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와라이어 위키백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와라이어 언어로 운영되는 위키백과이다. 2005년 하비 피지에 의해 타클로반에서 시작되었으며, 2011년 초 타갈로그어 위키백과보다 많은 문서를 보유했으나, 봇에 의해 자동 생성된 문서가 많아 문서 깊이는 낮다. 2010년 10만 문서, 2014년 100만 문서를 달성했다. 필리핀 내에서는 사용 빈도가 낮으며, 조회수의 상당 부분이 중국, 미국 등에서 발생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별 위키백과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언어별 위키백과 - 중국어 위키백과
    중국어 위키백과는 2001년에 설립된 위키백과의 중국어 버전으로, 간체자와 번체자 자동 변환 기능을 제공하며 중국 정부의 검열과 논란 속에서 바이두 백과와 경쟁한다.
와라이어 위키백과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와라이어 위키백과
종류인터넷 백과사전
언어와라이어
상업성비영리
등록선택 사항
기술 정보
URL와라이어 위키백과
사용 위키위키백과
조직 정보
소유자위키미디어 재단
통계 정보
기타 정보
시작일2005년 9월 25일
라이선스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대부분의 텍스트는 GNU 자유 문서 사용 허가서에 따라 이중 라이선스 부여됨)

2. 역사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2005년 9월 25일 하비 피지에 의해 필리핀 타클로반에서 처음 시작되었다.[8] 초기에는 활동하는 편집자 수가 매우 적었으나[8][9], 이후 봇을 활용하여 자동으로 문서를 대량 생성하면서 문서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10][11]

2014년 6월에는 100만 문서를 넘어서는 등 양적으로 크게 성장했지만, 문서당 편집 횟수를 기반으로 협업의 질을 평가하는 문서 깊이는 매우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주로 봇에 의해 생성된 짧은 문서들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또한 많은 문서 수에도 불구하고, 실제 필리핀 내에서의 이용률은 영어 위키백과타갈로그어 위키백과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 오히려 중국, 미국, 유럽 등 다른 국가에서의 접속 비율이 더 높은 특징을 보인다.[12][13]

2. 1. 초기 역사 (2005년 ~ 2010년)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2005년 9월 25일 하비 피지에 의해 타클로반에서 처음 만들어졌다.[8] 2009년 4월까지는 기여자가 매우 적어, 한 달에 편집에 참여하는 사람이 10명도 채 되지 않았다.

2. 2. 봇에 의한 성장과 낮은 문서 깊이 (2011년 ~ 현재)

2011년 초,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필리핀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인 타갈로그어로 된 타갈로그어 위키백과보다 문서 수가 두 배 이상 많아지면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는 사람이 직접 작성한 것이 아니라 봇을 이용해 대량으로 문서를 생성했기 때문이었다.[10][11]

2014년 6월에는 문서 수가 100만 개를 넘어섰으나, 문서의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인 문서 깊이는 3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문서 깊이는 개별 문서당 편집 횟수를 바탕으로 해당 위키백과의 협업 수준과 문서 품질을 가늠하는 지표이다. 위키미디어의 통계에 따르면, 와라이어 위키백과의 문서 깊이는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이는 타갈로그어 위키백과와 비교해도 두드러지는 특징이다. (와라이어와 타갈로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족에 속하는 가까운 관계의 언어이다.) 이는 봇으로 생성된 문서가 많아, 전체 편집 횟수 대비 문서 수가 과도하게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문서 수에도 불구하고,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실제 필리핀 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3월 기준으로 필리핀 내 위키백과 접속 비율을 보면, 영어 위키백과가 90%를 차지했고 타갈로그어 위키백과가 5%, 러시아어 위키백과가 3% 순이었으며, 와라이어 위키백과의 비중은 미미했다.[12] 오히려 와라이어 위키백과 접속의 약 35%는 중국에서, 25%는 미국에서, 약 15%는 독일프랑스에서 발생했으며, 필리핀 내에서의 접속은 8% 미만에 불과했다.[13] 이는 봇을 통한 양적 팽창이 실제 사용자 확보나 언어 공동체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2. 3. 주요 이정표


  • 2010년 8월 26일, 와라이어 위키백과는 10만 번째 문서를 넘어서며 당시 35번째로 큰 언어판이 되었다.[9]
  • 2014년 6월 8일, 주로 Lsjbot의 기여로 100만 문서 기록을 돌파했다.[14] 이는 필리핀과 아시아 언어 위키백과 중 최초로 100만 문서를 달성한 사례였다.[15]

참조

[1] 웹사이트 Start of the Waray Wikipedia https://war.wikipedi[...] 2005-09-25
[2] 웹사이트 Mga Estadistika "{{fullurl:war:Pinau[...] 2016-01-31
[3] 문서 List of Wikipedias
[4] 뉴스 For This Author, 10,000 Wikipedia Articles is a Good Day's Work - WSJ https://www.wsj.com/[...] WSJ
[5] 간행물 The world's most prolific writer - Features – N by Norwegian http://www.norwegian[...]
[6] 웹사이트 Hans robot har skrivit halva Wikipedia - Internetworld https://web.archive.[...] 2015-02-09
[7] 웹사이트 Waray https://www.ethnolog[...]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2017-01-05
[8] 웹사이트 Waray Wikipedia hits 1 million articles https://www.gmanetwo[...] 2023-09-25
[9] 웹사이트 Wikipedia Statistics Waray https://stats.wikime[...] 2016-01-31
[10] 웹사이트 The Linguistic Geography of the Wikipedia http://geocurrents.i[...] GeoCurrents.info 2011-04-18
[11] magazine Meet the Stats Master Making Sense of Wikipedia's Massive Data Trove https://www.wired.co[...] 2013-12-27
[12] 웹사이트 Wikimedia Traffic Analysis Report - Wikipedia Page Views Per Country - Breakdown https://stats.wikime[...] 2021-03-08
[13] 웹사이트 Wikimedia Traffic Analysis Report - Page Views Per Wikipedia Language - Breakdown https://stats.wikime[...] 2021-03-08
[14] 웹사이트 Waray Wikipedia hits 1 million articles https://web.archive.[...] 2016-03-02
[15] 웹사이트 A Virtual Pool of Free Knowledge on Eastern Visayas http://www.philstar.[...] The Freeman 2015-08-05
[16] 문서 http://war.wikipedia[...]
[17] 뉴스 Waray Wikipedia hits 1 million articles http://www.gmanetwor[...] GMA 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