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담은 웃시야의 아들이자 차독의 딸 예루사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가 나병에 걸린 후 섭정으로 정치를 시작하여 25세에 왕위에 오른 인물이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의 높은 문을 건축하고 유다 산지에 성읍과 망대, 성을 건설했다. 아람 왕 르신, 북이스라엘 왕 베가와 전쟁을 벌였으며, 암몬을 정복하고 조공을 받았다. 이사야, 호세아, 아모스, 미가 등 예언자들과 동시대 인물로, 그들의 조언을 통해 혜택을 받았다.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와 같이 경건하게 행동했으나, 유다 백성은 우상 숭배와 불의를 행했다. 또한, 요담의 통치 시기에는 아시리아의 위협이 있었으며, 아하스가 요담을 대신하여 통치하게 되었다는 연대기적 문제가 존재한다. 고고학적으로는 아하스에게 속한 불라 인장이 발견되었으며, 만약 진품이라면 요담에 대한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가 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다 국왕 - 다윗 왕조
다윗 왕조는 고대 이스라엘 왕국의 다윗 왕을 시조로 하는 왕조로서 성경과 고고학적 자료로 존재가 확인되며 유다 왕국 왕들을 배출하여 고대 이스라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특히 유대교에서는 메시아가 다윗 가문에서 나올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 유다 국왕 - 르호보암
르호보암은 솔로몬의 아들이자 유다 왕국의 초대 왕으로, 강압적인 정책으로 이스라엘 왕국을 분열시키고 이집트의 침공으로 국력이 쇠퇴했다. - 구약성경의 인물 - 시바의 여왕
시바의 여왕은 성경, 에티오피아,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언급되는 전설적인 인물로, 솔로몬 왕을 방문하여 그의 지혜를 시험하고, 에티오피아 왕조의 기원과 관련되며, 예술 작품과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하게 묘사된다. - 구약성경의 인물 - 호세아
기원전 8세기 후반 북이스라엘의 마지막 왕인 호세아는 앗시리아의 꼭두각시 왕으로 즉위했으나 이집트와 손잡고 독립을 추구하다가 사마리아 함락으로 북이스라엘 왕국이 멸망하며 통치를 마감했다.
| 요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이름 | 요담 |
| 로마자 표기 | Yotam |
| 통치 | |
| 칭호 | 유다 왕 |
| 재위 기간 | 기원전 740년경 – 732년경 |
| 이전 통치자 | 웃시야 |
| 다음 통치자 | 아하즈 |
| 왕조 | 다윗 왕조 |
| 가계 | |
| 아버지 | 웃시야 |
| 어머니 | 에루샤 또는 예루샤 |
| 자녀 | 아하즈 |
2. 생애
웃시야 왕과 차독의 딸 예루사의 아들로 태어난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가 나병에 걸린 후 섭정으로서 정치를 행했다. 25세에 아버지의 죽음과 함께 왕위에 올랐다.
요담은 암몬과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3년간 조공을 받았다.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처럼 경건하게 행동하려 노력했다. 그러나 예언자 이사야는 유다 백성이 우상 숭배를 행하고 정의를 행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요담은 죽은 후 다윗 성에 묻혔다.[5]
2. 1. 업적
요담은 강력하고 잘 조직되고 잘 관리되는 정부를 물려받았다. 그는 예루살렘 성전의 높은 문 또는 윗 문을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 그는 유다 산지에 성읍을 건축하고, 수풀 가운데에 견고한 망대와 성을 건축하였다.[5]열왕기하 15장은 요담이 아람 왕 르신과 북이스라엘 왕 베가와 전쟁을 했다고 언급하고 있다. 그는 또한 암몬을 정복하여 엄청난 조공을 받았다. 그러나 북이스라엘의 부패는 유다에까지 스며들기 시작했다.[5]
요담은 예언자 이사야, 호세아, 아모스, 미가와 동시대 인물이었으며, 그들의 조언을 통해 혜택을 받았다. 그는 스스로 여호와의 집의 윗 문을 건설했고, 그의 아버지(웃시야)가 성전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한 경솔함을 피했다. 그는 유다 산지에 성읍을 건축하고, 수풀 가운데에 견고한 망대와 성을 건축하였다. 그는 또한 암몬 족속을 물리치고, 막대한 조공을 받았다. 역대기 저자(27:6)는 그의 권세를 그가 "그의 하나님 여호와 앞에서 그의 길을 정돈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북 왕국의 부패가 심화되면서, 이사야와 미가의 말에서 보듯이 유다에도 스며들기 시작했다. 호세아는 유다에 대해 언급하면서, 요담의 통치 하에서 삶과 예배의 순수성이 부족했음을 나타낸다.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 왕이 걸어온 것처럼 항상 경건하게 행동했다. 그러나 예언자 이사야의 지적에 따르면 유다 백성은 우상 숭배를 행하고 정의를 행하지 않았다.
요담은 성전 위에 문을 세우고, 전쟁에 대비하여 많은 건축물을 남겼다.
암몬인과 싸워 승리하여 3년 동안 조공을 받았다. 조공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품목 | 수량 |
|---|---|
| 은 | 100 달란트 |
| 밀 | 10,000 코르 |
| 보리 | 10,000 코르 |
2. 2. 종교 정책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가 율법에 규정된 피부병에 걸린 후 섭정을 하다가 왕위에 올랐다. 그는 아버지처럼 경건하게 행동하려 노력했다. 매튜 풀이 예레미야 36:10에 언급된 새 문으로 확인한, 예루살렘 성전의 높은 문 또는 윗 문을 지은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4] 그는 스스로 여호와의 집의 윗 문을 건설했고, 아버지 웃시야가 성전에 들어가는 것을 허락한 경솔함을 피했다고 한다.그러나 예언자 이사야의 지적에 따르면, 유다 백성은 우상 숭배를 행하고 정의를 행하지 않았다. 호세아는 유다에 대해 언급하면서, 요담의 통치 하에서 삶과 예배의 순수성이 부족했음을 나타낸다. 요담은 예언자 이사야, 호세아, 아모스, 미가와 동시대 인물이었으며, 그들의 조언을 통해 혜택을 받았다.
