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올림픽 브라질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브라질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다. 브라질은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요트, 유도, 육상, 배구, 비치 발리볼, 축구 등 다양한 종목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특히, 남자 축구는 2016년과 202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동계 올림픽은 1992년 알베르빌 대회에 처음 참가했으며, 현재까지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브라질은 동계 올림픽에서 주로 알파인 스키 종목에 참가하며, 스노보드에서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올림픽 개회식에서 브라질 국기를 들고 입장하는 기수는 하계 및 동계 올림픽 모두 선수단의 대표로 선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브라질 선수단
올림픽 정보
NOCBRA
NOC 명칭브라질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브라질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포르투갈어)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1920 1924 1928 1932 1936 1948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1992 1994 1998 2002 2006 2010 2014 2018
하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2010 2014
동계 청소년 올림픽 참가 횟수2012 2016
메달 집계
금메달40
은메달49
동메달81
총 메달 수170
메달 순위34

2. 하계 올림픽

브라질은 1920년 안트베르펜 하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이래 대부분의 하계 올림픽에 선수단을 파견해왔다. 1928년 암스테르담 하계 올림픽에는 불참했다.

다음은 브라질 선수단의 역대 하계 올림픽 메달 획득 현황이다.

대회명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920 안트베르펜1113
1924 파리0000
1928 암스테르담불참
1932 로스앤젤레스0000
1936 베를린0000
1948 런던0011
1952 헬싱키1023
1956 멜버른1001
1960 로마0022
1964 도쿄0011
1968 멕시코시티0123
1972 뮌헨0022
1976 몬트리올0022
1980 모스크바2024
1984 로스앤젤레스1528
1988 서울1236
1992 바르셀로나2103
1996 애틀랜타33915
2000 시드니06612
2004 아테네52310
2008 베이징341017
2012 런던35917
2016 리우데자네이루76619
2020 도쿄76821
2024 파리371020
합계[8]404981170



브라질 선수단은 하계 올림픽에서 총 170개의 메달을 획득했으며,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2. 1. 개최

브라질은 한 차례 올림픽을 개최했다.

올림픽개최 도시개최 기간참가국참가 선수세부 종목
2016년 하계 올림픽리우데자네이루 (리우데자네이루 주)8월 5일 – 8월 21일20711,303306



다음은 브라질 도시가 올림픽 유치를 신청했으나 선정되지 못한 사례이다.


2. 2.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획득 현황

(주로 승마)1034합계404981170


2. 2. 1. 요트

브라질은 올림픽 요트 종목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며 강세를 보여왔다. 현재까지 금메달 8개, 은메달 3개, 동메달 8개를 획득하여 총 19개의 메달을 기록했으며, 이는 종목별 메달 순위에서 11위에 해당한다.

브라질 요트 선수단은 여러 올림픽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특히 토르벤 그라엘, 로베르트 샤이트, 라르스 그라엘 등의 선수들이 여러 차례 메달을 목에 걸었다. 다음은 브라질의 주요 올림픽 요트 메달리스트 목록이다.

올림픽메달선수세부 종목
1968 멕시코시티레이날두 콘라드, 부르크하르트 코르데스남자 플라잉더치맨
1976 몬트리올레이날두 콘라드, 피터 피커남자 플라잉더치맨
1980 모스크바알렉상드르 웰터, 라르스 시구르드 비외르크스트룀남자 토네이도
마르코스 소아레스, 에두아르두 페니두남자 470급
1984 로스앤젤레스토르벤 그라엘, 다니엘 아들러, 호날두 젠프트남자 솔링
1988 서울토르벤 그라엘, 넬송 팔카오남자 스타급
라르스 그라엘, 클리니우 프레이타스남자 토네이도
1996 애틀랜타토르벤 그라엘, 마르셀루 페레이라남자 스타급
로베르트 샤이트남자 레이저급
라르스 그라엘, 키코 펠리카누남자 토네이도



또한, 요트 종목 선수들이 브라질 선수단의 개막식 기수를 맡기도 했다.

