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규의 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규의 난은 945년 고려 혜종 사후, 왕규가 정종 즉위 후 일으킨 반란 사건이다. 왕규는 혜종을 시해하려다 실패하고, 정종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어 처형되었다. 하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왕규의 난이 정종 측의 정치적 음모였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왕권 강화를 위한 희생양으로 보기도 한다. 이 사건은 고려 초기 정치의 불안정성과 왕권-호족 간 갈등을 보여주며, 광종의 개혁 정치에 영향을 미쳤다.
왕규는 고려 초기 광주(廣州)의 대호족으로, 태조의 개국공신으로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태조는 왕규의 두 딸을 각각 제15비와 제16비로 맞이하였고, 제16비는 아들 광주원군을 낳았다. 945년 왕규는 혜종에게 정종과 광종이 역모를 꾸미고 있다고 모함했으나, 혜종은 이를 믿지 않고 동생들을 더욱 아꼈다.[1]
945년 혜종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동생 왕요(堯)가 왕위에 올랐는데, 이가 곧 정종이다. 혜종을 살해하려다 실패했던 왕규는 정종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다.[1]
2. 배경
점복에 밝은 최지몽이 천문을 보고 나라에 역적이 나타날 것이라 예언하자, 혜종은 왕규가 동생들을 해치려는 징조로 짐작하고 자신의 맏딸과 광종을 혼인시켜 왕실 결속을 강화했다. 왕규는 광주원군을 왕위에 앉히기 위해 혜종을 암살하려 했으나 실패했고, 혜종은 최지몽의 조언으로 거처를 옮겨 위기를 모면했다. 혜종은 왕규의 암살 시도를 불문에 부쳤다.[1]
2. 1. 왕규의 출신과 혼인
왕규는 고려 초기 광주(廣州)의 대호족으로, 본래 양근 함씨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1] 태조는 왕규의 두 딸을 맞아들여 제15비와 제16비로 삼았다.[1] 제16비는 아들 광주원군을 낳았다.[1]
2. 2. 태조의 붕어와 왕위 계승
태조가 붕어한 후,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다. 왕규는 자신의 외손자인 광주원군을 왕위에 올리려 하였다. 왕규는 야심이 있어 혜종에게 정종과 광종이 딴 마음을 품고 있다고 무고하였으나, 혜종은 거짓말임을 알고 더욱 동생들을 사랑하였다.[1]
최지몽이 하늘의 별을 보고 나라에 역적이 일어날 것이라고 하니, 혜종은 왕규가 자기 동생들을 해치려는 징조로 짐작하고 자신의 맏딸과 광종을 결혼시켜 집안을 튼튼히 하였다. 왕규는 자신의 딸이 낳은 광주원군을 왕위에 앉히려고 밤중에 왕이 깊이 잠든 틈을 타서 심복을 몰래 들여보내 죽이려고 하였다. 혜종은 마침 잠이 깨어 한주먹으로 이를 때려죽인 후 사람을 불러 끌어내게 하였으나 이를 문제 삼지 않았다.[1]
하루는 혜종이 몸이 편치 않아 신덕전(神德殿)에 있는데, 최지몽이 장차 변이 있을 것이니 자리를 옮기는 것이 좋겠다고 아뢰었다. 혜종은 몰래 중광전(重光殿)으로 옮겼다. 왕규는 밤에 심복들을 거느리고 와서 벽을 뚫고 들어갔으나 혜종이 잠자리를 옮긴 것을 알고 “너의 수작이 아니냐?”라고 물었으나, 최지몽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 이번에도 혜종은 이를 불문에 붙였다.[1]
2. 3. 혜종 즉위와 왕규의 견제
왕규는 고려 초기 광주(廣州)의 대호족으로, 양근 함씨였으나 개국공신으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 태조는 왕규의 두 딸을 맞아들여 하나는 제15비(妃), 하나는 제16비로 삼았다. 제16비는 아들 광주원군을 낳았다. 945년 왕규는 야심을 품고 혜종에게 요(窯)와 소(昭)가 역모를 꾸미고 있다고 모함하였으나, 혜종은 거짓임을 알고 오히려 동생들을 더욱 아꼈다.
최지몽(崔知夢)은 점복(占卜)에 능했는데, 천문을 보고 나라에 역적이 나타날 것이라 예언하였다. 혜종은 왕규가 자신의 동생들을 해치려는 징조로 짐작하고, 자신의 맏딸과 소(昭)를 혼인시켜 왕실의 결속을 강화했다.
