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툰헤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툰헤임은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거인(요툰)들의 고향으로, '요툰의 집' 또는 '요툰의 땅'을 의미한다. 시 에다와 산문 에다에 언급되며, 신들과 요툰 사이의 갈등을 보여주는 중요한 배경으로 기능한다. 요툰헤임은 아스가르드, 미드가르드 등 다른 영역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북쪽, 동쪽 등 다양한 방향에서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요툰헤임 | |
---|---|
개요 | |
위치 | 노르드 신화의 요툰들이 사는 땅 |
다른 이름 | 요툰헤이마르 (Jötunheimar), 요툰헤임 (Jǫtunheimr) |
어원 | 요툰 (Jötunn)의 세계 또는 집 |
특징 | |
거주민 | 요툰과 기그 |
위치 | 미드가르드의 동쪽에 위치, 바다 또는 큰 숲으로 분리됨 |
지리적 특징 | 험준한 바위, 깊은 숲, 차가운 강 |
중심지 | 우트가르드 |
관련 장소 | 에리바가르 (에길의 거처) 가스트로프니르 (멩글로드의 거처) 스림헤임 (티아치의 거처) 트림헤임 (스키디의 거처) |
신화적 중요성 | |
인간과의 관계 | 요툰들은 인간에게 위협적인 존재로 묘사되지만, 동시에 지혜와 힘을 가진 존재로도 나타남 |
신과의 관계 | 에시르 신족과의 지속적인 갈등 관계 |
주요 사건 | 토르의 요툰헤임 방문, 로키의 요툰과의 교류 등 |
언어별 명칭 | |
고대 노르드어 | Jǫtunheimr |
현대 아이슬란드어 | Jötunheimar |
한국어 | 요툰헤임 |
기타 | |
관련 개념 | 우트가르드 (요툰헤임의 요새) |
현대적 영향 | 요툰헤이멘 산맥 (노르웨이의 산맥, 요툰헤임에서 유래) |
2. 어원
Jǫtunheimrnon은 요툰non과 '집' 또는 '세계'를 의미하는 heimrnon가 결합된 단어이다.[1] 에다 자료에서 증명될 때,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복수 형태인 Jǫtunheimarnon('요툰non의 땅')로 발견된다.[2]
시 에다와 산문 에다에서 요툰헤임은 여러 번 언급된다.
3. 문헌상의 등장
볼루스파에서는 요툰헤임에서 온 세 명의 여성의 등장이 신들에게 있어 황금 시대의 종말을 알린다.[1]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묘사하는 부분에서는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고대 노르드어 텍스트[2] 벨로스 번역[3]
스키르니르의 말에서 프레이르는 흐리드숼프에 앉아 요툰헤임에서 김미르의 딸 게르드를 보고 사랑에 빠진다. 프레이르는 하인 스키르니르를 요툰헤임의 김미스가르다르에 있는 게르드의 집으로 보냈고, 스키르니르는 게르드가 아홉 밤 후에 바리에서 프레이르를 만날 것이라고 전한다.[4]
트림의 노래에서 로키는 프레이야의 깃털 옷을 사용하여 요툰헤임의 트림에게 날아가 토르의 묠니르를 찾는다. 트림은 프레이야를 결혼 상대로 주는 대가로만 망치를 돌려주겠다고 하고, 토르는 웨딩 베일을 쓰고 로키를 시녀로 위장하여 요툰헤임으로 간다. 트림의 영지는 부유하게 묘사되며, 그는 황금 고삐로 개를 데리고 있고, 마구간에는 황금 뿔을 가진 가축이 있으며, 많은 보석을 가지고 있다.[5]
길피의 속임수에서 요툰헤임은 게피온이 요툰과의 사이에서 낳은 네 마리의 황소를 데리고 북쪽의 요툰헤임에서 나와 땅을 갈아 셸란을 만들 때, 밤( Nátt|나트non)의 아버지 나르피와 펜리르의 어머니 앙그르보다처럼 요툰과 여성 요툰이 사는 곳, 스바딜파리라는 말을 이용하여 신들을 요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요새를 건설하는 장인이 나오는 등 여러 번 언급된다.