2. 2. 2. 유도

유도는 브라질이 하계 올림픽에서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한 종목으로, 총 28개의 메달(금 5, 은 4, 동 19)을 기록했다.

종목별 메달 현황 (유도)
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541928



브라질 최초의 올림픽 유도 메달은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이시이 치아키가 남자 93kg급에서 획득한 동메달이다. 첫 금메달은 1988년 하계 올림픽 남자 95kg급에 출전한 아우렐리우 미겔이 차지했으며, 그는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도 같은 체급에서 동메달을 추가했다.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호제리우 삼파이우가 남자 65kg급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4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더글라스 비에이라(남자 95kg급 은메달), 루이스 온무라(남자 71kg급 동메달), 발테르 카르모나(남자 86kg급 동메달)가 메달을 목에 걸었다. 199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엔히키 기마랑이스가 남자 65kg급에서 동메달을 따냈다.

여러 유도 선수들이 올림픽 개막식에서 브라질 선수단의 기수를 맡기도 했다. 1988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발테르 카르모나가, 1992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아우렐리우 미겔이 기수로 나섰다. 2020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케틀린 콰드로스가 브루누 헤젠지(배구)와 함께 공동 기수를 맡았다.

2. 2. 3. 육상

브라질은 육상 종목에서 총 21개의 메달(금 5, 은 4, 동 12)을 획득했다.

육상 선수 중 하계 올림픽 개막식에서 브라질 선수단의 기수를 맡은 경우는 다음과 같다.

아래는 브라질 선수단이 육상 종목에서 획득한 메달 목록이다. (단, 아래 목록은 전체 메달 중 일부만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메달선수올림픽세부 종목날짜
아데마르 다 실바1952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52년 7월 23일
조제 다 콩세이상1952년 하계 올림픽남자 높이뛰기1952년 7월 20일
아데마르 다 실바1956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56년 11월 27일
넬송 프루덴시우1968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68년 10월 17일
넬송 프루덴시우1972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72년 9월 4일
주앙 카를루스 지 올리베이라1976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76년 7월 30일
주앙 카를루스 지 올리베이라1980년 하계 올림픽남자 세단뛰기1980년 7월 24일
조아킹 크루스1984년 하계 올림픽남자 800m1984년 8월 6일
조아킹 크루스1988년 하계 올림픽남자 800m1988년 9월 26일
호브송 카에타누1988년 하계 올림픽남자 200m1988년 9월 28일


2. 2. 4. 배구

브라질은 올림픽 배구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왔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총 12개의 메달(금메달 5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을 획득했다. 이는 브라질이 참가한 하계 올림픽 종목 중 유도, 육상 다음으로 많은 메달 기록이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남자 배구 대표팀이 은메달을 획득하며 브라질 배구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안겼다. 당시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1984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남자 배구 은메달리스트
선수
아마우리 히베이루
안토니우 카를루스 게이루스 히베이루
베르나르드 라즈만
베르나르두 로샤 지 레젠데
도밍구스 람파리엘루 네투
페르난두 로시우 지 아빌라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시몽이스 프레이레
조제 몬타나루 주니오르
레난 달 조토
루이 캄푸스 두 나시멘투
윌리엄 카르발류 다 실바
마리우 잔두 지 올리베이라 네투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남자 배구 대표팀이 금메달을 차지하며 브라질 구기 종목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 당시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남자 배구 금메달리스트
선수
마르셀루 네그랑
호르헤 브리투
조바니 가비우
파울루 실바
마우리시우 리마
자넬송 카르발류
더글라스 키아로티
안토니우 고베이아
아마우리 히베이루
앙드레 페레이라
알렉상드르 사무엘
탈모 올리베이라



2020년 도쿄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이자 세계적인 세터인 브루누 헤젠지유도 선수 케틀린 콰드로스와 함께 브라질 선수단의 공동 기수를 맡았다.

2. 2. 5. 축구

브라질 올림픽 선수단은 축구 종목에서 금메달 2개, 은메달 6개, 동메달 2개를 획득하여 총 10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아래는 원본 자료에서 확인된 일부 메달 획득 기록이다.

