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다다 리오 스미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다다 레오 스미스는 미국의 트럼펫 연주자, 작곡가, 교육자이다. 1941년 미시시피주에서 태어나 1960년대 자유 재즈 운동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으며, AACM에 가입하여 음악적 역량을 키웠다. 그는 즉흥 연주와 실험적인 사운드를 특징으로 하며, "Ankhrasmation"이라는 그래픽 표기법 시스템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작곡 방식을 선보인다.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걸쳐 다양한 음악 활동을 펼쳤으며, 2015년에는 앨범 "와다다 리오 스미스 쿼텟"을 발매했다. 그는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젊은 음악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다양한 앨범에 참여하며 재즈 음악의 경계를 확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 디지 길레스피
    디지 길레스피는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밴드 리더, 작곡가로서 찰리 파커와 함께 비밥이라는 새로운 재즈 스타일을 창시하고 아프로-쿠반 재즈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구부러진 트럼펫과 볼이 부풀어 오르는 연주 모습으로도 유명하다.
  • 미국의 재즈 트럼펫 연주자 - 레이 앤서니
    레이 앤서니는 이탈리아계 이민자 출신으로 트럼펫 연주를 시작해 글렌 밀러 밴드에서 활동했으며, 자신의 오케스트라를 결성하여 히트곡을 발표하고 텔레비전 음악 감독과 영화에 출연하며 빅 밴드 리더로 활동하다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액되었다.
  • 미시시피주 출신 음악가 - B.B. 킹
    블루스의 왕으로 불리는 B.B. 킹은 미시시피 출신의 블루스 기타리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로, 멤피스 디스크자키 활동을 통해 음악 경력을 쌓았으며, 독특한 기타 연주와 소울풀한 보컬로 블루스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시시피주 출신 음악가 - 미시시피 존 허트
    미시시피 존 허트는 1893년 미시시피에서 태어나 기타를 연주하며 음악 활동을 시작했고, 1928년 녹음 후 상업적 실패로 고향으로 돌아갔으나 1963년 재발견되어 활동하며 블루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와다다 리오 스미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와다다 레오 스미스
톰 베츠 촬영
출생명레오 스미스
출생일1941년 12월 18일
출생지미국 미시시피주 리랜드
직업음악가
작곡가
악기트럼펫
장르아방가르드 재즈
자유 즉흥 연주
관련 활동크리에이티브 컨스트럭션 컴퍼니
New Dalta Ahkri
웹사이트www.wadadaleosmith.com

2. 생애

스미스는 미국 미시시피주 릴랜드에서 태어났다.[1] 처음에는 드럼, 멜로폰, 프렌치 호른을 연주하다가 트럼펫을 주요 악기로 삼았다.[1] 다양한 R&B 그룹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으며, 1967년에는 창조적 음악가 진흥 협회(AACM)의 회원이 되었다.[1] 같은 해 리로이 젱킨스, 앤서니 브랙스턴과 함께 트리오를 결성하고 창조 건설 회사(Creative Construction Company)를 공동으로 설립했다.[1] 1971년에는 자신의 레이블인 카벨(Kabell)을 설립했으며,[1] 헨리 스레드질, 앤서니 데이비스, 올리버 레이크 등과 함께 뉴 달타 아크리(New Dalta Ahkri)라는 밴드를 결성하기도 했다.[1]

1970년대에 스미스는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민족음악학을 공부했다.[1] 이 시기에 앤서니 브랙스턴과 다시 협연했으며, 데릭 베일리가 이끄는 즉흥 연주 그룹 컴퍼니와 함께 녹음하기도 했다.[1] 또한 1970년에는 "Ankhrasmation"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그래픽 표기법 시스템을 개발하여 작곡에 활용하기 시작했다.[1]