Skáldskaparmál에 따르면, 로키는 요툰족 티아지를 도와 이둔을 납치하도록 강요받았다. 로키는 프레이야의 매의 깃털을 사용하여 매가 되어 티아지의 집으로 날아가 이둔을 견과류로 바꾸어 발톱으로 움켜쥐고 날아갔다. 티아지는 독수리처럼 그들을 뒤쫓았지만, 신들이 만든 불길 속으로 날아가 아스가르드에서 죽었다.[1]
Skáldskaparmál에서 오딘은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요툰헤임으로 가서 흐룽그니르를 만났고, 화가 난 흐룽그니르는 굴팍시를 타고 아스가르드로 오딘을 뒤쫓아갔다. 신들은 그를 초대하여 함께 술을 마셨고, 술에 취한 그는 발할라를 요툰헤임으로 옮기고 시프와 프레이야를 납치하겠다고 자랑했다. 신들은 토르를 불렀고, 흐룽그니르는 토르가 그를 죽여도 명예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요툰헤임의 그료투나가르다르에서 결투를 신청했다. 토르는 묠니르로 그를 죽였는데, 묠니르는 흐룽그니르에게 가는 길에 숫돌을 쳐서 부서뜨렸다. 그 조각 중 하나가 토르의 머리에 박혔고, 뵐바 그로아가 그것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galdr|갈드르non를 시작했지만, 흥분한 그녀는 갈드르를 잊었고 파편은 토르의 머리에 박혀 있었다.[2]
3. 1. 시 에다
Jötunheimarnon는 시 에다의 세 편의 시에 언급된다. 볼루스파의 시작 부분에서, Jötunheimarnon에서 온 세 명의 여성의 등장은 신들에게 있어 황금 시대의 종말을 알린다.[1] 시의 마지막 부분, 즉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묘사하는 부분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
고대 노르드어 텍스트[2] | 벨로스 번역[3] |
---|---|
스키르니르의 말의 산문 서문에서, 흐리드숼프에 앉아 있던 프레이르는 Jötunheimarnon에서 김미르의 딸인 게르드를 보고 그녀와 사랑에 빠진다. 그 후 프레이르는 하인인 스키르니르에게 말을 주고, 젖은 산, 깜빡이는 불꽃, 어둠을 지나 Jötunheimarnon의 김미스가르다르에 있는 그녀의 집으로 보낸다. 여정을 마친 스키르니르는 게르드와 그녀의 가족이 울타리와 개로 보호받으며 밝은 햇살 아래 홀에서 동물들을 돌보는 것을 만난다. 돌아온 프레이르는 Jötunheimarnon에서 온 소식을 묻는 구절에서 그의 하인에게 그녀가 아홉 밤 후에 바리에서 그를 만날 것이라고 대답한다.[4]
트림의 노래에서, 로키는 프레이야의 깃털 옷을 사용하여 jötunheimarnon의 트림의 집으로 날아가 토르의 묠니르를 찾는다. jötunnnon은 신에게 프레이야를 결혼 상대로 주는 대가로만 망치를 돌려줄 것이라고 말한다. 그녀가 jötunheimarnon로 가는 것을 거부하자, 토르는 그녀를 대신하여 웨딩 베일을 쓰고 로키를 시녀로 위장하여 간다. 이 이야기에서 트림의 영지는 부유하게 묘사되며, 그는 황금 고삐로 개를 데리고 있고, 마구간에는 황금 뿔을 가진 가축이 있으며, 많은 보석을 가지고 있지만, 프레이야가 그가 부족한 유일한 것이라고 말한다.[5]
3. 2. 산문 에다
길피의 속임수에서는 요툰헤임이 여러 번 언급된다. 예를 들어, 게피온이 요툰과의 사이에서 낳은 네 마리의 황소를 데리고 북쪽의 요툰헤임에서 나와 그들을 사용하여 스웨덴에서 땅을 갈아 셸란을 만들 때 언급된다. 또한 밤( Nátt|나트non)의 아버지인 나르피와 펜리르의 어머니인 앙그르보다처럼, 요툰과 여성 요툰이 요툰헤임에 살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스바딜파리라는 말을 이용하여 신들을 요툰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요새를 건설하는 장인처럼, 존재들은 요툰헤임에서 나와 다른 존재들과 교류하기도 한다.Skáldskaparmál에 따르면, 로키는 언젠가 요툰족 티아지를 도와 자신의 고향인 요툰헤임에 있는 트림헤임으로 북쪽으로 이동한 이둔을 납치하도록 강요받았다. 로키는 프레이야의 매의 깃털을 사용하여 매가 되어 요툰족이 바다로 노를 저어 간 사이 티아지의 집으로 날아갔다. 이둔에 도착한 로키는 그녀를 견과류로 바꾸어 발톱으로 움켜쥐고 날아갔다. 티아지는 나중에 이둔이 사라진 것을 알고 독수리처럼 그들을 뒤쫓았지만, 신들이 만든 불길 속으로 날아가 아스가르드에 도착했을 때 죽었다.[1]
나중에 Skáldskaparmál에서 오딘은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요툰헤임으로 가서 돌로 만들어진 요툰족 흐룽그니르를 만나 그곳에 그의 말만큼 좋은 말이 없다고 내기를 걸었다. 화가 난 흐룽그니르는 굴팍시를 타고 아스가르드로 오딘을 뒤쫓았고, 신들은 그를 초대하여 함께 술을 마셨다. 술에 취해 그는 발할라를 요툰헤임으로 옮기고 시프와 프레이야를 모두 납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일을 할 것이라고 자랑했다. 신들은 그의 자랑에 싫증이 나서 토르를 불렀다. 흐룽그니르는 무장하지 않았으므로 토르가 그를 죽여도 명예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요툰헤임의 그의 집 그료투나가르다르에서 결투를 신청했다. 토르는 나중에 그를 만나 묠니르로 그를 죽였는데, 묠니르는 흐룽그니르에게 가는 길에 요툰족이 싸우던 숫돌을 쳐서 부서뜨렸다. 그 조각 중 하나가 토르의 머리에 날아가 박혔다. 그것을 제거하기 위해 그는 뵐바 그로아에게 갔고, 그녀는 그것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galdr|갈드르non를 시작했다. 그녀가 노래하는 동안 토르는 그녀에게 그가 요툰헤임에서 남쪽으로 여행할 때 그녀의 남편 아우르반딜을 데려갔으며 곧 그녀와 함께할 것이라고 말했다. 흥분한 그녀는 갈드르를 잊었고 파편은 토르의 머리에 박혀 있었다.[2]
