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왕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항은 삼국 시대 촉한의 인물로, 영창군 부승으로 재직하며 옹개의 반란을 막아낸 공로로 제갈량에게 칭찬받아 정후에 봉해지고 영창태수가 되었다. 220년 옹개가 오나라에 귀순하여 영창태수로 임명되자, 왕항은 여개와 함께 경계를 폐쇄하여 옹개를 막았고, 223년 고정의 봉기에도 맞섰다. 유비 사후 옹개가 촉에 반란을 일으켰을 때에도 여개와 협력하여 옹개의 침공을 막아냈으며, 제갈량의 남정 이후 공을 인정받았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영창태수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한의 정치인 - 황권
    황권은 삼국 시대 촉한과 위나라에서 활약한 인물로, 유비의 촉 정벌 이후 촉한의 신료가 되었으나 오나라 공격을 반대하다 받아들여지지 않자 위나라에 귀순하여 진남장군 등을 역임했으며, 아들 황숭은 촉에 남아 등애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전사했다.
  • 촉한의 정치인 - 양의
    양의는 촉한의 정치가로, 제갈량 사후 군 철수 임무 수행과 위연 제거에 공을 세웠으나, 좁은 소견과 과도한 야심으로 장완에게 밀려 불만을 품고 자결하여 능력과 인격의 조화 및 리더십의 중요성에 대한 교훈을 남겼다.
  • 쓰촨성 출신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쓰촨성 출신 - 진수 (서진)
    촉한과 서진에서 벼슬을 지낸 진수는 환관의 핍박을 받기도 했으나 장화의 추천으로 등용되어 《삼국지》를 편찬, 위나라를 정통으로 하는 역사관을 확립한 역사가이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왕항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왕항
한자 표기王伉
로마자 표기Wang Kang
출생생년 미상
사망몰년 미상
출신지익주촉군
소속촉한
주요 직책영창태수
작위정후
상세 정보
주군유비유선
기타 사항영창군 부승 역임
옹개에 맞서 싸움

2. 생애

왕항은 영창군 부승(永昌郡府丞)으로 재직했다. 220년 (건안 25년)[1] 익주군(益州郡) 유지 옹개가 익주군을 점거하고 오나라에 귀순하여 손권으로부터 영창태수로 임명되었으나, 영창군은 익주군의 서쪽이기에 촉나라와의 길이 끊겼다. 왕항은 오관연공조(五官掾功曹) 여개와 함께 경계를 폐쇄하고 옹개를 막았다. 223년 (건흥 원년) 월수군(越巂郡)에서 이민족인 고정까지 봉기하면서[2] 핍박이 더욱 심해졌지만 버텨냈다. 225년[3] 제갈량남방을 평정한 후 표를 올려 그 공을 칭찬했다. 왕항은 정후(亭侯)에 봉해지고 영창태수를 지냈다.

2. 1. 옹개와 고정의 난

220년(건안 25년)[1] 촉한익주군에서 유지 옹개가 익주군을 점거하고 오나라에 귀순하여 손권으로부터 영창태수로 임명되었다. 영창군은 익주군의 서쪽이기에 촉나라와의 길이 끊겼다. 왕항은 영창군 부승(府丞)으로서 오관연공조(五官掾功曹) 여개와 함께 경계를 폐쇄하고 옹개를 막았다. 223년(건흥 원년) 월수군(越巂郡)에서 이민족인 고정까지 봉기하면서[2] 그 핍박이 더욱 심해졌지만 버텨냈다.

유비가 죽은 후, 건녕군의 옹개가 오와 연락하여 촉에 반란을 일으켰고, 손권으로부터 영창 태수에 임명되어 영창군의 경계로 쳐들어왔다. 이때 영창군과 성도와의 연락은 끊어졌고, 영창 태수도 교체 중이라 부재 중이었다. 왕항은 여개와 협력하여 옹개의 침공을 막아냈다.

2. 2. 제갈량의 남정

225년[3] 제갈량이 남방을 평정한 후 표를 올려 왕항의 공을 칭찬하였다. 왕항은 정후(亭侯)에 봉해지고 영창태수가 되었다.

유비가 죽은 후, 건녕군의 옹개와 연락하여 촉에 반란을 일으켰다(「이회전」). 옹개는 오로부터 영창태수에 임명되어 영창군의 경계로 쳐들어왔다. 이때, 영창군과 성도와의 연락은 끊어졌고, 영창 태수도 교체 중이라 부재 중이었다. 왕항은 영창군의 부승 직에 있었기 때문에, 여개와 협력하여 옹개의 침공을 막아냈다.

건흥 3년(225년) 봄, 제갈량은 반란을 일으킨 남중 4군을 진압하기 위해 남정을 했다. 옹개가 고정의 부하에게 살해당하는 등의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4군은 무사히 평정되었다(「후주전」).

제갈량은 유선에게 상소를 올려, 여개와 왕항의 공적을 칭찬했다.

3. 삼국지연의

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영창태수로 등장한다는 것만이 다를 뿐 정사와 대체로 비슷하다.

유비가 죽은 후, 건녕군의 옹개와 연락하여 촉에 반란을 일으켰다(「이회전」). 옹개는 오로부터 영창태수에 임명되어 영창군의 경계로 쳐들어왔다. 이때, 영창군과 성도와의 연락은 끊어졌고, 영창 태수도 교체 중이라 부재 중이었다. 왕항은 영창군의 부승 직에 있었기 때문에, 여개와 협력하여 옹개의 침공을 막아냈다.[1]

건흥 3년(225년) 봄 3월, 제갈량은 반란을 일으킨 남중 4군을 진압하기 위해 남정을 했다. 옹개가 고정의 부하에게 살해당하는 등의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4군은 무사히 평정되었다(「후주전」).[1]

제갈량은 유선에게 상소를 올려, 여개와 왕항의 공적을 칭찬했다. 왕항은 영창 태수가 되었고, 정후에 봉해졌다.[1]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왕항은 처음부터 영창 태수로 등장하며, 여개는 그의 참모라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제갈량이 옹개 등을 토벌하고, 남만의 깊숙한 곳으로 남정을 할 때, 안내역으로 여개를 추천하고 있다.[1]

참조

[1] 서적 삼국지 49권 오서 제4 사섭
[1] 서적 삼국지 31권 촉서 제1 유장
[2] 서적 삼국지 33권 촉서 제3 후주 유선
[3] 서적 삼국지 35권 촉서 제5 제갈량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