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 다이젠호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한 다이젠호퍼는 독일의 생화학자이다. 1974년 뮌헨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그는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연구원 및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 교수를 역임했다. 미헬, 후버와 함께 광합성 세균의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규명하여 광합성 연구에 기여했으며, 1986년 막스 델브뤼크 상을 수상했다. 또한, 1988년에는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과학자와 기술자를 위한 단체의 자문 위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생화학자 - 아돌프 부테난트
아돌프 부테난트는 여성 성호르몬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으며, 나치 정권과의 연루 논란을 겪었고 막스 플랑크 연구소 소장과 막스 플랑크 협회 회장을 역임했다. - 독일의 생화학자 - 로베르트 후버
로베르트 후버는 막 단백질 구조 규명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 화학자로, 단백질 결정학 방법론 개발에 기여하며 여러 대학과 연구소에서 활동했고 다양한 수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 뮌헨 공과대학교 동문 - 알베르트 슈페어
알베르트 슈페어는 아돌프 히틀러의 총애를 받은 나치 독일의 건축가이자 군수장관으로, 제3제국의 주요 건축 프로젝트들을 담당하며 전쟁 물자 생산 극대화에 기여했으나,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으며, 석방 후 회고록을 통해 나치 시대를 회고했으나 책임에 대한 논란과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 뮌헨 공과대학교 동문 - 게르하르트 에르틀
게르하르트 에르틀은 고체 표면에서의 화학 반응 연구에 기여한 독일의 물리화학자로, 2007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하였고, 하버-보슈 공정 등 분자 메커니즘 규명과 표면화학 연구 방법론 정립에 기여했으며, 자서전을 출판하기도 했다. - 대연방공로십자성장 수훈자 - 라인하르트 겐첼
라인하르트 겐첼은 우리 은하 중심부 초대질량 블랙홀 궁수자리 A* 연구로 202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독일 천체물리학자이자, 궁수자리 A* 주변 별들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초대질량 블랙홀의 존재를 입증한 적외선 및 서브밀리미터 천문학 분야의 선구자이다. - 대연방공로십자성장 수훈자 - 움베르토 에코
움베르토 에코는 이탈리아의 소설가이자 철학자, 기호학자, 중세학자로, 기호학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장미의 이름》 등의 소설과 저서를 통해 문학 이론과 대중문화에 대한 독창적인 시각을 제시하고 동서양 지식 교류에 기여했다.
요한 다이젠호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요한 다이젠호퍼 |
원어 이름 | Johann Deisenhofer |
출생일 | 1943년 9월 30일 |
출생지 | 나치 독일 바이에른주 추자말트하임 |
국적 | 독일, 미국 |
로마자 표기 | Johann Deisenhofer |
연구 분야 | |
분야 | 생물리학, 생화학 |
소속 기관 |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의료센터 |
출신 대학 | 뮌헨 공과대학교,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 |
지도 교수 | 로베르트 후버 |
업적 | |
주요 업적 | 결정학, 광합성 |
수상 | |
수상 | 막스 델브뤼크상 (1986년), 미국 업적 아카데미 골든 플레이트 상 (1989년), 노벨 화학상 (1988년) |
기타 | |
웹사이트 | 연구실 홈페이지 |
2. 생애 및 교육
요한 다이젠호퍼는 바이에른에서 태어나 1974년 뮌헨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박사 학위 연구는 당시 서독 마르틴스리트에 위치한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에서 수행되었다. 1988년까지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이후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의 연구원이자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과대학 생화학과 교수로 합류했다.
다이젠호퍼는 1974년, 막스 플랑크 생화학 연구소에서 수행한 연구를 통해 뮌헨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88년까지 그곳에서 연구를 계속했고,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 및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의학 센터의 연구원이 되었다.
3. 경력
미헬, 후버와 함께 다이젠호퍼는 3가지 광합성 세균이 가지고 있는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규명했다. 이 막 단백질 복합체는 광계 II로 불리며, 광합성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82년부터 1985년까지 3명은 X선 결정 구조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구성하는 1만 개 이상의 원자의 배열을 결정했다. 그들의 연구는 광합성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켰고, 식물과 세균의 광합성 과정의 유사성을 밝혀냈다. 1986년 생물물리학상 수상.
다이젠호퍼는 현재 미국의 과학자와 기술자를 위한 단체의 자문 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3. 1. 광합성 반응 중심 연구
미셸과 후버와 함께 다이젠호퍼는 특정 광합성 세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밝혔다.[6] 광합성 반응 중심이라고 불리는 이 막 단백질 복합체는 단순한 형태의 광합성을 시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6] 1982년부터 1985년까지 세 과학자는 X선 결정학을 사용하여 단백질 복합체를 구성하는 1만 개가 넘는 원자들의 정확한 배열을 결정했다.[6] 그들의 연구는 광합성 메커니즘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높였고 식물과 세균의 광합성 과정 사이의 유사성을 밝혀냈다.[6] 1986년에는 이 공로로 생물물리학상을 수상했다.
3. 2. 기타 활동
다이젠호퍼는 미국 과학자 및 엔지니어(Scientists and Engineers for America) 자문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며, 미국 정부의 과학 정책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7] 2003년에는 휴머니스트 선언에 서명한 22명의 노벨상 수상자 중 한 명이었다.[7] 그는 현재 텍사스 사우스웨스턴 의료센터(University of Texas Southwestern Medical Center)의 생물물리학(Biophysics) 학과 교수이다.[8]
4. 수상 경력
요한 다이젠호퍼는 1986년에 막스 델브뤼크상을 수상했다. 1988년에는 로베르트 후버, 하르트무트 미헬과 함께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세 과학자는 광합성 세균이 가지고 있는 단백질 복합체의 3차원 구조를 규명했으며, 이는 광합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웹사이트
Golden Plate Awardee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https://achievement.[...]
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
[2]
서적
Nobel Lectures, Chemistry 1981–1990
https://www.nobelpri[...]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2014-06-24
[3]
저널
Johann Deisenhofer—Nobel Laureate in Chemistry
[4]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nobelpri[...]
[5]
저널
Crystallographic structure studies of an IgG molecule and an Fc fragment
[6]
저널
Structure of the protein subunits in the photosynthetic reaction centre of Rhodopseudomonas viridis at 3Å resolution
[7]
웹사이트
Notable Signers
https://web.archive.[...]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12-10-01
[8]
웹사이트
Johann Deisenhofer, Ph.D. – Faculty Profile – UT Southwestern
http://profiles.utso[...]
2014-06-24
[9]
서적
Nobel Lectures, Chemistry 1981-1990
https://www.nobelpri[...]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2014-06-24
[10]
저널
Johann Deisenhofer—Nobel Laureate in Chemistry
[11]
웹사이트
Biography
http://nobelprize.or[...]
[12]
저널
Crystallographic structure studies of an IgG molecule and an Fc frag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