3. 왕규의 난
하지만 정종은 이전부터 왕규의 동태를 알고 있었고, 혜종의 병이 위독해지자 서경의 수비대장 왕식렴(태조의 사촌동생)과 미리 연락을 취해두었다.[1]
왕규가 난을 일으키자 왕식렴은 군대를 이끌고 개성으로 들어와 정종을 호위했고, 왕규는 이에 감히 움직이지 못했다. 왕식렴은 왕규를 붙잡아 갑곶(甲串)에 귀양 보냈다가 사람을 보내 죽였으며, 그의 일당 300여 명도 처형하였다.[1]
그러나 이 사건을 진압하고 즉위한 정종도 오래가지 못하고 외척 세력에게 쫓겨나, 동생 왕소에게 왕위를 넘기고 아들 경춘원군의 목숨만은 유지하게 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광종은 즉위 후 경춘원군이 자신의 자리를 노린다는 이유를 들어 그를 처형하였고, 고려 초기의 왕권 불안은 한동안 계속되었다.[1]
3. 1. 혜종 시해 시도
945년 왕규는 광주원군을 왕위에 앉히려는 야심을 품고, 밤중에 혜종이 깊이 잠든 틈을 타서 자신의 심복을 몰래 들여보내 혜종을 죽이려 하였다.[1] 그러나 혜종은 마침 잠에서 깨어나 자객을 한주먹으로 때려죽이고 사람을 불러 끌어내게 하였으나, 이 사건을 문제 삼지 않았다.[1]
하루는 혜종이 몸이 편치 않아 신덕전(神德殿)에 있었는데, 점복(占卜)에 밝은 최지몽이 변고가 있을 것이라며 혜종에게 거처를 옮길 것을 권했다.[1] 혜종은 최지몽의 조언에 따라 몰래 중광전(重光殿)으로 거처를 옮겼다.[1] 왕규는 밤에 심복들을 거느리고 신덕전 벽을 뚫고 들어갔으나, 혜종이 이미 잠자리를 옮긴 것을 알고 최지몽에게 "너의 수작이 아니냐?"라고 물었으나 최지몽은 아무 대답도 하지 않았다.[1] 혜종은 이번에도 이 사건을 불문에 붙였다.[1]
3. 2. 정종 즉위와 반란
945년 혜종이 세상을 떠나고 동생 요(堯)가 왕위에 오르니, 곧 정종이다. 혜종을 살해하려다 실패했던 왕규는 정종이 즉위하자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정종은 전부터 왕규의 동태를 알고 있던 터라 혜종의 병이 위독하자 서경(西京)의 수비대장 왕식렴(태조의 사촌동생)과 미리부터 연락을 해두었다.
왕규가 난을 일으키자 왕식렴이 군대를 이끌고 개성에 들어와 정종을 호위하니 왕규는 감히 움직이지 못했다. 이에 왕식렴은 왕규를 붙잡아 갑곶(甲串)에 귀양 보냈다가 사람을 보내 죽여 버리고 그의 일당 3백여 명을 처형하였다.[1]
3. 3. 왕규의 처형과 그 이후
그해(945년) 혜종이 세상을 떠나자, 그의 동생 왕요(堯)가 왕위에 올랐는데, 이가 곧 정종이다. 혜종을 살해하려다 실패했던 왕규는 정종 즉위 후 반란을 일으켰다.[1]
하지만 정종은 이전부터 왕규의 동태를 알고 있었고, 혜종의 병이 위독해지자 서경의 수비대장 왕식렴(태조의 사촌동생)과 미리 연락을 취해두었다.[1]
왕규가 난을 일으키자 왕식렴은 군대를 이끌고 개성으로 들어와 정종을 호위했고, 왕규는 이에 감히 움직이지 못했다. 왕식렴은 왕규를 붙잡아 갑곶(甲串)에 귀양 보냈다가 사람을 보내 죽였으며, 그의 일당 300여 명도 처형하였다.[1]
그러나 이 사건을 진압하고 즉위한 정종도 오래가지 못하고 외척 세력에게 쫓겨나, 동생 왕소에게 왕위를 넘기고 아들 경춘원군의 목숨만은 유지하게 해 줄 것을 부탁하였다. 그러나 광종은 즉위 후 경춘원군이 자신의 자리를 노린다는 이유를 들어 그를 처형하였고, 고려 초기의 왕권 불안은 한동안 계속되었다.[1]
4. 새로운 관점과 역사적 재해석
많은 현대 연구자들은 왕규가 실제로 난을 일으킨 것이 아니라 정종 측에서 꾸며낸 것으로 보고 있다. 관련 기록이 서로 모순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정황상 왕규가 반역을 도모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2]
4. 1. 왕규의 난에 대한 의문점
다수의 현대 연구자들은 왕규가 실제로 난을 일으킨 것이 아니고 정종 측에서 꾸민 것으로 본다. 관련 기록이 서로 모순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정황상으로 봐도 왕규가 반역을 도모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2]4. 2. 정종, 광종 측의 정치적 음모 가능성
일각에서는 왕규의 난이 정종 측에서 왕권 강화를 위해 꾸민 정치적 음모였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왕규는 정적 제거를 위한 희생양이었을 수 있다는 것이다.[2] 관련 기록은 서로 모순될 뿐만 아니라, 당시의 정황상으로도 왕규가 반역을 도모할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2]참조
[1]
서적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
논문
고려 초 왕규의 난에 대한 재검토
[2]
학위논문
고려 전기 형제 왕위 계승의 정치적 성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