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은 1931년 설립되어 195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으며,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참가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요트에서 은메달 1개를 획득했으나,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1986년 아루바가 분리된 후,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2012년 런던 올림픽에는 독립 선수단 자격으로 참가했으며, 이후 선수들은 네덜란드 또는 아루바 선수단으로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
올림픽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
NOCAHO
NOC 이름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www.sports.an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 (영어)
올림픽 참가 정보
대회 종류올림픽
최고 순위134위
금메달0
은메달1
동메달0
총 메달 수1
하계 올림픽 참가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동계 올림픽 참가1988
1992
관련 정보https://olympics.com/ar/featured-news/curtain-comes-down-on-123rd-ioc-session
아루바 (1988–)
IOA (2012 하계)
네덜란드 (2016–)

2. 역사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는 1931년에 설립되었고, 195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하계 올림픽에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을 시작으로 참가했으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는 서방 국가들과 함께 보이콧하여 불참했다. 동계 올림픽에는 1988년 캘거리 올림픽과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 두 차례 참가한 이후로는 참가 기록이 없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이 올림픽에서 획득한 유일한 메달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요트 종목에서 획득한 은메달 1개이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따지 못했다.

2. 1. 구성 국가 및 지역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과거 여러 카리브해 섬으로 구성되었으나, 정치적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해체되었다. 각 섬의 변화 과정과 현재 지위는 다음과 같다.

1986년 이전1986년 ~ 2010년2010년 이후 현재 지위
아루바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
퀴라소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
신트마르턴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
보네르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카리브 네덜란드 (네덜란드 특별 자치구)
신트외스타티우스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카리브 네덜란드 (네덜란드 특별 자치구)
사바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일부카리브 네덜란드 (네덜란드 특별 자치구)



1986년, 아루바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되어 네덜란드 왕국 내의 독자적인 구성 국가가 되었다. 이로 인해 아루바 출신 선수들은 아루바 선수단 소속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10년 10월 10일,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 해체 이후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는 카리브 네덜란드로 통합되어 네덜란드 본국의 특별 자치구가 되었다. 반면, 퀴라소신트마르턴은 아루바와 같이 네덜란드 왕국을 구성하는 별도의 국가 지위를 얻었다.

이러한 정치적 지위 변화로 인해, 2016년 2016년 올림픽부터 구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소속 5개 섬(퀴라소, 신트마르턴,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 출신 선수들은 네덜란드 선수단 또는 아루바 선수단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올림픽에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위에 언급된 6개의 섬(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우스, 사바) 전체를 통틀어 지리적, 문화적으로 "네덜란드령 카리브 제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2. 2. 국기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은 1959년부터 1985년까지 6개 섬을 상징하는 별 6개가 그려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국기를 사용했다. 1986년 아루바가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되면서 국기의 별도 5개로 줄었으며, 이 국기는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 후, 구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출신 선수 3명은 2012년 하계 올림픽에 독립 선수 자격으로 참가했으며, 이때는 올림픽기를 사용했다.

2. 3. 올림픽 참가

독립 선수단 (IOA) (2012)2014–네덜란드


2. 4.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 로고


2010년 10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해체 이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NAOC)는 더 이상 국가 올림픽 위원회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었다.[1] NAOC는 해체 이후에도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4] 결국 2011년 7월 8일, 남아프리카 공화국 더반에서 열린 IOC 총회에서 NAOC의 회원 자격 승인이 공식적으로 취소되었다.

이에 따라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의 경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동계 올림픽의 경우 2010년 밴쿠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출신 선수들이 올림픽기를 앞세운 독립 선수단 자격으로 참가해야 했다. 당시 독립 선수단으로 참가한 선수는 퀴라소 출신의 3명이었다: 남자 육상 (400m)의 리마르빈 보네바시아, 여자 요트 (레이저 래디얼) 종목의 필리핀 판 아안홀트, 남자 유도 (81kg)의 레지날드 데 윈트이다.[2] 한편, 추란디 마르티나네덜란드 대표팀 소속으로 런던 올림픽에 출전했다.

