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게벳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게벳은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모세의 어머니로 알려져 있다. 출애굽기에 따르면, 요게벳은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억압받을 때 막내 아들 모세를 파라오의 학살 명령에서 구하기 위해 나일강에 띄워 보낸다. 모세는 파라오의 딸에게 발견되어 입양되었고, 이후 이스라엘 백성을 이집트에서 탈출시키는 지도자가 된다. 요게벳은 레위의 딸로, 남편 아므람과의 관계, 랍비 문헌에서의 해석,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언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교와 여성 - 십보라
십보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미디안 제사장의 딸이자 모세의 아내이며, 이스라엘 백성의 이집트 탈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레위 지파 - 에즈라
에즈라는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 시대 유대인 지도자이자 서기관으로, 바벨론 유수 후 유대인 귀환과 예루살렘 재건에 기여했으며, 토라 준수 강조와 유대인 공동체 정화를 위해 노력했고, 유대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그의 역사적 실존 여부와 활동 시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와 후대 유대교와 기독교 전통에서의 다양한 신학적 해석이 존재한다. - 레위 지파 - 예레미야
예레미야는 기원전 7세기 유다 왕국의 예언자로, 예루살렘 멸망과 바빌론 포로를 예언하며 고난을 겪어 "우는 예언자"라고도 불리며 그의 예언은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히브리어 성경의 여자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히브리어 성경의 여자 - 다말 (다윗의 딸)
다말은 다윗 왕의 딸로 이복 오빠 암논에게 강간당한 후 친오빠 압살롬의 복수를 받았으며, 그녀의 이야기는 성경 해석과 문학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
요게벳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요케베드 요케벳 요헤베드 |
직업 | 노예 |
배우자 | 아므람 |
자녀 | 아론 미르얌 모세 |
아버지 | 레위 |
출생 | 고센 |
민족 | 레위인 |
종교 | 유대교 |
성경 정보 | |
등장 성경 | 출애굽기 민수기 역대상 |
기독교적 중요성 | 믿음의 여성, 영웅 |
가계 | |
배우자 | 아므람 |
아버지 | 레위 |
자녀 | 아론 미르얌 모세 |
손자 | 나답 아비후 엘르아살 이타말 |
기타 정보 | |
히브리어 | יוֹכֶבֶד |
로마자 표기 | Yōḵeḇeḏ |
의미 | '야훼는 영광이시다' |
2. 성경 속 요게벳
성경에서 요게벳이라는 이름은 출애굽기 6장 20절에서 처음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된다. 하지만 그녀의 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출애굽기 2장 1절부터 10절까지의 내용으로 여겨진다. 이 이야기에서는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억압받던 시기, 파라오의 남자 아기 학살 명령 속에서 갓 태어난 아들 모세를 보호하려는 한 어머니의 노력이 그려진다. 요게벳은 모세를 석 달간 숨겨 키우다가 더 이상 숨길 수 없게 되자, 방수한 갈대 상자에 아기를 넣어 나일강에 띄워 보낸다. 이 아기는 파라오의 딸에게 발견되어 입양되고, 요게벳은 잠시 동안 자신의 아들의 유모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이야기는 훗날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출애굽하는 이야기의 시작점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모세의 탄생과 보호 섹션에서 다룬다.
민수기에 따르면, 요게벳은 레위가 이집트에 살고 있을 때 태어났다.[1] 그녀는 레위의 아들인 고핫의 아들 아므람과 결혼하여 미리암, 아론, 모세를 낳았다. 출애굽기 6장 20절의 마소라 본문에 따르면 요게벳은 아므람의 아버지의 누이, 즉 고모가 된다. 이러한 종류의 친족 간의 결혼은 후에 모세의 율법에 의해 금지되었다.[5] 그러나 70인역의 일부 그리스어와 라틴어 사본에서는 요게벳이 아므람의 아버지의 사촌이라고 하거나, 다른 사본에서는 아므람의 사촌이라고 기록하고 있어[6], 그녀와 아므람의 정확한 관계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견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아므람과의 관계 섹션에서 다룬다.
