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 1900년 파리 대회에 처음 참가했으며, 1928년 암스테르담에서 대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네덜란드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는 헝가리 혁명에 대한 항의로 불참했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1952년부터 2008년까지, 아루바는 1988년부터 별도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해체 이후,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 선수단과 독립 선수단으로 나뉘어 참가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사이클, 수영, 승마, 조정 등 다양한 종목에서,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주요 메달리스트로는 이렌 뷔스트, 하리 라브레이센, 시판 하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 | |
---|---|
올림픽 네덜란드 선수단 | |
NOC | NOC*NSF |
NOC 이름 | 네덜란드 올림픽 위원회 네덜란드 체육 연맹 |
웹사이트 | www.nocnsf.nl 네덜란드어 |
구글 지도 검색어 | 네덜란드 |
하계 올림픽 성적 | |
금메달 | 163 |
은메달 | 161 |
동메달 | 179 |
합계 | 503 |
순위 | 15 |
기타 정보 | |
관련 참가국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1952-2010) |
관련 대회 | 네덜란드 1906 중간 올림픽 |
2. 유치 대회
네덜란드는 하계 올림픽을 한 차례 개최하였다.
대회 | 유치도시 | 날짜 | 참가국 | 참가선수 | 종목수 |
---|---|---|---|---|---|
1928년 하계 올림픽 | 암스테르담 | 7월 28일~8월 12일 | 46개국 | 2,883명 | 109종목 |
네덜란드는 1900년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04년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1956년 하계 올림픽에는 헝가리 혁명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불참했으나, 승마 종목에 선수 1명이 참가한 기록이 있다.[1]
3. 역대 올림픽 참가 현황
지금까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은 2020년 도쿄 올림픽으로 총 36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의 경우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24개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하계 올림픽 종목은 사이클로 총 68개의 메달을 기록했고, 동계 올림픽 종목은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총 133개의 메달을 따냈다.
3. 1.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 아루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는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으로서 1952년 하계 올림픽부터 2008년 하계 올림픽까지 올림픽 대회에 참가하였다.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올림픽 위원회는 1931년에 설립되어 1950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았으나,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2011년 IOC 승인이 철회되었다.
아루바는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에서 분리되어 네덜란드 왕국의 별개 구성국이 되었다. 이에 따라 아루바 선수들은 1952년부터 1984년까지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선수단 소속으로 올림픽에 참가했지만, 1988년 하계 올림픽부터는 독자적인 아루바 선수단을 구성하여 참가하고 있다.
2010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되면서 보네르섬, 신트외스타티위스섬, 사바섬은 네덜란드 본토의 네덜란드의 특별 자치체로 편입되었고, 퀴라소와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 왕국 내 별개의 구성국 지위를 얻었다. 이후 201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이 5개 지역 출신 선수들이 오륜기를 앞세운 독립 선수단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었다. 당시 선수들은 네덜란드나 아루바 선수단에 합류할 수도 있었으며(네덜란드 국적 보유), 최종적으로 3명의 선수가 독립 선수단 소속으로 경기에 나섰다.
3. 2. 하계 올림픽
대회 | 선수 | -- 금 | -- 은 | -- 동 | 합계 | 순위 |
---|---|---|---|---|---|---|
1900 파리 | 29 | 0 | 2 | 3 | 5 | 18 |
1904 세인트루이스 | 불참 | |||||
1908 런던 | 113 | 0 | 0 | 2 | 2 | 17 |
1912 스톡홀름 | 33 | 0 | 0 | 3 | 3 | 18 |
1920 안트베르펜 | 113 | 4 | 2 | 5 | 11 | 9 |
1924 파리 | 177 | 4 | 1 | 5 | 10 | 9 |