1980년대 중반, 스미스는 라스타파리 운동에 참여하면서 '와다다(Wadada)'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 1993년부터 2014년까지는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2] 악기 제작 강좌도 가르쳤다.[1] 그는 트럼펫과 플루겔호른 외에도 고토, 칼림바, 아텐테벤(가나의 대나무 플루트) 등 다양한 세계의 악기를 연주한다.[1]

1998년에는 기타리스트 헨리 카이저와 함께 ''Yo, Miles!'' 앨범을 발매했다.[2] 이 앨범은 마일스 데이비스가 1970년대에 시도했던 일렉트릭 음악에 대한 헌정 음반으로, 스미스와 카이저를 비롯한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마일스 데이비스의 음악에서 영감을 받은 곡들을 녹음했다.[2]

스미스는 수년간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거주하며 지역 창조 음악계에 기여해왔다.[4]

3. 음악 스타일 및 특징

와다다 리오 스미스는 주로 트럼펫과 플루겔호른을 연주하지만, 그의 음악적 탐구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1][2] 그는 고토, 칼림바, 그리고 가나의 대나무 플루트인 아텐테벤과 같은 다양한 세계 음악 악기 연주에도 능숙하다.[1] 이러한 악기들은 그의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과 민족음악학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 스미스는 웨슬리언 대학교에서 민족음악학을 공부하기도 했다.[1]

스미스의 작곡 방식 또한 독특하다. 그는 1970년에 직접 개발한 "Ankhrasmation"이라는 그래픽 표기법 시스템을 자주 사용한다.[1] 이는 전통적인 악보를 넘어선 시각적인 악보 체계로, 그의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을 반영한다.

그의 음악 경력 전반에 걸쳐 즉흥 연주와 실험 정신이 두드러진다. 1967년 창조적 음악가 진흥 협회(AACM)에 합류하고 르로이 젠킨스, 앤서니 브랙스턴과 함께 창조 건설 회사를 공동 설립한 것은 그의 초기 실험적 성향을 보여준다.[1] 또한 데릭 베일리의 즉흥 연주 그룹 컴퍼니와 함께 녹음하기도 했다.[1]

1998년에는 기타리스트 헨리 카이저와 함께 ''Yo, Miles!'' 앨범을 발매했는데, 이는 마일스 데이비스가 1970년대에 시도했던 실험적인 전기 음악에 대한 헌정 음반이다.[2] 이 앨범은 스미스가 마일스 데이비스의 혁신적인 음악에 깊은 영향을 받았음을 보여주며, 그의 음악적 지향점을 엿볼 수 있게 한다.[2]

4. 주요 활동

1967년 창조적 음악가 진흥 협회`(AACM)`의 일원이 되었고, 르로이 젠킨스, 앤서니 브랙스턴과 함께 트리오로 창조 건설 회사(Creative Construction Company)를 공동 설립했다.[1] 1971년에는 자신의 레이블인 카벨(Kabell)을 설립했으며,[1] 헨리 스레드길, 앤서니 데이비스, 올리버 레이크 등과 함께 뉴 달타 아크리(New Dalta Ahkri)라는 밴드를 결성하여 활동했다.[1]

1970년대에는 웨슬리안 대학교에서 민족음악학을 공부하며 학문적 깊이를 더했다. 이 시기 앤서니 브랙스턴과 다시 협연했으며, 데릭 베일리가 이끄는 즉흥 연주 그룹 컴퍼니(Company)와 함께 녹음 작업을 하기도 했다.[1] 또한 1970년에는 '앙크라스메이션(Ankhrasmation)'이라 불리는 독자적인 그래픽 악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작곡에 활용하기 시작했다.[1]

1980년대 중반, 스미스는 라스타파리 운동의 영향을 받아 '와다다(Wadada)'라는 이름을 사용하기 시작했다.[1] 1993년부터는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여 2014년까지 교수로 재직했다.[2]

