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얀 종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얀 종준은 금나라의 황족으로, 금 태조의 아들이자 정식 후계자로 지명되었으나, 요나라 공격 중 부상을 입고 파상풍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들 완안 단(금 희종)이 황위에 오르자, 휘종이라는 묘호와 윤공극양효덕현공우성경선황제라는 시호를 받았다. 슬하에 3명의 아들과 2명의 딸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 태조의 황자 - 완얀 종간
완안종간은 금 태조의 서장자이며 금 희종 치세 동안 권력 투쟁을 벌였고, 남송과의 관계에서 인물을 모함하여 처형하기도 했으며, 해릉왕의 아버지로서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 금 태조의 황자 - 완얀 종요
완얀 종요는 금나라 황족으로 남송 정벌에 기여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했으며, 사후 그의 아들인 금 세종에 의해 예종으로 추존되었다. - 1124년 사망 - 알렉산더 1세 (스코틀랜드)
맬컴 3세와 웨식스의 마가렛의 아들인 알렉산더 1세는 1107년부터 1124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하며 남부 스코틀랜드를 분봉하고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정책을 펼치는 한편, 모레이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고 기독교를 후원했다. - 1124년 사망 - 보르지보이 2세
브라티슬라프 2세의 아들이자 브르제티슬라프 2세의 동생인 보르지보이 2세는 브르제티슬라프 2세 사망 후 보헤미아 공작이 되었으나, 폴란드 내전 개입과 동생의 반란 등으로 혼란스러운 통치를 겪고 망명으로 생을 마감했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핵리발
완안 핵리발은 금나라 황족으로, 금나라 건국에 기여한 아들들을 두었다. - 금나라의 추존황제 - 완안 수가
완안 수가는 983년부터 1005년까지 여진족 추장으로, 부족 통합과 세력 확장을 통해 금나라 건국 토대를 마련하고 요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유지하려 노력하며 안정적인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완얀 종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완안 종준(完顔 宗峻) |
여진 이름 | 완안 승과(完顔 繩果) |
칭호 | 변왕(汴王) |
시호 | 윤공극양효덕현공우성경선황제(允恭克讓孝德玄功佑聖景宣皇帝) |
묘호 | 휘종(徽宗) |
생몰년 | 불명 - 천회(天會) 원년 7월 9일 (1124년 8월 18일) |
아버지 | 완안아골타(完顔阿骨打) |
어머니 | 성목황후(聖穆皇后) 당괄씨(唐括氏) |
배우자 | 혜소황후(惠昭皇后) 포찰씨(蒲察氏) |
자녀 | 합랄(合剌) (호라) 완안 원(完顏 元) 완안 찰랄(完顏 査剌) 아 공주(阿 公主) 완안씨(完顏氏) |
2. 생애
적자였기에 아버지 아골타로부터 정식 후계자로 정해졌으며, 아버지를 따라 종군하여 공적을 세웠다. 이후 숙부인 2대 황제 오걸매를 따라 요나라의 중경대정부와 서경대동부를 공략하던 중 중상을 입었다. 천회 원년(1124년) 7월, 이 부상이 원인이 되어 파상풍에 걸려 사망했다.
희종이 즉위한 후 아버지 종준을 황제로 추존하였다. 이때 묘호는 '''휘종'''(徽宗), 시호는 '''윤공극양효덕현공우성경선황제'''(允恭克讓孝德玄功佑聖景宣皇帝)로 올렸다. 장남인 합랄(合剌, 훗날의 희종)이 제3대 금나라 황제로 즉위하면서 아버지에게 이러한 묘호와 시호를 추증한 것이다.
아버지는 금 태조 완안 아골타이며, 어머니는 성목황후 당괄씨이다. 혜소황후 포찰씨를 비롯한 배우자들 사이에서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중 첫째 아들인 금 희종 완안 단은 훗날 금나라의 황제가 되었다.
완얀 종준 사후, 그의 미망인인 포찰씨는 이복 형 알본에게 재가했다. 이로 인해 알본은 완얀 종준의 아들들, 즉 자신의 조카들의 양아버지가 되었고 후견인 역할을 맡게 되었다.
훗날 장남인 합랄(合剌)이 제3대 금나라 황제 희종으로 즉위하자, 아버지 완얀 종준에게 '''휘종'''이라는 묘호와 '''경선황제'''라는 시호를 추증했다.
3. 추존
4. 가족 관계
4. 1. 조부모와 부모
4. 2. 배우자
4. 3. 자녀
완얀 종준은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첫째 아들 완안 단은 혜소황후 포찰씨 소생으로, 훗날 금나라의 제3대 황제인 금 희종으로 즉위하였다. 다른 아들로는 작왕(胙王)에 봉해진 완안 원(元)과 안무군 절도사(安武軍節度使)를 지낸 완안 사랄(査剌)이 있다. 딸로는 악국공주(鄂國公主)와 도단 새일(徒單 賽一)에게 시집간 공주가 있었다.
4. 3. 1. 아들
wikitext
순서 | 이름 | 봉호 / 관직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1 | 완안 단(完顔 亶) (아명: 합랄(合剌)) | 황손(皇孫) | 1119년 ~ 1150년 | 혜소황후 포찰씨 | 제3대 황제 금 희종 |
2 | 완안 원(完顔 元) (다른 이름: 상승(常勝)) | 작왕(胙王) | ? ~ 1149년 | 미상 | [9] |
3 | 완안 사랄(完顔 査剌) | 안무군 절도사(安武軍節度使) | ? ~ 1149년 | 미상 | [10] |
4. 3. 2. 딸
순서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악국공주(鄂國公主) | 미상의 후궁 | 첫째 딸 | ||||
2 | 공주(公主) | 완안씨(完颜氏) | 미상의 후궁 | 도단 새일(徒單 賽一) | 둘째 딸 |
참조
[1]
서적
三朝北盟會編, 250卷 : 附索引
http://worldcat.org/[...]
[2]
서적
登州沙门岛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9-08-01
[3]
서적
大宋王朝1120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9-01-01
[4]
서적
邓广铭治史丛稿
https://books.google[...]
Beijing Book Co. Inc.
2010-06-01
[5]
서적
A Social History of Medieval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大金集礼
[7]
서적
Jin shi
[8]
문서
금 희종 즉위 후에 황후로 추존.
[9]
문서
역모로 인하여 처형됨.
[10]
문서
역모로 인하여 처형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