4. 우주론적 위치
요툰헤임non은 헬과 같은 다른 땅들과 함께 에다 문헌에서 "저승"을 구성하며, 이는 종종 서사의 기초를 형성하는 대결로 이어지는 여정의 시작 또는 종착지이다.[1] 노르드 우주론에서 요툰헤임non이 위치한 단일 장소는 없지만, 대신 여러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며, 종종 수역, 고원, 불 또는 숲과 같이 건너기 어려운 장벽으로 인간과 신의 땅과 분리되어 있다.[2]
요툰non은 일반적으로 북쪽과 동쪽에서 발견되며, 요툰헤임non이 북쪽에 위치하고 있음을 명시적으로 언급한다. 스노리 스투를루손은 귈파기닝에서 이미르를 죽인 후 신들이 세상을 둘러싼 해안을 요툰non에게 정착하도록 주었다고 기록하여, 미드가르드가 중앙에 위치하고 요툰non이 주변에 거주한다는 세계관을 제시한다. 이는 당시 아이슬란드인들이 황야를 바라보는 방식과 대조될 가능성이 있다.[3] 귈파기닝의 후반부에서 토르는 로키, 햘피와 뢰스크바와 함께 동쪽의 깊은 바다 너머에 위치한 요툰헤임non으로 여행한다. 그들은 그 후 거대한 숲을 지나 결국 우트가르다-로키의 궁전에 도달한다.[4] 때때로 요툰non은 뢰쇠 섬에 있는 에기르와 같은 특정 지리적 위치에 배치된다.[5]
요툰헤임non은 인간이 거주하는 세계의 지역과 지리적으로 상대적인 물리적 땅으로 여겨지기보다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통과할 수 없는 여러 통로를 통해 다른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단일 위치가 여러 개의 뚜렷한 방향에서 시작점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연주의적 관점에서는 모순적으로 보일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 이 모델에서 요툰헤임non은 이러한 반대 방향에 위치하지 않고, 단지 거기에 도달하는 통로만 존재한다.[6] 또한 에다 문헌에서 요툰non은 어느 정도 모든 방향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충분히 멀리 여행하면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것으로부터 요툰non이 단일 위치로 제한될 수 없는 "다른" 존재로서의 고유한 특성일 수 있다는 제안이 있었지만, 요툰non이 거주하는 모든 땅이 명시적으로 요툰헤임non으로 묘사되지는 않는다.[7]
5. 주요 등장인물 및 관련 사건
요툰헤임과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로는 볼루스파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스키르니르의 말에 나오는 게르드와 스키르니르, 트림의 노래의 트림, 길피의 속임수에 나오는 게피온, 나르피, 앙르보다, 스칼드스카파르말에 나오는 요툰족 Þjazi, 요툰족 흐룽그니르 등이 있다.[1] 이들은 요툰헤임에서 벌어지는 여러 사건에 연루된다.[1]
5. 1. 관련 사건

- '''볼루스파''': 신들의 황금 시대 종말과 라그나로크의 시작을 알리는 세 명의 Jötunheimar|요툰헤임non 여성 등장.
- '''스키르니르의 말''': 프레이르가 게르드와 사랑에 빠져 하인 스키르니르를 Jötunheimar|요툰헤임non의 김미스가르다르로 보냄.
- '''트림의 노래''': jötunheimar|요툰헤임non의 트림이 토르의 묠니르를 훔쳐 프레이야와의 결혼을 요구. 토르는 프레이야로 변장하여 묠니르를 되찾음.
- '''길피의 속임수''': 게피온이 요툰non과의 사이에서 낳은 황소로 셸란을 만듦. 나르피, 앙르보다 등 요툰non과 기그야르non가 Jötunheimar|요툰헤임non에 거주.
- '''스칼드스카파르말''': 로키가 요툰족 Þjazi를 도와 이둔을 납치. 오딘이 슬레이프니르를 타고 Jötunheimar|요툰헤임non으로 가서 요툰족 흐룽그니르와 결투.
참조
[1]
서적
巫女の予言 エッダ詩校訂本
学校法人東海大学出版会|東海大学出版会
1993
[2]
서적
北欧神話・宇宙論の基礎構造
[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新潮社
1973
[4]
서적
北欧の神話 神々と巨人のたたかい
筑摩書房
1982
[5]
서적
北欧神話・宇宙論の基礎構造
[6]
서적
北欧神話物語
[7]
서적
北欧神話・宇宙論の基礎構造
[8]
서적
北欧神話・宇宙論の基礎構造
[9]
웹사이트
Jotunhem
http://runeberg.or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