1998년에는 기타리스트 헨리 카이저와 협력하여 중요한 앨범 ''Yo, Miles!''를 발표했다. 이 앨범은 마일스 데이비스가 1970년대에 시도했던, 당시에는 상대적으로 덜 조명받았던 전기 음악 시대에 대한 헌정의 의미를 담고 있다. 스미스와 카이저를 비롯한 여러 음악가들이 참여하여 마일스 데이비스의 전기 음악에서 영감을 받은 커버곡과 새로운 창작곡들을 녹음했다.[2] 이 프로젝트는 이후 ''Sky Garden''(2004, 큐니폼)과 ''Upriver''(2005)라는 후속 앨범으로 이어졌으며, 이 앨범들에는 베이시스트 마이클 맨링 등이 참여했다.[2]

스미스는 자신의 그룹인 골든 콰르텟(Golden Quartet)을 통해서도 여러 앨범을 발표하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갔다. 그룹 멤버는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2]

구분드럼키보드/피아노베이스
초기 멤버잭 데조넷앤서니 데이비스말라치 페이버스
현재 멤버피로안 아클라프앤서니 데이비스존 린드버그



2000년대 들어 스미스는 존 조른이 운영하는 레이블 Tzadik과 Pi Recordings를 통해 꾸준히 앨범을 발표했다. 2008년에는 골든 콰르텟과 함께한 공연 실황 등을 담은 DVD ''Freedom Now''를 발매하기도 했다.[2]

5. 사회적 활동 및 평가

스미스는 오랫동안 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 거주하며 지역의 창조적인 음악 문화 형성에 기여해 왔다.[4] 교육자로서도 활동하여 1993년부터 2014년까지 캘리포니아 예술 대학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했고,[2] 악기 제작 강좌를 직접 운영하기도 했다.[1]

6. 음반 목록

와다다 레오 스미스는 오랜 음악 경력 동안 리더로서, 혹은 다른 연주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다수의 음반을 발표하였다. 그의 디스코그래피는 주로 리더 또는 공동 리더로서 발표한 음반, 여러 앨범을 묶은 컴필레이션 음반, 그리고 다른 음악가의 앨범에 참여한 사이드맨 음반으로 분류할 수 있다.