2. 1. 모세의 탄생과 보호
요게벳의 이야기는 출애굽기 2장 1절부터 10절까지에 묘사된 것으로 여겨진다. 비록 해당 부분에서 그녀의 이름이 직접 언급되지는 않지만(요게벳이라는 이름은 출애굽기 6장 20절에서 처음 등장한다), 이 이야기는 그녀의 행적을 다룬 것으로 이해된다. 당시 이집트에 살던 이스라엘의 후손들은 심한 억압을 받고 있었다. 파라오는 이스라엘 백성이 강성해지는 것을 두려워하여, 새로 태어나는 모든 남자 아기를 나일강에 던지라는 잔인한 명령을 내렸다.요게벳은 막내아들 모세가 태어나자, 파라오의 명령을 피해 석 달 동안 아기를 몰래 숨겨 키웠다. 하지만 더 이상 숨기는 것이 불가능해지자, 그녀는 아들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갈대 상자를 구해 역청과 나무진으로 방수 처리를 하고 그 안에 아기를 넣었다. 요게벳은 아기가 든 갈대 상자를 나일강 가의 갈대 사이에 두었다.
마침 파라오의 딸이 목욕을 하러 나일강으로 나왔다가 갈대 사이의 상자를 발견했다. 상자를 열어 아기를 본 파라오의 딸은 아기가 히브리 아이임을 알았지만, 측은한 마음이 들어 아기를 거두기로 결심했다. 이때 근처에서 상황을 지켜보던 아기의 누이(미리암으로 추정)가 다가와, 아기에게 젖을 먹일 히브리인 유모를 찾아주겠다고 제안했다. 파라오의 딸이 이를 허락하자, 누이는 자신의 어머니인 요게벳을 데려왔다.
이로써 요게벳은 파라오의 딸에게서 삯을 받으며 자기 아들인 모세에게 젖을 먹이고 돌볼 수 있게 되었다. 아기가 젖을 뗄 만큼 자라자, 요게벳은 그를 파라오의 딸에게 데려갔고, 파라오의 딸은 그를 정식으로 자신의 아들로 삼았다.[4] 이 이야기는 훗날 모세가 성장하여 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자신의 백성을 이끌어내는 위대한 지도자가 되는 출애굽 이야기의 시작을 알린다.
2. 2. 아므람과의 관계
민수기에 따르면, 요게벳은 레위가 이집트에 살고 있을 때 태어났다.[1] 아므람은 레위의 아들인 고핫의 아들이었다. 따라서 요게벳은 남편인 아므람의 고모가 된다. 이러한 종류의 친족 간의 결혼은 후에 모세의 율법에 의해 금지되었다.[5]출애굽기 6장 20절의 맛소라 본문에서도 요게벳은 아므람의 아버지의 누이, 즉 고모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고대 번역본들 사이에서는 이 관계에 대한 설명이 다르게 나타난다. 70인역의 일부 그리스어와 라틴어 사본에서는 요게벳이 아므람의 아버지의 사촌이라고 하거나, 다른 사본에서는 아므람의 사촌이라고 기록하고 있다.[6]
한편, 외경인 ''레위의 유언''에는 요게벳이 레위의 딸이며, 레위가 64세 때 태어났다고 기록되어 있다.
2. 3. 유대 랍비 문헌 속 요게벳
일부 랍비들은 탈무드에서 요게벳을 십브라와 동일 인물로 보기도 한다. 십브라는 출애굽기에서 파라오의 영아 살해 명령을 거부한 산파 중 한 명이다.[7] 랍비들은 이러한 해석을 통해,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이 산파들에게 '집'(houses)을 세워주셨다는[8] 구절을 제사장 가문과 왕족 가문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한다. 탈무드의 랍비들은 이 '집'들이 요게벳의 아들인 모세와 아론을 각각 상징한다고 해석했다.[9]미드라시의 하나인 출애굽 라바에 따르면, 파라오가 산파들에게 남자아이들을 나일강에 던지라고 명령했을 때, 아므람은 당시 모세를 임신한 지 3개월 된 요게벳과 이혼했다. 하지만 딸 미리암의 설득으로 다시 요게벳과 결혼하게 되었다고 한다.[10] 또한, 이집트인들이 아므람과 요게벳의 재혼 시점부터 9개월을 계산하여 모세의 출생일을 예상했기 때문에, 요게벳이 실제보다 이른 3개월 동안 모세를 숨길 수 있었다고 설명한다. 타르굼 중 하나인 타르굼 프세우도-요나단(Targum Pseudo-Jonathan)은 요게벳이 엘리차폰 벤 파르나크의 아내이자 엘닷과 메닷의 어머니였다고 기록하고 있다.[11] 이 문헌은 아므람과의 결혼이 언제 이루어졌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는다.