이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출신 선수들은 네덜란드 선수단 또는 아루바 선수단의 일원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게 되었다.[5] 예를 들어 201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마르티나, 보네바시아, 헨슬리 파울리나, 장-줄리앙 로제가 네덜란드 대표로 출전했고, 판 아안홀트는 아루바 대표로 참가했다.

3. 올림픽 참가 현황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는 1931년에 설립되어 195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다. 첫 올림픽 참가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이었으며,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은 서방 국가들의 보이콧에 동참하여 불참했다.

동계 올림픽에는 1988년 캘거리 올림픽과 1992년 알베르빌 올림픽에 참가하였으나 이후로는 참가하지 않았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올림픽에서 획득한 유일한 메달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요트 종목에서 획득한 은메달 1개이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3. 1. 하계 올림픽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1952년 헬싱키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후 여러 차례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했다. 1956년 멜버른 올림픽과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획득한 유일한 올림픽 메달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서 나왔다. 당시 요트 종목에 출전한 얀 보어스마가 은메달을 획득하여 종합 순위 36위를 기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육상 남자 200m 결선에서는 추란디 마르티나가 2위로 결승선을 통과했으나, 레인 침범이 지적되어 실격 처리되는 일이 있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는 이에 불복하여 스포츠 중재 재판소(CAS)에 항소했으나, 항소는 기각되었다.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해체 이후,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독립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했으며,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부터는 네덜란드 선수단의 일원으로 참가하고 있다.

대회참가 선수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순위
1952 헬싱키110000
1956 멜버른불참
1960 로마50000
1964 도쿄40000
1968 멕시코시티50000
1972 뮌헨20000
1976 몬트리올40000
1980 모스크바불참
1984 로스앤젤레스80000
1988 서울3010136
1992 바르셀로나40000
1996 애틀랜타60000
2000 시드니70000
2004 아테네30000
2008 베이징30000
2012 런던독립 선수단의 일부로 참가
2016년 이후네덜란드의 일부로 참가
합계0101137


3. 2. 동계 올림픽

wikitext

올림픽선수단합계
1952년–1984년불참
1988 캘거리20000
1992 알베르빌20000
1994년–2010년불참
2014년–현재네덜란드의 일부로 참가
합계0000


3. 3. 종목별 메달

'''하계 올림픽 메달 집계'''
종목-- 금-- 은-- 동합계
요트0101
합계0101


4. 메달리스트

얀 보어스마는 1988년 서울 올림픽 요트 종목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여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 역사상 유일한 올림픽 메달리스트이다.

한편,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육상 남자 200m 결선에서는 추란디 마르티나우사인 볼트에 이어 2위로 골인했으나, 경기 중 레인을 벗어났다는 이유로 실격 처리되어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마르티나 측의 항소는 스포츠 중재 재판소에서 기각되었다.[3]

메달선수대회종목세부 종목
은메달얀 보어스마1988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디비전 II


참조

[1] 웹사이트 Curtain comes down on 123rd IOC Session http://www.olympic.o[...]
[2] 뉴스 Tokyo Olympics - BBC Sport https://www.bbc.co.u[...]
[3] 뉴스 Martina's bid to reclaim silver rejected https://www.espn.com[...] ESPN.com 2009-03-06
[4] 문서 これについてオランダ領アンティルオリンピック委員会は、国としては[[中華人民共和国]]の一部となったがオリンピック委員会は個別のものが存置された[[香港]]([[オリンピックの香港選手団|香港オリンピック委員会]])の例を引き合いに出している。
[5] 웹사이트 IOC dims Olympic Flame of 61 year old Olympic Committee of the Netherlands Antilles http://www.naoc.info[...] オランダ領アンティルオリンピック委員会 2011-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