와다다 레오 스미스, 비전 XIII 페스티벌

6. 1. 리더/공동 리더 음반


  • 1972: ''크리에이티브 뮤직 - 1'' (Kabell)
  • 1975: ''Reflectativity'' (Kabell)
  • 1977: ''휴머니티의 노래'' (Kabell)
  • 1978: ''세상의 미사'' (Moers)
  • 1979: ''솔로 뮤직: Ahkreanvention'' (Kabell)
  • 1979: ''디바인 러브'' (ECM)
  • 1979: ''장미의 싹'' (Moers)
  • 1979: ''스피릿 캐쳐'' (Nessa)
  • 1980: ''대지를 만지다'' (FMP)
  • 1982: ''숫자로 가자'' (Black Saint)
  • 1982: ''인권'' (Kabell)
  • 1983: ''핵심을 원한다면 껍질을 깨야 한다'' (FMP)
  • 1983: ''위대한 조상의 행렬'' (Nessa, 1989년 발매)
  • 1983: ''라스타파리'' (Sackville)
  • 1993: ''컬처 재즈'' (ECM)
  • 1996: ''Tao-Njia'' (Tzadik)
  • 1997: ''황금의 심장 회상''[5][24] with N'da Kulture (Chap Chap, 2020년 발매)
  • 1997: ''Prataksis'' (Ninewinds)
  • 1998: ''콘도르, 가을 바람'' (Wobbly Rail)
  • 1999: ''빛 위에 빛'' (Tzadik)
  • 2000: ''Reflectativity'' (Tzadik)
  • 2000: ''골든 콰르텟'' (Tzadik)
  • 2001: ''레드 설퍼 스카이'' (Tzadik)
  • 2002: ''코끼리의 해''[6][25] (Pi)
  • 2002: ''루미너스 액시스'' (Tzadik)
  • 2003: ''유기 공명'' (Pi)
  • 2004: ''비와 호수'' (Tzadik)
  • 2004: ''토성, 그랜드 캐니언과 달콤한 포옹을 하다'' (Pi)
  • 2005: ''스내키쉬'' (Leo)
  • 2006: ''컴패션'' (Meta/Kabell)
  • 2007: ''시간 속의 지혜''[7][26] (Intakt)
  • 2008: ''타블리그'' (Cuneiform)
  • 2009: ''아메리카'' (Tzadik)
  • 2009: ''스피리추얼 디멘션스'' (Cuneiform)
  • 2009: ''애비 로드 콰르텟'' (Treader)
  • 2010: ''푸른 산의 태양 드러머'' (Kabell)
  • 2011: ''마음의 반사'' (Cuneiform)
  • 2011: ''소네트의 다크 레이디'' (TUM)
  • 2011: ''Nessuno''[8][27] with 폴린 올리베로스, 로스코 미첼, 존 틸버리 (IDA, 2016년 발매)
  • 2012: ''텐 프리덤 서머스''[9][28] (Cuneiform)
  • 2012: ''선조'' (TUM)
  • 2013: ''세계를 점령하라'' (TUM)
  • 2014: ''소닉 리버스'' (Tzadik) with 조지 E. 루이스, 존 존
  • 2014: ''레드 힐''[10][29] (RareNoise) with 제이미 사프트, 조 모리스, Balazs Pandi
  • 2014: ''그레이트 레이크 스위트'' (TUM)
  • 2014: ''2013년 6월 6일'' (Novara Jazz) with Eco D'Alberi
  • 2015: ''천상의 날씨'' (TUM) with 존 린드버그
  • 2016: ''각 스트로크의 우주적 리듬'' (ECM) with 비제이 아이어
  • 2016: ''아메리카의 국립공원''[11][30] (Cuneiform)
  • 2017: ''나즈와'' (TUM)
  • 2017: ''솔로: 몽크에 대한 성찰과 명상'' (TUM)
  • 2017: ''Aspiration''[12][31] with 사토코 후지이, 나츠키 타무라, 이쿠에 모리
  • 2018: ''Lebroba''[32] (ECM) with 앤드류 시릴, 빌 프리젤
  • 2018: ''The Haunt''[13][33] with 바비 노턴, 페리 로빈슨
  • 2020: ''Pacific Light and Water/Wu Xing – Cycle of Destruction''[14][34] with 배리 슈레이더
  • 2021: ''Sun Beans of Shimmering Light''[15][35] with 더글라스 에와트, 마이크 리드
  • 2021: ''트럼펫'' (TUM) 솔로 트럼펫
  • 2021: ''성스러운 의식'' (TUM) with Milford Graves, Bill Laswell
  • 2021: ''The Chicago Symphonies'' (TUM)
  • 2021: ''빌리 홀리데이를 위한 사랑의 소네트'' (TUM) with 잭 데조넷, 비제이 아이어
  • 2022: ''현악 사중주 1-12번'' (TUM)
  • 2022: ''에메랄드 듀엣'' (TUM) with 피론 아클라프, 앤드류 시릴, 한 베닝크, 잭 데조넷
  • 2022: ''2세기'' (Red Hook) with Qasim Naqvi, 앤드류 시릴
  • 2023: ''불의 조명'' (Red Hook) with Orange Wave Electric
  • 2024: ''Dét, som ikke kan kaldes tilbage'' (ILK Music) with Søren Nørbo, Kresten Osgood
  • 2024: ''센트럴 파크의 저수지, 호수, 길 및 정원의 모자이크'' (Red Hook) with 아미나 클로딘 마이어스

6. 2. 컴필레이션 음반


  • ''케이블 연대기: 1971–1979'' (Tzadik, 2004) – ''Creative Music – 1'', ''Reflectativity'', ''Song of Humanity'', ''Solo Music: Ahkreanvention'' 앨범과 추가 자료를 모음.