요게벳의 이름은 다양한 상징적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12][13] 레위기 라바는 역대기에 등장하는 '여후디야'(Jehudijah)라는 인물이 바로 요게벳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요게벳이 파라오의 맏아들 살해 명령에 불복함으로써 유대 민족을 세우는 데 기여했기 때문에, 그 이름이 '유대 여인'을 의미한다고 해석해야 한다는 것이다.[14][15]
일부 랍비 문헌은 레아의 자녀 수에 대한 기록의 불일치를 설명하려고 시도한다. 성경에는 레아가 메소포타미아에서 34명의 자녀를 낳았고 그중 둘이 죽어 총 33명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16] 이 문헌들은 이 숫자가 생존한 자녀만을 의미하며 요게벳이 바로 33번째 자녀였다고 주장한다.[17][18] 하지만 민수기는 요게벳이 이집트에서 태어났다고 기록하고 있어[1] 모순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요게벳이 이집트 국경, 즉 '도시의 관문'에서 태어났다는 추가적인 랍비의 주장이 등장했다. 현대 성서학자들은 레아의 자녀 수 불일치가 원래 목록에 없던 디나를 후대의 편집자가 디나의 강간 이야기를 일관성 있게 포함시키기 위해 추가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19]
전통적인 랍비들의 성서 연대기에 따르면, 모세는 출애굽 당시 80세였고, 이스라엘 백성은 총 210년 동안 이집트에 머물렀다. 여기에 요게벳이 이집트 국경에서 태어났다는 랍비들의 주장을 결합하면, 요게벳은 모세를 낳을 때 130세가 된다.[20] 랍비 문헌들은 이것이 이스라엘 제단 봉헌에 대한 성경 기록, 즉 130세겔 무게의 은이 바쳐졌다는 사실에 암시되어 있다고 본다.[21]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모세의 탄생이 특별한 사건이었으며, 요게벳과 아므람의 경건함 덕분에 요게벳이 출산의 고통을 겪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하가다는 요게벳이 모세를 임신했을 때 130세였다고 기록하며 이 기적적인 성격을 더욱 강조한다. 여러 랍비 주석가들은 이를 뒷받침하며, 요게벳이 아므람과 재혼했을 때 처녀성이 회복되었고, 이는 출산 능력의 회복까지 포함하는 것이라고 언급한다.[22]
3. 이슬람 속 요게벳
홍해를 가르는 사건, 불타는 떨기나무, 십계명과 함께 꾸란은 모세의 이야기를 몇 가지 세부 사항과 약간의 차이점을 추가하여 전하고 있다. 그의 어머니 요게벳(يوكابد|유카비드ara)과 아기 모세를 구하려는 그녀의 노력도 언급된다.[27]
이슬람 예언자 무함마드의 어머니 아미나의 임신 중 특이한 사건에 대한 이야기는[28] 요게벳이 모세를 잉태했을 때의 유사한 경험과 비교된다.[29] 이 비교의 중요성은 아랍 민속학이 히브리 전통에 대한 친밀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된다.[29]
4. 대중문화 속 요게벳
영화 십계(1956)에서는 요게벳을 "요셰벨"이라고 부르며, 배우 마사 스콧이 연기했다.
애니메이션 영화 이집트 왕자(1998)에서는 '요케베드'라는 이름으로 잠시 등장한다. 이스라엘의 유명 가수 오프라 하자가 목소리 연기를 맡았으며, 캐릭터의 외모 또한 오프라 하자와 비슷하게 그려졌다. 영화 속에서 요게벳은 아기 모세를 바구니에 담아 나일강에 띄우며 자장가를 부르는데, 강에게 아들을 "자유롭게 살 수 있는 곳"으로 데려가 달라고 간절히 기도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오프라 하자는 이 영화를 위해 자신의 모국어인 히브리어를 포함하여 총 18개 언어로 자장가를 녹음했다.
영화 엑소더스: 신들과 왕들(2014)에서는 영국 배우 안나 사바가 요게벳 역할을 맡았다. 영화에서는 모세가 이집트에서 추방된 후 자신의 친어머니인 요게벳을 만나는 장면에만 등장한다.
2020년 웨스트 엔드에서 각색된 뮤지컬 이집트 왕자에서는 스웨덴 출신의 배우이자 가수인 [https://de.wikipedia.org/w/index.php?title=Mercedesz_Csampai&stable=0&shownotice=1&fromsection=Weblinks 메르세데스 참파이]가 요케베드를 연기했다.
5. 가계도
마소라 본문과 70인역은 요게벳의 가계에 대해 서로 다른 설명을 제시한다. 마소라 본문은 요게벳을 레위의 딸이자 아므람의 고모로 보는 반면, 70인역의 여러 사본에서는 요게벳을 아므람의 아버지(고핫)의 사촌 또는 아므람의 사촌으로 기록하고 있다.
