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네스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네스뵈는 노르웨이의 소설가이자 음악가이다. 1960년 오슬로에서 태어나 경제학 및 경영학을 전공했으며,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와 주식 중개인으로 일하다 작가로 데뷔했다. 대표작으로는 형사 해리 홀레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 시리즈가 있으며, 이 외에도 닥터 프로크토 시리즈, 올라브 요한센 시리즈, 킹덤 시리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의 작품은 여러 차례 영화 및 TV 드라마로 각색되었으며, 여러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또한 록 밴드 디 데레의 리드 보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소설가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에른손은 노르웨이의 소설가, 극작가, 시인으로 190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통해 농민의 삶, 노르웨이의 역사와 사회 문제를 다루었고, 정치 및 사회 운동에도 참여했다. - 노르웨이의 소설가 - 루드비 홀베르
루드비 홀베르는 덴마크-노르웨이 연합 왕국 출신의 계몽주의 작가이자 사상가로, 희극, 시, 소설, 수필, 역사 서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북유럽의 몰리에르"라는 별칭을 얻었고, 이성 중심의 계몽주의적 가치를 추구하며 교육과 사회 개혁에 관심을 가졌다. - 오슬로 출신 - 트뤼그베 리
트뤼그베 리는 노르웨이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1946년부터 1952년까지 초대 유엔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유엔 본부 설립, 이스라엘 건국 지지, 유엔정전감시단 창설 등 활동을 펼쳤으나 냉전 시대 소련과의 대립 속에 사임하여 그의 업적과 한계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오슬로 출신 - 랑나르 프리슈
랑나르 프리슈는 경제학에 수학적 방법론을 도입한 노르웨이 경제학자로, 경제학의 양자화를 주장하고 수리통계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1969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하고 나치 점령기 저항 운동에 참여하는 등 계량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1960년 출생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1960년 출생 - 정태인
정태인은 서울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위를 취득하고 참여정부에서 경제 정책에 영향을 미쳤으나 행담도 개발 사업 논란으로 물러난 후, 한미 FTA를 비판하고 진보신당 창당에 참여한 경제학자이자 대학교수, 정치인이다.
요 네스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욘 네스뵈 |
출생일 | 1960년 3월 29일 |
출생지 | 오슬로, 노르웨이 |
직업 | 작가 음악가 |
장르 | 범죄 소설 공포 소설 미스터리 소설 어린이 문학 |
자녀 | 1명 |
언어 | 노르웨이어 영어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대표 작품 | |
주요 작품 | 해리 홀레 시리즈 |
주요 작품 | 닥터 프로ক্ট 방귀 가루 |
참고 | |
IPA | /ˈjuː ˈnɛ̀sbøː/ |
2. 초기 생애
요 네스뵈는 1960년 3월 29일 오슬로에서 태어났으며 몰데에서 성장했다.[6][7] 노르웨이 경제대학교에서 경제학 및 경영학 학위를 취득했다.[8] 작가로 활동하기 전에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와 주식 중개인으로 일했다.[9]
요 네스뵈는 소설가이자 음악가이다. 1992년 결성된 노르웨이 록 밴드 디 데레의 리드 보컬이자 주요 작사가로 활동하고 있다.[32]
3. 경력
1997년 소설 《박쥐》(''Flaggermusmannen'')로 데뷔한 후, 《바퀴벌레》(''Kakerlakkene'', 1998), 《레드브레스트》(''Rødstrupe'', 2000) 등을 발표했다. 2007년에는 한국에 최초로 번역 소개된 소설 《스노우맨》(''Snømannen'')을 출간했다. 이후 《레오파드》(''Panserhjerte'', 2009), 《팬텀》(''Gjenferd'', 2011), 《경찰》(''Politi'', 2013), 《갈증》(''Tørst'', 2017) 등을 발표하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단편 소설로는 《회전목마 음악》(2001), 《하얀 호텔》(2007) 등이 있으며, 2008년 소설 《헤드헌터스》(''Hodejegerne'')는 2011년 동명의 영화 헤드헌터스로 각색되었다. 2015년에는 《블러드 온 스노우》(''Blod på snø'')와 《미드나잇 선》(''Mere blod'')을 발표했다. 2014년에는 호가스 셰익스피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2018년 4월 《맥베스》를 출간했다.[27][28][29][30]
그의 작품은 영화나 드라마로도 각색되었다. 2011년 소설 ''Twelve''는 마그누스 마르텐스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Jackpot'' (Arme Riddereno)로 만들어졌다.[26] 2016년에는 소설 ''Sønnen'' (''The Son'')이 데니 빌뇌브 감독, 제이크 질렌할 제작, 채닝 테이텀 주연으로 영화화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31] 2017년에는 발타자르 코르마쿠르 감독이 네스뵈의 단편 소설 ''I Am Victor''를 각색한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31]
3. 1. 작가 경력
요 네스뵈는 1997년 소설 《박쥐》(''Flaggermusmannen'')로 데뷔한 후, 《바퀴벌레》(''Kakerlakkene'', 1998), 《레드브레스트》(''Rødstrupe'', 2000) 등을 발표했다. 2007년에는 한국에 최초로 번역 소개된 소설 《스노우맨》(''Snømannen'')을 출간했다.
이후 《레오파드》(''Panserhjerte'', 2009), 《팬텀》(''Gjenferd'', 2011), 《경찰》(''Politi'', 2013), 《갈증》(''Tørst'', 2017) 등을 발표하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단편 소설로는 《회전목마 음악》(2001), 《하얀 호텔》(2007) 등이 있으며, 2008년 소설 《헤드헌터스》(''Hodejegerne'')는 2011년 동명의 영화 헤드헌터스로 각색되었다.