6. 3. 사이드맨 음반

'''무할 리처드 에이브럼스'''

  • ''Young at Heart/Wise in Time'' (Delmark, 1974)


'''마리온 브라운'''

  • ''Geechee Recollections'' (Impulse!, 1973)
  • ''Creative Improvisation Ensemble'' (Freedom, 1970 [1975년 발매])


'''앤서니 브랙스턴'''

  • ''3 Compositions of New Jazz'' (Delmark, 1968)
  • ''Silence'' (Freedom, 1969 [1975]) with 르로이 젠킨스
  • ''Anthony Braxton'' (BYG Actuel, 1969)
  • ''This Time...'' (BYG Actuel, 1970)
  • ''Trio and Duet'' (Sackville, 1974)
  • ''Creative Orchestra Music 1976'' (Arista, 1976)
  • ''Creative Orchestra (Köln) 1978'' (hatART, 1978 [1995])


'''크리에이티브 컨스트럭션 컴퍼니'''

  • ''Creative Construction Company'' (Muse, 1970 [1975])
  • ''Creative Construction Company Vol. II'' (Muse, 1970 [1976])


'''앤드루 시릴'''

  • ''Lebroba'' (ECM, 2018)


'''르로이 젠킨스'''

  • ''For Players Only'' (JCOA Records, 1975)


'''헨리 카이저'''

  • ''Yo, Miles!''[16] [17] (Shanachie, 1998)
  • ''Sky Garden'' (Cuneiform, 2004)
  • ''Upriver'' (Cuneiform, 2004)


'''빌 라스웰'''

  • ''The stone''[18] (2014)


'''프랭크 로우'''

  • ''The Flam'' (Black Saint, 1975)


'''모리스 매킨타이어'''

  • ''Humility in the Light of the Creator'' (Delmark, 1969)


'''로스코 미첼'''

  • ''Sketches from Bamboo'' (Moers Music, 1979)


'''매튜 쉽'''

  • ''New Orbit'' (Thirsty Ear, 2001)


'''스프링 힐 잭'''

  • ''The Sweetness of the Water'' (Thirsty Ear, 2004)
  • ''Hackney Road'' (Treader, 2018) with 팻 토마스 and 스티브 노블(Steve Noble)


'''존 존'''

  • ''50th Birthday Celebration Volume 8'' (Tzadik, 2003)
  • ''The Unknown Masada'' (Tzadik, 2003)

