Ó Corrain, pp. 6, 30; Downham, p. 17
[19] 문서 Downham, p. 18
[20] 문서 Downham, p. 17
[21] 문서 Annals of Ulster, s.a. 856; Ó Corrain, p. 30
[22]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a. 854, 856, 858; Annals of Ulster, s.aa. 854, 856, 858; Choronicon Scotorum, s.aa. 854, 856, 858
[23] 문서 Downham, p. 17; Annals of Ulster, s.a. 856; Choronicon Scotorum, s.a. 856
[24] 문서 Annals of Ulster, s.a. 857
[25] 문서 Anderson, p. 286, note 1; Crawford, p. 47
[26] 문서 Ó Corrain, p. 30; Downham, p. 18;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858; Choronicon Scotorum, s.a. 858
[27] 문서 Duffy, p. 122
[28] 문서 Duffy, p. 122; Annals of Ulster, s.a. 847
[29] 문서 Downham, p. 19, note 47
[30] 문서 Downham, p. 19; Duffy, p. 122; Annals of Ulster, s.a. 859;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859; Choronicon Scotorum, s.a. 859
[31] 문서 Annals of Ulster, s.a. 859
[32] 문서 Downham, p. 19
[33] 문서 Downham, p. 19;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 860; Annals of Ulster, s.a. 860; Choronicon Scotorum, s.a. 860;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 279
[34] 문서 Downham, p. 19; Annals of the Four Masters, s.aa. 861, 862; Annals of Ulster, s.aa. 861, 862; Choronicon Scotorum, s.a. 861
[35] 문서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 292
[36] 문서 Downham,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Ulster, Choronicon Scotorum
[37] 문서 Downham
[38] 문서 Downham,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Ulster, Choronicon Scotorum
[39] 문서 Downham
[40] 문서 Downham,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Ulster, Choronicon Scotorum
[41] 문서 Downham
[42] 문서 Downham
[43] 문서 Downham
[44] 문서 Downham, Annals of Ulster, Annals of Clonmacnoise
[45] 문서 Annals of Ulster,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Clonmacnoise
[46] 문서 Downham
[47] 문서 Downham,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48] 문서 Ó Corrain, Downham,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Ulster,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49] 문서 Downham
[50] 문서 Downham, Annals of Inisfallen
[51] 문서 Ó Corrain,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52] 문서 Downham, Annals of Boyle,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Inisfallen, Annals of Ulster, Chronicum Scotorum
[53] 문서 Downham,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Ulster
[54] 문서 Downham, Annals of Clonmacnoise, Annals of Ulster, Chronicum Scotorum
[55] 문서 Woolf, Annals of Ulster
[56] 문서 Woolf, Annals of Ulster
[57] 문서 Downham,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58] 문서 Annals of Ulster
[59] 문서 Miller
[60] 문서 Downham
[61] 문서 Pictish Chronicle
[62] 문서 Hudson
[63] 문서 Holman
[64] 문서 Landnámabók
[65] 문서 Landnámabók
[66] 문서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67] 문서 Landnámabók,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68] 문서 Landnámabók, Annals of Ulster, Annals of the Four Masters
[69] 문서 Cogadh Gaedhel re Gallaibh, Proceedings of the Royal Philosophical Society of Glasgow, Volume 40
[70] 문서 Pictish Chronicle, Landnámabók
[71] 문서 Annals of Ulster
[72] 문서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73] 문서 Annals of Ulster
[74] 문서 Downham
[75] 문서 Anglo-Saxon Chronicle
[76] 문서 Woolf
[77] 문서 Annals of Ulster
[78] 문서 South
[79] 문서 Downham
[80] 문서 Costambeys, Fragmentary Annals of Ireland
[81] 문서 Costambeys
[82] 문서 Anderson
[83] 문서 Smyth
[84] 문서 Downham
[85] 문서 Annals of the Four Masters, Annals of Ul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