5. 1. 마소라 본문
민수기에 따르면, 요게벳은 레위가 이집트에 살 때 태어났다.[1] 아므람은 레위의 손자이자 고핫의 아들이다. 마소라 본문에 따르면 요게벳은 레위의 딸이므로, 남편인 아므람에게는 고모가 된다.[2] 이러한 유형의 근친 결혼은 후대에 모세의 율법에 의해 금지되었다.[3]출애굽기 6장 20절의 마소라 본문 역시 요게벳을 아므람 아버지(고핫)의 누이, 즉 아므람의 고모로 명시한다.[4] 마소라 본문에 따른 요게벳의 가계는 레위의 딸이자 고핫의 누이이며, 조카인 아므람과 결혼하여 미리암, 아론, 모세를 낳은 것으로 정리된다.
그러나 고대 번역본들은 이 관계를 다르게 설명한다. 칠십인역의 일부 그리스어 및 라틴어 사본에서는 요게벳이 아므람 아버지의 사촌, 즉 아므람의 당숙모였다고 기록하며, 다른 일부 사본에서는 요게벳이 아므람의 사촌이었다고 기술한다.[1] 또한, 레위 외경에는 레위가 64세에 딸 요게벳을 낳았다는 기록이 있다.[5]
5. 2. 칠십인역
칠십인역의 일부 그리스어 및 라틴어 사본에는 요게벳이 아므람의 아버지인 고핫의 사촌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다른 일부 사본에서는 요게벳이 아므람의 사촌이었다고 나온다. 이는 요게벳을 아므람의 고모(아버지의 누이)로 보는 마소라 본문과는 다른 기록이다.6. 텍스트 비평
텍스트 학자들은 요게벳의 계보가 계보의 책에서 비롯되었다고 본다. 이 문서는 특정한 종교 정치적 목적을 가진 집단이 작성한 가상의 문서로 추정되며, 제사장 자료와 비슷한 시기에 쓰였을 것으로 여겨진다.[23] 일부 성서 학자들은 토라에 나오는 레위의 후손 계보가 실제로는 레위인들 사이에 존재했던 네 개의 다른 집단, 즉 게르손 자손, 고핫 자손, 므라리 자손, 그리고 아론 자손의 구분을 설명하기 위한 원인 신화라고 해석한다.[24] 아론 자손의 시조인 아론은 게르손, 고핫, 므라리의 형제로 묘사되지 않는데, 이는 모세(아론의 형제)의 출생 이야기가 그의 부모 모두 레위인이라고만 언급하기 때문이다. 텍스트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더 이른 시기의 엘로히스트 자료에서 유래했다고 본다.[25] 일부 성서 학자들은 엘로히스트 자료가 모세의 종교적 권위를 높이기 위해 그의 모계 혈통과 부계 혈통 모두 레위 지파에서 비롯되었다고 강조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24]
또한, 일부 성서 학자들은 이카보드와 야곱이라는 이름이 궁극적으로 요게벳의 언어적 변형일 수 있으며, 본래 같은 인물을 가리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하기도 한다.[26]
참조
[1]
성경
[2]
성경
[3]
성경
[4]
성경
[5]
성경
[6]
서적
New English Translation of the Septuagint
https://ccat.sas.upe[...]
Oxford University Press
[7]
성경
[8]
성경
[9]
문서
Exodus Rabbah 48:5
[10]
문서
Exodus Rabbah 1:17
[11]
문서
Targum Pseudo-Jonathan, Numbers 11:26
[12]
문서
Babylonian Talmud Sotah 11b
[13]
문서
Midrash Exodus Rabbah i. 17
[14]
성경
[15]
문서
Leviticus Rabbah 1:3
[16]
성경
[17]
문서
Genesis Rabbah 94:8
[18]
문서
Exodus Rabbah 1:23
[19]
서적
Who wrote the Bible?
[20]
백과사전
Jewish Encyclopedia
[21]
문서
Numbers Rabbah 13:19
[22]
서적
The New Moses: A Matthean Typology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3]
서적
Who Wrote The Bible?
[24]
주석
Peake's commentary on the Bible
[25]
성경
[26]
백과사전
Encyclopedia Biblica
[27]
서적
Islam in a Nutshell
Enisen Publishing
[28]
서적
Islam in the Middle Ages: the origins and shaping of classical Islamic Civilization
ABC-CLIO
[29]
서적
Islam in the Middle Ages: the origins and shaping of classical Islamic Civilization
ABC-CLIO
[30]
성경
[31]
성경
[32]
성경
出エジプト記1:20~2:10
[33]
성경
[34]
성경
[35]
성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