참조

[1] 서적 The Guinness Who's Who of Jazz Guinness Publishing 1992
[2] 웹사이트 Wadada Leo Smith | Biography http://www.allmusic.[...] 2014-03-23
[3]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 Citation http://www.pulitzer.[...] 2014-03-23
[4] 웹사이트 Four Score: A Conversation with Wadada Leo Smith on Turning 80 (Part One) https://postgenre.or[...] 2021-12-12
[5] 웹사이트 Wadada Leo Smith And N'da Kulture:Golden Hearts Remembrance, by Chap Chap Records https://chapchapreco[...] 2021-03-07
[6] 웹사이트 The Year of The Elephant, by Wadada Leo Smith's Golden Quartet https://wadadaleosmi[...] 2021-03-07
[7] 웹사이트 Wisdom in Time, by WADADA LEO SMITH https://guenterbabys[...] 2021-03-07
[8] 웹사이트 Nessuno, by Pauline Oliveros + Roscoe Mitchell + John Tilbury + Wadada Leo Smith (IDA 035 – 2016) https://idischidiang[...] 2021-03-07
[9] 웹사이트 Ten Freedom Summers, by Wadada Leo Smith https://cuneiformrec[...] 2021-03-07
[10] 웹사이트 Red Hill, by Wadada Leo Smith / Jamie Saft / Joe Morris / Balazs Pandi https://joemorrisrit[...] 2021-03-07
[11] 웹사이트 America's National Parks, by Wadada Leo Smith https://cuneiformrec[...] 2021-03-07
[12] 웹사이트 Aspiration, by Satoko Fujii, Wadada Leo Smith, Natsuki Tamura, Ikue Mori https://satokofujii.[...] 2021-03-07
[13] 웹사이트 The Haunt, by Bobby Naughton, Wadada Leo Smith, Perry Robinson https://nobusinessre[...] 2021-03-07
[14] 웹사이트 Pacific Light and Water/Wu Xing – Cycle of Destruction, by Wadada Leo Smith / Barry Schrader https://barryschrade[...] 2021-03-07
[15] 웹사이트 Sun Beans of Shimmering Light, by Wadada Leo Smith / Douglas R. Ewart / Mike Reed https://smithewartre[...] 2021-03-07
[16] 웹사이트 YO MILES! Lightning, by Henry Kaiser, Wadada Leo Smith https://henrykaiser.[...] 2021-03-07
[17] 웹사이트 YO MILES! Shinjuku, by Henry Kaiser, Wadada Leo Smith https://henrykaiser.[...] 2021-03-07
[18] 웹사이트 The Stone – April 22, 2014, by Wadada Leo Smith/Bill Laswell https://modtechnolog[...] 2021-03-07
[19] 문서 初期の活動においては「'''レオ・スミス'''」の表記であった。
[20] 웹사이트 Wadada Leo Smith | Biography https://www.allmusic[...] AllMusic 2014-03-23
[21] 웹사이트 The Pulitzer Prizes | Citation http://www.pulitzer.[...] Pulitzer.org 2014-03-23
[22] 웹인용 Wadada Leo Smith | Biography http://www.allmusic.[...] AllMusic 2014-03-23
[23] 웹인용 The Pulitzer Prizes | Citation http://www.pulitzer.[...] Pulitzer.org 2014-03-23
[24] 웹인용 Wadada Leo Smith And N'da Kulture:Golden Hearts Remembrance, by Chap Chap Records https://chapchapreco[...] 2021-03-07
[25] 웹인용 The Year of The Elephant, by Wadada Leo Smith's Golden Quartet https://wadadaleosmi[...] 2021-03-07
[26] 웹인용 Wisdom in Time, by WADADA LEO SMITH https://guenterbabys[...] 2021-03-07
[27] 웹인용 Nessuno, by Pauline Oliveros + Roscoe Mitchell + John Tilbury + Wadada Leo Smith (IDA 035 – 2016) https://idischidiang[...] 2021-03-07
[28] 웹인용 Ten Freedom Summers, by Wadada Leo Smith https://cuneiformrec[...] 2021-03-07
[29] 웹인용 Red Hill, by Wadada Leo Smith / Jamie Saft / Joe Morris / Balazs Pandi https://joemorrisrit[...] 2021-03-07
[30] 웹인용 America's National Parks, by Wadada Leo Smith https://cuneiformrec[...] 2021-03-07
[31] 웹인용 Aspiration, by Satoko Fujii, Wadada Leo Smith, Natsuki Tamura, Ikue Mori https://satokofujii.[...] 2021-03-07
[32] 웹인용 Lebroba, by Andrew Cyrille, Wadada Leo Smith, Bill Frisell https://ecmrecords.b[...] 2021-03-07
[33] 웹인용 The Haunt, by Bobby Naughton, Wadada Leo Smith, Perry Robinson https://nobusinessre[...] 2021-03-07
[34] 웹인용 Pacific Light and Water/Wu Xing – Cycle of Destruction, by Wadada Leo Smith / Barry Schrader https://barryschrade[...] 2021-03-07
[35] 웹인용 Sun Beans of Shimmering Light, by Wadada Leo Smith / Douglas R. Ewart / Mike Reed https://smithewartre[...] 2021-03-07
[36] 웹인용 YO MILES! Lightning, by Henry Kaiser, Wadada Leo Smith https://henrykaiser.[...] 2021-03-07
[37] 웹인용 YO MILES! Shinjuku, by Henry Kaiser, Wadada Leo Smith https://henrykaiser.[...] 2021-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