연도대회메달세부 종목
1984로스앤젤레스은메달남자부
1988서울은메달남자부
1996애틀랜타동메달남자부


2. 2. 6. 기타 종목

브라질은 축구, 배구, 유도 등 전통적인 강세 종목 외에도 다양한 스포츠 분야에서 올림픽 메달을 획득해왔다.

사격은 브라질이 올림픽에 처음 참가한 1920년 안트베르펜 올림픽에서 첫 메달을 안겨준 종목이다. 기예르미 파라엔세가 남자 30m 군사 권총에서 금메달, 아프라니우 다 코스타가 남자 50m 자유 권총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들이 포함된 단체전에서도 동메달을 따냈다. 브라질은 사격에서 총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기록하고 있다.

농구에서는 1948년 런던 올림픽 남자부 동메달을 시작으로 총 5개의 메달(은메달 1개, 동메달 4개)을 획득했다. 남자 대표팀은 1948년, 1960년 로마 올림픽,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여자 대표팀은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은메달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복싱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에서 세르빌리우 데 올리베이라의 동메달 획득 이후 꾸준히 메달리스트를 배출하고 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는 호브송 콘세이상이,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에베르트 소우자가 각각 금메달을 획득하는 등 총 9개의 메달(금메달 2개, 은메달 2개, 동메달 5개)을 기록 중이다.

승마에서는 단체 장애물 종목에서 강세를 보여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과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연속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서는 호드리구 페소아가 개인 장애물 금메달을 차지했다. 브라질은 승마에서 총 3개의 메달(금메달 1개, 동메달 2개)을 획득했다.

카누는 비교적 최근에 메달을 획득하기 시작한 종목이지만, 이자키아스 케이로스의 활약으로 주목받고 있다. 케이로스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2020년 도쿄 올림픽 C-1 1000m 종목에서 금메달을 따내며 브라질 카누 역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브라질은 카누 스프린트 종목에서 총 5개의 메달(금메달 1개, 은메달 3개, 동메달 1개)을 보유하고 있다.

태권도에서는 총 3개의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나탈리아 팔라비냐가 첫 메달을 획득한 이후,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과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도 동메달을 추가했다.

근대 5종에서는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야네 마르케스가 여자부 동메달을 획득하며 브라질에 이 종목 첫 메달을 안겼다.

테니스에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루이자 스테파니와 라우라 피고시 조가 여자 복식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첫 메달을 기록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스케이트보드는 브라질의 새로운 메달 유망 종목으로 떠올랐다. 첫 대회에서 케우빙 호플레르(남자 스트리트), 하이사 레아우(여자 스트리트), 페드루 바후스(남자 파크)가 은메달을 획득하는 등 총 5개의 메달(은메달 3개, 동메달 2개)을 거머쥐었다.

서핑 역시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처음 정식 종목이 되었으며, 이탈루 페헤이라가 남자부 초대 챔피언에 오르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는 가브리에우 메지나가 은메달, 타이나 인쇼페가 동메달을 추가하며 총 3개의 메달(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1개)을 기록 중이다.

3. 동계 올림픽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 획득이 없다.

대회명
1992 알베르빌0000
1994 릴레함메르0000
1998 나가노0000
2002 솔트레이크시티0000
2006 토리노0000
2010 밴쿠버0000
2014 소치0000
2018 평창0000
2022 베이징0000
합계0000


4. 올림픽 메달리스트

메달선수올림픽종목세부 종목날짜
기예르미 파라엔세1920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30m 군사 권총1920년 8월 3일
아프라니우 다 코스타1920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50m 자유 권총1920년 8월 2일
아프라니우 다 코스타
기예르미 파라엔세
세바스티앙 울프
페르난두 소레다데
다리우 바르보사
1920년 하계 올림픽사격남자 50m 단체 자유 권총1920년 8월 2일
남자 농구 팀

