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시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시쓰는 일본 전통 가옥에서 사용되는 다다미, 쇼지, 후스마 등으로 구성된 다목적 공간을 의미한다. 와시쓰는 식사, 접객, 작업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가구 배치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전통적으로는 제상을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좌탁을 사용하며,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와시쓰는 청결 유지를 위해 신발을 벗고 들어가며, 빗자루나 걸레를 사용하여 청소한다. 건축물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한국 주거 문화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건축 - 와타나베의 건물탐방
와타나베의 건물탐방은 와타나베 아츠시가 개성 있는 주택을 방문하여 소개하는 일본의 장수 프로그램으로, 1989년부터 TV 아사히에서 방송을 시작하여 건물의 정보, 가족의 생활 모습, 건축가의 정보 등을 제공한다. - 일본의 건축 - 나가야
나가야는 독립된 출입구를 가진 여러 세대가 벽을 공유하며 수평으로 건물을 나누어 사용하는 주택 형태로, 과거 일본 서민들의 대표적인 주거 형태였으며 현대에는 타운하우스나 테라스 하우스로 불리고, 에도 시대 서민들의 삶과 문화의 소재이자 현대 도시 방재 및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 형태로도 논의된다. - 일본의 주택 - 우로코의 집
우로코의 집은 고베 외국인 거류지에 고급 임대 주택으로 지어진 서양관으로, 독특한 건축 양식과 외관, 다양한 전시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여러 작품의 촬영 장소로 활용된 관광 명소이다. - 일본의 주택 - 코타츠
코타츠는 일본의 전통 난방 기구로, 테이블 아래 열원을 두고 이불을 덮어 다리를 따뜻하게 하는 가구이며, 이로리에서 유래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 현대에는 전기 난방 방식과 함께 일본 가정의 필수 가구로 자리 잡았고, 세계 각지에 유사한 난방 기구가 있지만 일본 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와시쓰 | |
---|---|
개요 | |
종류 | 일본식 방 |
주요 특징 | 다다미 바닥 미닫이 문 장지문 (쇼지) 도코노마 |
명칭 | |
일본어 | 和室 (와시쓰) |
다른 명칭 | 일본마 (日本間, 니혼마) |
구성 요소 및 특징 | |
바닥 | 다다미 (畳, tatami) |
방석 | 자부톤 |
난방 기구 | 고타츠 |
문 | 미닫이 (후스마) 장지문 (쇼지) |
장식 공간 | 도코노마 |
관련 용어 | |
반대 개념 | 양실 (洋室, 요시쓰 또는 요마) 서양식 방 |
2. 와시쓰의 특징
와시쓰는 주로 다다미, 쇼지, 후스마 등으로 구성된다. 쇼지는 나무 틀에 얇은 한지를 발라 만든 미닫이문으로, 빛을 부드럽게 투과시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공간이 완전히 단절되어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 모호하고 희미한 빛을 공간에 가져다준다.[1]
2. 1. 다다미
다다미는 슬리퍼와 같은 신발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본 고유의 문화이다. 부들, 볏짚 등 천연 소재로 만들어져 쿠션성, 보온성, 조습성 등의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정좌나 눕기 등 다양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1]2. 2. 쇼지와 후스마
쇼지는 나무 틀에 얇은 한지를 발라 만든 미닫이문으로, 빛을 부드럽게 투과시켜 은은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특히 쇼지는 공간이 완전히 단절되어 있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 모호하고 희미한 빛을 공간에 가져다준다.[1] 후스마는 나무 틀에 두꺼운 종이나 천을 발라 만든 미닫이문으로, 공간을 분리하거나 장식하는 역할을 한다.[1]2. 3. 다목적 공간
와시쓰는 책상, 방석, 침구 등을 넣고 빼는 것에 따라 식당, 거실, 서재, 침실 등 다양하게 용도를 바꿀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다.[1] 슬리퍼와 같은 신발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본 고유의 문화인 다다미는 부들, 볏짚 등 천연 소재로 만들어져 쿠션성, 보온성, 조습성 등의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특성 덕분에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며, 정좌뿐 아니라 뒹굴기에도 적합하여 와시쓰 공간의 특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1]작은 주택에서는 가구나 침구를 넣고 빼는 방식으로 같은 방을 여러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1] 식사 시에는 전통적으로 제상을 사용하지만, 현대에는 찬탁 등의 좌탁을 사용하기도 한다. 좌탁은 식사 시간 외에도 항상 와시쓰에 놓여 있으며, 손님 접대나 가벼운 작업 등 다용도로 활용된다.[1] 앉을 때는 방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손님에게는 방석을 내놓지 않으면 실례가 되기도 한다.[1]
말차를 대접하거나 일본 옷을 접는 등, 유럽에서는 테이블 위에서 하는 일들도 다다미 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빗자루나 청소기로 쓰레기를 제거하고 걸레질을 하는 등 청소에 특히 신경을 쓰며, 다다미 방에 신발을 신고 들어가지 않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1]
3. 와시쓰의 이용
와시쓰는 다다미가 깔린 방으로, 식사, 접객, 작업 등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현대식 가옥에서는 식당, 거실, 침실 등 각 방의 용도가 정해져 있지만, 와시쓰는 가구나 침구 배치에 따라 여러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상 대신 찬탁과 같은 좌탁을 사용하기도 하며,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이 일반적이다. 말차를 대접하거나 일본 옷을 접는 등 서양에서 테이블 위에서 하는 일들도 다다미 위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1]
3. 1. 식사
전통적으로는 제상을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찬탁 등의 좌탁(座卓)을 사용하기도 한다.[1] 좌탁은 식사 시간 외에도 접객이나 가벼운 작업 등 다용도로 활용된다.[1]3. 2. 좌식 생활
와시쓰에서는 방석을 깔고 앉는 것이 일반적이며, 특히 손님에게는 방석을 내놓는 것이 예의로 여겨진다.[1] 일상에서는 방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1]3. 3. 청결 유지
와시쓰에서는 다양한 활동이 다다미 위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청결 유지에 힘쓴다. 빗자루나 청소기로 쓰레기를 제거하고 걸레질을 하는 것이 일상적이다.[1] 신발을 신고 다다미 방에 들어가지 않는 것 역시 청결 유지를 위한 것이다.[1]4. 다양한 와시쓰
와시쓰는 건축물의 규모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Washitsu (Japanese-style room) 和室 わしつ
http://www.tjf.or.jp[...]
[2]
사전
Japanese Kōjien dictionary, entries for "washitsu" and "yōshitsu"
[3]
웹사이트
【実例】和室とは? 和室の基礎知識とおしゃれな和室にするリフォームのコツとインテリアや照明の選び方
https://suumo.jp/art[...]
2022-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