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영 (낙랑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영(樂浪公)은 고려 현종의 손자이자 정간왕의 아들로, 고려 문종의 사위이다. 1069년 아버지 정간왕 사후, 문종에 의해 정간왕에 추봉되었으나, 정간왕 추대 쿠데타 모의가 발각되어 관련된 자들이 처벌받았다. 이후 문종의 딸 보령궁주와 혼인하여 낙랑백에 봉해지고 관직을 거쳐 헌종 때 개부의동삼사로 승진, 숙종 때 수충공신에 책록되었다. 1112년에 사망했으며, 경안공의 시호가 내려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2년 사망 - 소철 (북송)
소철은 북송 시대의 문인이자 관료로서, 신법에 반대하다 정치적 고난을 겪었지만 유교적 가치관에 입각한 사회 문제 해결에 헌신하며 현실 비판적인 시각과 뛰어난 문장력으로 당대 문단에 큰 영향을 미쳤고, 형인 소식과 함께 당송팔대가로 불린다. - 1112년 사망 - 명의왕후
명의왕후는 고려 숙종의 왕비로, 숙종과의 사이에서 예종을 비롯한 7남 4녀를 두었으며, 숙종 사후 왕태후로 존숭되어 숭릉에 안장되었다. - 고려의 왕족 - 왕우 (고려 왕족)
왕우는 고려 신종의 7대손이자 공양왕의 친형으로, 공양왕 즉위 후 정양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조선 건국 후에는 딸이 태조의 며느리가 되어 고려 왕실의 제사를 맡게 되었다. - 고려의 왕족 - 왕면
왕면은 고려 의종의 사위로, 수사공 등의 관작을 받았으며, 순후하고 침착한 성품으로 의술에 정통하여 종기를 치료하는 등 헌신적인 면모를 보였다.
왕영 (낙랑공)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왕영 |
작위 | 낙랑공 |
본관 | 왕씨 |
시호 | 경안(敬安) |
생애 | |
출생 | 1043년 |
사망 | 1112년 (향년 70세) |
아버지 | 왕기, 평양공 |
어머니 | 미상 |
배우자 | 보령궁주 |
자녀 | 왕정, 왕지 |
관직 | |
초기 작위 | 낙랑백 (문종 재위 기간) |
이후 작위 | 낙랑후 (헌종 즉위 후) |
최종 작위 | 낙랑공 (숙종 재위 기간) |
주요 관직 | 수사도, 개부의동삼사, 수충공신, 수태위 |
식읍 | 식읍 2,000호, 식실봉 300호 |
2. 생애
왕영은 백부 문종의 딸 보령궁주와 혼인하여 낙랑백에 봉해졌고 수사도에 임명되었다. 헌종 즉위 후 개부의동삼사로 승진하고, 낙랑후로 봉해졌다. 고려 숙종 때는 수충공신에 책봉되고 공으로 진봉된 뒤, 수태위 식읍 2,000호, 식실봉 300호를 받았다. 1112년에 향년 70세로 사망했고, 경안공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2. 1. 가계와 초기 생애
현종의 넷째 아들 정간왕의 차남으로, 어머니는 누구인지 알 수 없다. 문종은 그의 친백부였고, 덕종과 정종은 이복 백부였다.1069년(문종 23) 왕위 계승 후보였던 아버지 평양공 왕기가 자신의 형 문종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문종은 평양공 왕기를 정간왕으로 추봉했지만, 1061년(문종 15) 평양공 왕기가 살아있을 때 교위(校尉) 거신(巨身) 등이 문종의 왕위를 빼앗고 평양공 왕기를 왕위에 올리려는 쿠데타를 준비했었다. 이 사실이 1072년(문종 26) 병사(兵士) 장선(張善) 등의 고발로 알려지게 되었다. 문종은 거신(巨身)을 처형하고 그 가족들 또한 전부 사형에 처했다.
이미 사망한 평양공 왕기는 추증된 작위와 생전 지위가 모두 박탈되었고, 왕진은 남해로 귀양을 가게 되었다. 다만, 이때 왕영은 나이가 어려서 형벌을 면할 수 있었다.
2. 2. 정간왕 추대 사건
1069년(문종 23) 왕위 계승 후보였던 아버지 평양공 왕기가 백부 문종보다 먼저 사망하자, 문종은 왕기를 정간왕으로 추봉하였다. 그러나 왕기가 사망하기 전인 1061년(문종 15) 교위(校尉) 거신(巨身) 등이 문종을 폐하고 평양공 왕기를 추대하려는 쿠데타를 준비했던 일이 1072년(문종 26) 병사(兵士) 장선(張善) 등의 고변으로 알려졌다.[1]문종은 거신을 죽이고 그 족속(族屬)을 전부 사형시켰다. 이미 사망한 평양공 왕기는 추증된 작위와 생전 지위가 모두 박탈당했고, 왕진은 남해로 유배되었다. 단, 이때 왕영은 나이가 어려 형벌을 면하였다.[1]
2. 3. 혼인과 관직 생활
현종의 넷째 아들 정간왕의 차남으로, 어머니는 누구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문종은 그의 친백부였고, 덕종과 정종은 이복 백부였다.1069년(문종 23년), 아버지 평양공 왕기(고려 정간왕)는 왕위 계승 유력 후보였으나, 자신의 형인 문종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다. 문종은 왕기를 정간왕으로 추봉하였다. 그러나 1061년(문종 15년) 교위 거신 등이 문종을 폐위하고 평양공 왕기를 추대하려는 쿠데타를 준비했던 사실이, 1072년(문종 26년) 병사 장선의 고변으로 밝혀졌다. 문종은 거신을 처형하고 그 가족들까지 모두 사형에 처했다.
이미 사망한 평양공 왕기는 추증된 작위와 생전 지위 모두를 박탈당했고, 왕진은 남해로 유배되었다. 다만, 이때 왕영은 나이가 어려 형벌을 면제받았다.
왕영은 백부 문종의 딸 보령궁주 왕씨에게 장가들어 낙랑백에 봉해졌고 수사도에 임명되었다. 헌종 즉위 후 개부의동삼사에 올랐으며, 낙랑후로 진봉되었다. 숙종 때는 수충공신에 책록되고 공으로 진봉된 후, 수태위, 식읍 2,000호, 식실봉 300호를 하사받았다.
2. 4. 사망
1112년에 왕영은 7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경안공(敬安公)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3. 가족 관계
4. 기타
아들 왕지는 예종 때 검교 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 주국(柱國)에 제수되었다가 얼마 후에 검교사도(檢校司徒), 수사공(守司空) 상주국(上柱國)을 역임했다.
참조
[1]
서적
高麗史
https://books.google[...]
Sinseowon
2001
[2]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2006
[3]
서적
https://books.google[...]
Yeoksa Bipyeongsa
2002
[4]
서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5]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6]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7]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8]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9]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10]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