1928 암스테르담 (개최국) | 264 | 6 | 9 | 4 | 19 | 8 |
1932 로스앤젤레스 | 45 | 2 | 5 | 0 | 7 | 13 |
1936 베를린 | 165 | 6 | 4 | 7 | 17 | 9 |
1948 런던 | 149 | 5 | 2 | 9 | 16 | 11 |
1952 헬싱키 | 104 | 0 | 5 | 0 | 5 | 29 |
1956 멜버른[1] | 1 | 0 | 0 | 0 | 0 | – |
1960 로마 | 110 | 0 | 1 | 2 | 3 | 28 |
1964 도쿄 | 125 | 2 | 4 | 4 | 10 | 15 |
1968 멕시코시티 | 107 | 3 | 3 | 1 | 7 | 17 |
1972 뮌헨 | 119 | 3 | 1 | 1 | 5 | 16 |
1976 몬트리올 | 109 | 0 | 2 | 3 | 5 | 29 |
1980 모스크바 | 90 | 0 | 1 | 2 | 3 | 30 |
1984 로스앤젤레스 | 136 | 5 | 2 | 6 | 13 | 13 |
1988 서울 | 147 | 2 | 2 | 5 | 9 | 22 |
1992 바르셀로나 | 220 | 2 | 6 | 7 | 15 | 20 |
1996 애틀랜타 | 235 | 4 | 5 | 10 | 19 | 15 |
2000 시드니 | 243 | 12 | 9 | 4 | 25 | 8 |
2004 아테네 | 210 | 4 | 9 | 9 | 22 | 18 |
2008 베이징 | 243 | 7 | 5 | 4 | 16 | 11 |
2012 런던 | 188 | 6 | 6 | 8 | 20 | 12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241 | 8 | 7 | 4 | 19 | 11 |
2020 도쿄 | 278 | 10 | 12 | 14 | 36 | 7 |
2024 파리 | 273 | 15 | 7 | 12 | 34 | 6 |
2028 로스앤젤레스 | 개최 예정 | |||||
2032 브리즈번 | ||||||
합계[2] | 110 | 112 | 134 | 356 | 14 |
3. 3. 동계 올림픽
네덜란드는 1928년 동계 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32년 동계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않았다.대회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1928년 동계 올림픽 | 7 | 0 | 0 | 0 | 0 | – |
1932년 동계 올림픽 | 불참 | |||||
1936년 동계 올림픽 | 8 | 0 | 0 | 0 | 0 | – |
1948년 동계 올림픽 | 4 | 0 | 0 | 0 | 0 | – |
1952년 동계 올림픽 | 11 | 0 | 3 | 0 | 3 | 9 |
1956년 동계 올림픽 | 8 | 0 | 0 | 0 | 0 | – |
1960년 동계 올림픽 | 7 | 0 | 1 | 1 | 2 | 11 |
1964년 동계 올림픽 | 6 | 1 | 1 | 0 | 2 | 9 |
1968년 동계 올림픽 | 9 | 3 | 3 | 3 | 9 | 6 |
1972년 동계 올림픽 | 11 | 4 | 3 | 2 | 9 | 4 |
1976년 동계 올림픽 | 7 | 1 | 2 | 3 | 6 | 9 |
1980년 동계 올림픽 | 29 | 1 | 2 | 1 | 4 | 9 |
1984년 동계 올림픽 | 13 | 0 | 0 | 0 | 0 | – |
1988년 동계 올림픽 | 11 | 3 | 2 | 2 | 7 | 7 |
1992년 동계 올림픽 | 19 | 1 | 1 | 2 | 4 | 12 |
1994년 동계 올림픽 | 21 | 0 | 1 | 3 | 4 | 18 |
1998년 동계 올림픽 | 22 | 5 | 4 | 2 | 11 | 6 |
2002년 동계 올림픽 | 27 | 3 | 5 | 0 | 8 | 9 |
2006년 동계 올림픽 | 33 | 3 | 2 | 4 | 9 | 10 |
2010년 동계 올림픽 | 34 | 4 | 1 | 3 | 8 | 10 |
2014년 동계 올림픽 | 41 | 8 | 7 | 9 | 24 | 5 |
2018년 동계 올림픽 | 33 | 8 | 6 | 6 | 20 | 5 |
2022년 동계 올림픽 | 41 | 8 | 5 | 4 | 17 | 6 |
2026년 동계 올림픽 | 개최 예정 | |||||
총합 | 53 | 49 | 45 | 147 | 9 |
지금까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동계 올림픽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으로 총 24개이다. 또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동계 올림픽 종목은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총 13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4. 종목별 메달 집계
네덜란드 선수단은 올림픽에 참가하여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총 332개의 메달(금 110, 은 102, 동 120)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총 147개의 메달(금 53, 은 49, 동 45)을 획득하여, 하계와 동계를 합쳐 총 479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특히 하계 올림픽에서는 사이클, 수영, 승마, 조정, 육상, 필드하키, 유도 등 다양한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에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4. 1. 하계 종목별 메달
네덜란드는 하계 올림픽에서 다양한 종목에 걸쳐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사이클, 수영, 승마, 조정, 육상, 필드하키, 유도 등에서 많은 메달을 획득하며 강세를 보여왔다.아래는 네덜란드 선수단이 하계 올림픽에서 종목별로 획득한 메달 집계이다.
