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간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간왕은 고려 현종과 원혜왕후의 아들로, 고려 문종의 동생이다. 개성국공, 평양공을 거쳐 수태사, 중서령을 역임했으며, 순종의 장인이다. 1069년에 사망하여 정간왕으로 추증되었다. 사후 문종을 폐하고 왕기를 옹립하려는 모반 사건이 일어났으며, 그의 가족들은 왕실과 혼인 관계를 통해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9년 사망 - 망누스 2세 (노르웨이)
    망누스 2세는 하랄 3세의 아들로 1066년부터 1069년까지 노르웨이 국왕이었으며, 이복 동생 올라프 3세와 공동 통치하며 노르웨이 동부를 주로 다스렸고, 1058년 아일랜드해 원정과 1062년 덴마크 원정에도 참여했다.
  • 고려의 국공 - 목종 (고려)
    목종은 고려의 제7대 왕으로, 헌애왕후의 섭정 하에 전시과 개혁과 국방 강화에 힘썼으나, 권력 남용과 왕위 찬탈 시도 속에 폐위되어 살해당하며 그의 죽음은 전쟁의 빌미가 되었다.
  • 고려의 국공 - 이자겸
    고려 중기 문신 이자겸은 문종부터 인종까지 왕실 외척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리며 문하시중에 올라 국정을 농단하고 왕위를 넘보았으나, 이자겸의 난을 일으켰다가 실패하여 유배지에서 사망했다.
  • 1021년 출생 - 카이 카우스
    카이 카우스는 11세기 페르시아의 통치자이자 시인이며, 통치, 윤리, 인간 관계에 대한 교훈을 담은 《카부스나마》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 1021년 출생 - 완안 오고내
    완안 오고내는 여진족 추장으로서 금나라 건국에 기여했으며, 위순황후 두단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났고, 그의 지도력 아래 여진족은 국가 체제로 발전하여 사후 금나라 추존 황제로 추존되었다.
정간왕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간왕 (靖簡王)
본명왕기 (王基)
작위고려 현종의 왕자
작위2고려의 추존 제후왕
작호평양공(平壤公) · 개성국공(開城國公)
출생일1021년 8월 25일 (음력)
출생지고려 개경 연덕궁
사망일1069년 11월 4일 (음력)
부친현종
모친원혜왕후 김씨
자녀왕진 · 왕거 · 낙랑공 왕영 · 정의왕후
시호정간(靖簡; "Tranquil and Brief")
생애
출생1021년 음력 8월 25일 개경의 연덕궁에서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의 아들로 태어남.
관직정종 즉위년에 어의를 지냄.
수태보 책봉됨.
수태사 겸 내사령
중서령
홍인숭효광덕공신 수태위 겸 상서령
사망1069년 음력 11월 평양공 왕기가 죽다.
가계
아버지현종
어머니원혜왕후 김씨
형제문종, 왕흠 등
자녀왕친, 왕거, 왕영, 정의왕후
기타
존호정간(靖簡)

2. 생애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021년 8월 25일, 현종과 원혜왕후의 아들로 연덕궁에서 태어났다. 덕종, 정종의 이복동생이며 문종의 친동생이다.

1031년 홍인숭효광덕공신 수태위 겸 상서령(弘仁崇孝光德功臣 守太尉兼尙書令)에 임명되고 '''개성국공'''(開城國公)에 봉작되었다. 1034년 수태보(守太保)로 임명되었다.

2. 2. 관직 생활과 사망

문종 즉위 후 '''평양공'''으로 진봉되었다. 문종은 평양공이 병에 걸리자 직접 어의를 보내 병을 돌보게 할 정도로 그를 아꼈다. 1049년(문종 3년) 수태사 겸 내사령, 1061년(문종 15년) 중서령이 되었다.[10]

1069년(문종 23년) 윤11월 4일 병으로 사망하였다. 그의 딸 정의왕후 왕씨는 순종의 왕비가 되었으므로 순종의 장인이 된다.[11][12] 사후 '''정간왕'''으로 추증되었다.

2. 3. 사후

그의 딸 정의왕후 왕씨는 순종의 왕비가 되었으므로 순종의 장인이 된다.[10][11][12] 1072년(문종 26년), 교위(校尉) 거신(巨身) 등이 평양공 왕기(정간왕) 생전에 문종을 폐하고 평양공 왕기를 왕으로 세우려 했다는 모반사건이 발각되어 처형되었고, 이 사건에 연루된 평양공의 아들 왕진은 해남으로 유배되었다.

3. 가족 관계

정간왕의 가계는 고려 왕실과의 중첩된 혼인을 통해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혼인 관계는 왕실의 권력을 강화하고, 왕족 간의 결속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정간왕의 아들 낙랑공 왕영은 문종의 딸 보령궁주와 혼인하였고, 손자 승화백 왕정은 숙종의 딸 흥수공주와 혼인함으로써 왕실과의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였다.

관계이름비고
조부안종? ~ 996년
조모효숙왕태후 황보씨? ~ 993년
외조부김은부? ~ 1017년
외조모안산군대부인 이씨생몰년 미상
며느리보령궁주? ~ 1113년, 문종의 딸
손자승화백 왕정? ~ 1130년
손부흥수공주숙종의 딸
손자왕지생몰년 미상
사위순종1047년 ~ 1083년


3. 1. 부모


  • 아버지: 현종 (992~1031)
  • 어머니: 원혜왕후 김씨 (?~1022)

3. 2. 형제자매

항목내용
아버지고려 현종 (992~1031)
어머니원혜왕후 김씨 (?~1022)
고려 문종 (1019~1083)
누이효사왕후 (생몰년 미상) - 고려 덕종의 제3비
장남왕진 (?~1072)
차남왕거 (생몰년 미상)
3남낙랑공 왕영 (1043~1112)
정의왕후 (생몰년 미상)


3. 3. 배우자와 자녀

구분관계이름비고
아버지현종992년~1031년
어머니원혜왕후 김씨?~1022년
아내미상
장남왕진?~1072년
차남왕거생몰년 미상
3남낙랑공 왕영1043년~1112년
정의왕후 왕씨생몰년 미상


참조

[1] 서적 https://books.google[...] National Culture 2006
[2]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3] 서적 京畿道史資料集: 고려 편 III-IV https://books.google[...] Gyeonggi Province 1998
[4]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6
[5]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6
[6]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2-03-06
[7] 서적 https://books.google[...] Taoreum 2009
[8] 서적 내시와 궁녀 가람기획 2005-05
[9] 웹사이트 디지털한국학 http://koreandb.empa[...]
[10] 서적 고려사 1069-11-04
[11] 서적 내시와 궁녀 가람기획 2005-05
[12] 서적 야사로 보는 고려의 역사 가람기획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