2011년 단편 소설 ''Twelve''는 마그누스 마르텐스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 ''Jackpot'' (Arme Riddereno)로 만들어졌다.[26] 2014년에는 호가스 셰익스피어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2018년 4월 《맥베스》를 출간했다.[27][28][29][30]
2015년에는 《블러드 온 스노우》(''Blod på snø'')와 《미드나잇 선》(''Mere blod'')을 발표했다. 2016년에는 소설 ''Sønnen'' (''The Son'')이 데니 빌뇌브 감독, 제이크 질렌할 제작, 채닝 테이텀 주연으로 영화화될 예정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31] 2017년에는 발타자르 코르마쿠르 감독이 네스뵈의 단편 소설 ''I Am Victor''를 각색한다는 소식이 발표되었다.[31]
3. 1. 1. 해리 홀레 시리즈
이 시리즈는 강력반에서 근무하고 이후 국립범죄수사국에서 활동하는 터프한 형사 해리 홀을 따라간다. 홀의 수사는 노르웨이에서 여러 다른 국가로 이어진다. 홀은 겉으로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사건들을 맡는데, 때로는 연쇄 살인범, 은행 강도, 갱스터, 또는 기득권과 관련된 사건들로 밝혀지기도 한다. 그는 알코올 중독과 개인적인 악마들과 싸우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낸다.[10][11]
해리 홀 소설은 다층적이고 폭력적이며, 종종 ''스노우맨''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처럼 위험에 처한 여성을 등장시킨다.[12] 네스뵈는 ''갈증''에서 해리 홀의 귀환에 대해 "나는 항상 해리에게 돌아오고 있었다. 그는 나의 소울 메이트다. 하지만 어두운 영혼이기에 언제나처럼 흥분과 오싹함, 감정적으로 소진되는 경험을 준다. 하지만 해리와 그 이야기는 잠 못 이루는 밤을 보낼 가치가 있다."라고 말했다.[13]
토마스 알프레드슨이 감독하고 (마틴 스코세지가 총괄 프로듀서로 교체), 마이클 패스벤더, 레베카 퍼거슨, 샬롯 갱스부르가 출연하는 ''스노우맨''의 영화 각색은 2017년 10월에 초연되었다.[14][15]
텔레비전 각색작인 ''요 네스뵈의 형사 홀''은 2024년 오슬로에서 촬영을 시작했다.[16]
연도 | 제목 | 원제 | 비고 |
---|---|---|---|
1997 | 박쥐 | Flaggermusmannen | 영어 제목 The Bat |
1998 | 바퀴벌레 | Kakerlakkene | 영어 제목 The Cockroach |
2000 | 레드브레스트 | Rødstrupe | 영어 제목 The Redbreast |
2002 | 네메시스 | Sorgenfri | 영어 제목 Nemesis |
2003 | 데빌스 스타 | Marekors | 영어 제목 'The Devils Star'' |
2005 | 리디머 | Frelseren | |
2007 | 스노우맨 | Snømannen | 한국에 최초로 번역 소개된 작품 |
2009 | 레오파드 | Panserhjerte | |
2011 | 팬텀 | Gjenferd | |
2013 | 경찰 | Politi | |
2017 | 갈증 | Tørst | |
2019 | 칼 | Kniv | |
2022 | 킬링 문 | Blodmåne |
3. 1. 2. 닥터 프로크토 시리즈
Doktor Proktornr 시리즈는 오슬로를 배경으로, 획기적인 발명을 기다리는 괴짜 교수 닥터 프로크토와 그의 옆집 이웃 리사, 그리고 키가 작고 빨간 머리의 기이한 친구 닐리의 이야기를 다룬다.[17] 무자비한 쌍둥이 트룰스와 트림 트란은 때때로 배경에 숨어있다.[17] 닥터 프로크토의 첫 번째 주요 발명품은 사용자가 방귀를 뀌게 하는 가루(방귀 냄새가 나지 않음)와 사용자가 강력한 방귀를 뀌어 우주로 날아갈 수 있게 해주는 "방귀우주비행사 가루"이다.[17] 2권에서는 사용자가 시간을 여행할 수 있는 욕조를 발명한다.[17]2014년, 첫 번째 책을 실사 영화로 각색했으며, 노르웨이어로만 이용 가능하다.[17] 속편인 ''닥터 프로크토의 시간 목욕''은 2015년에 독일과 함께 제작되었다.[17] 두 영화 모두 평가는 엇갈렸다.[17]
# | 한국어판 제목 또는 영어 제목 | 원제 | 출간 연도 | 출간 연도 | 비고 |
---|---|---|---|---|---|
1 | 프로크토 박사의 방귀 가루 | Doktor Proktors Prompepulvernr | 2007년 | 2021년 | 번역: 고베 마치(神戸万知), 하야카와 쇼보 |
2 | 'Doctor Proctors Fart Powder: Bubble in the Bathtub'' | Doktor Proktors Prompepulver: bubble i badekaretnr | 2008년 | ||
3 | 'Doctor Proctors Fart Powder: Who Cut the Cheese? 또는, Doctor Proctor Fart Powder: The End of the World. Maybe | Doktor Proktor og verdens undergangnr | 2010년 | ||
4 | 'Doctor Proctors Fart Powder: The Great Gold Robbery'' | Doktor Proktor og det store Gullrøverietnr | 2012년 | ||
5 | 'Doctor Proctors Fart Powder: Can Doctor Proctor Save Christmas? 또는 Doctor Proctor Fart Powder: The Silent (But Deadly) Night | Kan Doktor Proktor redde jula?nr | 2017년 |
3. 1. 3. 올라브 요한센 시리즈
또는 영어 제목출간 연도
출간 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