종목 | 금 | 은 | 동 | 합계 |
---|---|---|---|---|
사이클 트랙 | 14 | 17 | 11 | 42 |
사이클 도로 | 10 | 6 | 3 | 19 |
BMX 레이싱 | 1 | 2 | 2 | 5 |
산악 자전거 | 1 | 0 | 1 | 2 |
프리스타일 BMX | 0 | 0 | 0 | 0 |
사이클 소계 | 26 | 25 | 17 | 68 |
수영 | 19 | 20 | 21 | 60 |
수영 마라톤 | 4 | 1 | 0 | 5 |
수구 | 1 | 0 | 3 | 4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 0 | 0 | 1 | 1 |
다이빙 | 0 | 0 | 0 | 0 |
수영 종목 소계 | 24 | 21 | 25 | 70 |
종합마술 | 5 | 2 | 0 | 7 |
마장마술 | 3 | 6 | 3 | 12 |
장애물 비월 | 2 | 5 | 2 | 9 |
승마 소계 | 10 | 13 | 5 | 28 |
조정 | 11 | 17 | 15 | 43 |
요트 | 10 | 9 | 11 | 30 |
육상 | 10 | 8 | 12 | 30 |
하키 | 8 | 6 | 6 | 20 |
유도 | 4 | 2 | 18 | 24 |
체조 | 3 | 0 | 0 | 3 |
복싱 | 1 | 2 | 5 | 8 |
배구 | 1 | 1 | 0 | 2 |
양궁 | 1 | 1 | 1 | 3 |
3x3 농구 | 1 | 0 | 0 | 1 |
카누 스프린트 | 0 | 3 | 5 | 8 |
펜싱 | 0 | 0 | 5 | 5 |
축구 | 0 | 0 | 3 | 3 |
역도 | 0 | 0 | 3 | 3 |
사격 | 0 | 1 | 1 | 2 |
테니스 | 0 | 1 | 1 | 2 |
배드민턴 | 0 | 1 | 0 | 1 |
줄다리기 | 0 | 1 | 0 | 1 |
비치 발리볼 | 0 | 0 | 1 | 1 |
야구 | 0 | 0 | 0 | 0 |
소프트볼 | 0 | 0 | 0 | 0 |
농구 | 0 | 0 | 0 | 0 |
카누 슬라롬 | 0 | 0 | 0 | 0 |
골프 | 0 | 0 | 0 | 0 |
리듬 체조 | 0 | 0 | 0 | 0 |
트램펄린 | 0 | 0 | 0 | 0 |
핸드볼 | 0 | 0 | 0 | 0 |
가라테 | 0 | 0 | 0 | 0 |
근대5종 | 0 | 0 | 0 | 0 |
7인제 럭비 | 0 | 0 | 0 | 0 |
스케이트보드 | 0 | 0 | 0 | 0 |
스포츠 클라이밍 | 0 | 0 | 0 | 0 |
서핑 | 0 | 0 | 0 | 0 |
탁구 | 0 | 0 | 0 | 0 |
태권도 | 0 | 0 | 0 | 0 |
트라이애슬론 | 0 | 0 | 0 | 0 |
레슬링 (자유형) | 0 | 0 | 0 | 0 |
레슬링 (그레코로만형) | 0 | 0 | 0 | 0 |
합계 | 110 | 102 | 120 | 332 |
4. 2. 동계 종목별 메달
네덜란드는 동계 올림픽에서 다음 종목들을 통해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압도적인 메달 수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
5. 주요 메달리스트
네덜란드 선수 중 가장 많은 올림픽 메달을 획득한 선수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린 뷔스트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5개, 동메달 2개를 포함하여 총 13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하계 올림픽에서는 사이클의 하리 라브레이센이 금메달 5개, 동메달 1개로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뛰어난 활약을 보였다. 육상의 시판 하산은 2020년 하계 올림픽과 2024년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며 네덜란드 육상의 주요 선수로 자리매김했다.
다음은 네덜란드 선수단의 역대 올림픽 메달리스트 중 3개 이상의 금메달 또는 6개 이상의 메달을 획득한 주요 선수들의 목록이다.
참조
[1]
문서
オーストラリアで実施されたメルボルンオリンピックでは、オーストラリア国内の馬に対する検疫の関係で馬術競技のみスウェーデンのストックホルムで1956年6月に行われた。
[2]
웹사이트
Team Netherlands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6
[3]
웹사이트
Feasibility Studies For Boston 2020, Netherlands 2028 Summer Games
http://www.gamesbid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