3. 연대기 문제
미켈란젤로의 ''웃시야, 요담, 아하스'' (바티칸 시국 시스티나 성당의 루네트)에서 요담은 전통적으로 왼쪽에 녹색 옷을 입은 사람으로 여겨지며, 그와 함께 있는 아이는 그의 아들 아하스이다.
요담의 연대기는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 왕국의 역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유다와 이스라엘의 왕들의 연대 계산 달력은 6개월 차이가 있었는데, 유다는 티쉬리(가을)에 시작했고, 이스라엘은 니산(봄)에 시작했다. 따라서 두 왕국의 교차 동기화는 종종 왕의 시작 및/또는 종료 날짜를 6개월 범위 내로 좁힐 수 있게 해준다. 성경적 데이터에 따르면 요담의 공동 통치 시작은 기원전 750년 4월 1일 이후 6개월 이내이며, 유다의 계산법으로는 기원전 751년 티쉬리에 해당한다. 그의 단독 통치는 기원전 740년 티쉬리 1일에 시작되었고, 기원전 735년 니산 1일에 끝났다. 요담의 사망은 기원전 732년 티쉬리에 일어났다.
3. 1. 아시리아와의 관계
8세기 BC 두 이스라엘 왕국에 대한 성경적 연대기는 풍부하면서도 난해하다. 어떤 통치 기간이나 동시성은 단독 통치의 시작부터 주어지는 반면, 다른 것은 공동 통치의 시작 또는 베가의 경우 경쟁 통치의 시작부터 주어진다. 틸레는 이러한 기록을 이해하는 열쇠는 두 왕국이 직면한 아시리아의 증가하는 위협을 제대로 인식하는 데 있다고 주장했다.[6] 기원전 754년, 아슈르-니라리 5세는 북부 아람의 아르파드를 상대로 아시리아를 이끌었다. 그의 후계자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기원전 743년부터 740년까지 아르파드를 상대로 전쟁을 벌여 3년 만에 도시를 점령했다. 이러한 위협에 직면하여 다마스쿠스의 레신은 이스라엘의 베가와 동맹을 맺었고, 이 두 사람은 유다의 친 아시리아 왕 아하스의 적이었다. 한편, 사마리아에서 통치하던 므나헴은 티글라트-필레세르(성경의 풀)에게 조공을 보내 "그의 왕국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했으며(열왕기하 15:19), 이는 명백히 그의 반 아시리아 라이벌 베가에 대항하기 위한 것이었다. 틸레에 따르면, 당시의 연대기적 데이터가 기록된 방식은 이스라엘과 유다 모두에서 강력한 친 아시리아와 반 아시리아 파벌이 존재했기 때문이다.유다에서는 증가하는 아시리아의 압력으로 북쪽의 적과의 타협을 추구하는 세력의 손이 강해졌고, 그 결과 지도자의 변화가 일어났다.
따라서 틸레는 이러한 시기의 연대기적 데이터가 복잡한 이유를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설명했다. 그는 그 후 성경 본문에서 구성할 수 있는 유다와 이스라엘의 통치 연도가 이 시기의 아시리아 왕들의 알려진 이동과 일치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4. 고고학적 발견
1990년대 중반, 요담의 아들 아하스의 것으로 추정되는 불라 인장이 골동품 시장에 등장했다. 이 인장에는 "유다 왕 ''예호탐''(요담)의 (아들) 아하스 소유"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었다.[7] 인장의 출처가 불분명하여 진위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으나,[7] 불라 제작 및 보존 과정을 고려할 때, 인장 위조가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어렵다는 데에는 대체로 의견이 일치한다.[8][9] 만약 이 인장이 진품이라면, 현재까지 발견된 요담에 대한 유일한 고고학적 증거가 될 것이다.
5. 평가
요담은 아버지 웃시야 왕처럼 항상 경건하게 행동했다. 그러나 이사야의 지적에 따르면 유다 백성은 우상 숭배를 행하고 정의를 행하지 않았다.[1]
요담은 성전 위에 문을 세우고, 전쟁에 대비하여 많은 건축물을 남겼다.[1]
암몬인과 싸워 승리하여 3년 동안 100달란트의 은, 10000코르의 밀과 보리를 조공으로 바치게 했다.[1]
요담이 죽은 후 다윗 성에 묻혔다.[1]
참조
[1]
웹사이트
2 Kings 15:32
http://mlbible.com/2[...]
Online Parallel Bible Project
2013-12-13
[2]
기타
bibleverse
[3]
웹사이트
נסיכות בני דוד חרלפ - נסיכות בני דוד חרלפ
http://www.charlap.0[...]
2013-12-13
[4]
논평
Matthew Poole's Commentary
https://biblehub.com[...]
1683
[5]
백과사전
jotham
Jewish Encyclopedia
[6]
기타
[7]
웹사이트
Jerusalem Forgery Conference (Special report,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https://web.archive.[...]
2012-09-06
[8]
웹사이트
Hershel Shanks, Jerusalem Forgery Conference Report, p. 27
https://web.archive.[...]
2012-09-06
[9]
서적
Orte und Landschaften der Bibel. Die Geschichte Jerusalems und die ... - Page 384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요담, 1553년 [[기욤 루이]]의 [[Promptuarii Iconum Insigniorum]] 삽화](https://cdn.onul.works/wiki/no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