알베르투 마르손
알렉산드레 제미냐니
알프레두 다 모타
아폰수 에보라
조앙 프란시스쿠 브라즈
루이스 베네부티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디아스
마시넷 소르시넬리
닐톤 파체코
루이 드 프레이타스
제니 드 아제베두
1948년 하계 올림픽농구남자 토너먼트1948년 8월 13일
아데마르 다 실바1952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52년 7월 23일
조제 다 콩세이상1952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높이뛰기1952년 7월 20일
오카모토 테쓰오1952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1500m 자유형1952년 8월 2일
아데마르 다 실바1956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56년 11월 27일
마노엘 도스 산토스1960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100m 자유형1960년 8월 27일
남자 농구 팀

에드송 비스푸 도스 산토스
모이제스 블라스
발데마르 블라츠카우스카스
제니 드 아제베두
카르모 데 소자
카를루스 도밍구스 마소니
발디르 보카르두
블라미르 마르케스
아마우리 파소스
페르난두 페레이라 드 프레이타스
안토니우 살바도르 수카르
자티르 에두아르두 샤우
1960년 하계 올림픽농구남자 토너먼트1960년 9월 10일
남자 농구 팀

우비라탄 페레이라 마시엘
프리드리히 빌헬름 브라운
자티르 에두아르두 샤우
빅토르 미르샤우카
에드송 비스푸 도스 산토스
블라미르 마르케스
아마우리 파소스
카를루스 도밍구스 마소니
카르모 데 소자
안토니우 살바도르 수카르
세르지우 드 톨레두 마차두
조제 에드바르 시몽이스
1964년 하계 올림픽농구남자 토너먼트1964년 10월 23일
넬송 프루덴시우1968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68년 10월 17일
레이날두 콘라드
부르크하르트 코르데스
1968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플라잉 더치맨1968년 10월 21일
세르빌리우 데 올리베이라1968년 하계 올림픽복싱남자 플라이급1968년 10월 24일
이시이 치아키1972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93kg급1972년 9월 1일
넬송 프루덴시우1972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72년 9월 4일
레이날두 콘라드
피터 피커
1976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플라잉 더치맨1976년 7월 27일
조앙 카를로스 지 올리베이라1976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76년 7월 30일
알렉상드르 웰터
라르스 시구르드 비외르크스트룀
1980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토네이도1980년 7월 29일
마르코스 소아레스
에두아르두 페니두
1980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470급1980년 7월 29일
호르헤 페르난데스
마르쿠스 마티올리
시루 델가두
장 마드루가
1980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4 × 200m 자유형 계영1980년 7월 23일
조앙 카를로스 지 올리베이라1980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세단뛰기1980년 7월 24일
조아킹 크루스1984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800m1984년 8월 6일
히카르두 프라도1984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400m 개인혼영1984년 7월 30일
토르벤 그라엘
다니엘 아들러
호날두 젠프트
1984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솔링1984년 8월 8일
더글라스 비에이라1984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95kg급1984년 8월 9일
남자 브라질 올림픽 축구 대표팀

핑가
다비
밀톤 크루스
루이스 엔히키 디아스
앙드레 루이스
마우루 갈방
토뇨
키타
질마르 포포카
실비뉴
질마르
아데미르
파울루 산투스
호날두 실바
둥가
치캉
루이스 카를루스 윙크
1984년 하계 올림픽축구남자 토너먼트1984년 8월 11일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아마우리 히베이루
안토니우 카를루스 게이루스 히베이루
베르나르드 라즈만
베르나르두 로샤 지 레젠데
도밍구스 람파리엘루 네투
페르난두 로시우 지 아빌라
마르쿠스 비니시우스 시몽이스 프레이레
조제 몬타나루 주니오르
레난 달 조토
루이 캄푸스 두 나시멘투
윌리엄 카르발류 다 실바
마리우 잔두 지 올리베이라 네투
1984년 하계 올림픽배구남자 토너먼트1984년 8월 11일
루이스 온무라1984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71kg급1984년 8월 6일
발테르 카르모나1984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86kg급1984년 8월 8일
아우렐리우 미겔1988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95kg급1988년 9월 30일
조아킹 크루스1988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800m1988년 9월 26일
남자 브라질 올림픽 축구 대표팀

아데미르
알로이시우
안드라데
바티스타
베베투
카레카
앙드레 크루스
에드마르
제오바니
조앙 파울루
조르지뉴
밀톤
네투
호마리우
클라우지우 타파렐
루이스 카를루스 윙크
히카르두 고메스
마지뉴
발두 필류
제 카를루스
1988년 하계 올림픽축구남자 토너먼트1988년 10월 1일
토르벤 그라엘
넬송 팔카오
1988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스타1988년 9월 27일
라르스 그라엘
클리니우 프레이타스
1988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토네이도1988년 9월 27일
호브송 카에타누1988년 하계 올림픽육상남자 200m1988년 9월 28일
호제리우 삼파이우1992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65kg급1992년 8월 1일
남자 배구 국가대표팀

마르셀루 네그랑
호르헤 브리투
조바니 가비우
파울루 실바
마우리시우 리마
자넬송 카르발류
더글라스 키아로티
안토니우 고베이아
아마우리 히베이루
앙드레 페레이라
알렉상드르 사무엘
탈모 올리베이라
1992년 하계 올림픽배구남자 토너먼트1992년 8월 9일
구스타부 보르제스1992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100m 자유형1992년 7월 28일
자클린 실바
산드라 피레스
1996년 하계 올림픽비치 발리볼여자 토너먼트1996년 7월 27일
토르벤 그라엘
마르셀루 페레이라
1996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스타1996년 7월 29일
로베르트 시에트1996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레이저1996년 7월 31일
구스타부 보르제스1996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200m 자유형1996년 7월 20일
아드리아나 사무엘
모니카 호드리게스
1996년 하계 올림픽비치 발리볼여자 토너먼트1996년 7월 27일
여자 농구 팀

오르텐시아 마르카리 올리바
마리아 안젤리카
아드리아나 아파레시다 산투스
레이라 소브랄
마리아 파울라 실바
자넷 아르카인
로젤리 구스타부
마르타 소브랄
실비냐
알레산드라 산투스 지 올리베이라
신시아 산투스
클라우디아 마리아 파스토르
1996년 하계 올림픽농구여자 토너먼트1996년 8월 4일
아우렐리우 미겔1996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95kg급1996년 7월 21일
구스타부 보르제스1996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100m 자유형1996년 7월 22일
엔히키 기마랑이스1996년 하계 올림픽유도남자 65kg급1996년 7월 25일
페르난두 셰레르1996년 하계 올림픽수영남자 50m 자유형1996년 7월 25일
라르스 그라엘
키코 펠리카누
1996년 하계 올림픽요트남자 토네이도1996년 7월 30일
호드리고 페소아
루이스 펠리페 지 아제베두
알바루 지 미란다 네투
앙드레 요한페터
1996년 하계 올림픽승마단체 장애물1996년 8월 1일
남자 U-23 축구 대표팀

지다
제 마리아
알다이르
호날두 기아루
플라비우 콩세이상
호베르투 카를루스
베베투
아마랄
호날두
히바우두
사비우
단르레이
나르시수
1996년 하계 올림픽축구남자 토너먼트1996년 8월 2일


참조

[1] 웹사이트 Olimpíadas de Antuérpia, 1920 - UOL Esporte http://olimpiadas.uo[...] Olimpiadas.uol.com.br 2015-11-08
[2] 간행물 Rio's Olympics Quest: Can It Handle the 2016 Games? http://content.time.[...] 2009-09-25
[3] 웹사이트 Will anyone at the Rio Olympics claim the fourth type of medal? https://www.offtheba[...]
[4] 웹사이트 Brasileiro receberá medalha olímpica com 20 anos de atraso https://ge.globo.com[...] 2024-08-09
[5] 웹사이트 Rodrigo Pessoa: único atleta a receber uma medalha de ouro olímpica no Rio https://sportv.globo[...] 2015-10-12
[6] 웹사이트 Medalha sem pódio https://www.uol.com.[...] 2024-08-09
[7] 웹사이트 Onze anos depois, Brasil recebe bronze do 4x100m masculino da Olimpíada de Pequim 2008 https://ge.globo.com[...] 2024-08-09
[8] 웹사이트 Team Brazil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