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동 (서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용산동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동으로, 용산이라는 지명은 용의 형상을 닮은 산에서 유래되었다.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남부 둔지방에 속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경성부 한지면으로 불리다 한지통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광복 이후에는 해외에서 귀국한 동포와 월남민들이 거주하며 '해방촌'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는 용산동2가와 용산동4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전쟁기념관, 엔서울타워, 한양도성 등의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다. 또한, 국방부 청사가 있으며, 반포대교, 남산2호터널, 남산3호터널이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기도 하다. 서울용암초등학교, 용산중학교, 용산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소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금호동 (서울)
서울 금호동은 성동구에 있는 법정동이자 행정동으로 금호1가부터 금호4가로 나뉘며, 조선시대 솥 장수와 수철리 공동묘지가 있었고 일제강점기 금호정으로 불렸으며, 무쇠막에서 유래한 수철리를 거쳐 금호라는 지명이 되었고, 지하철 3, 5호선 역과 금남시장, 공원, 학교 등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행정 구역 - 월곡동 (서울)
월곡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동으로, 지형이나 소 거래 풍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지하철역과 동덕여자대학교를 포함한 교육기관들이 위치하고, 행정동은 월곡1동과 월곡2동으로, 법정동은 하월곡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한남동
한남동은 서울 용산구에 위치하며 성동구, 이태원동, 보광동과 접하고 한강과 마주하며, 한남대로를 통해 강남과 연결되고 능터골 전설이 전해지며, 한남역, 한강진역과 한남대교, 한남대로, 소월로 등의 교통 요충지이며, 서울한남초등학교, 리움미술관, 백범김구기념관 등 교육 및 문화 시설이 위치한 지역이다. - 서울 용산구의 행정 구역 - 효창동
효창동은 조선시대 왕실 묘역인 효창원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현재는 효창공원과 효창운동장이 조성되어 있으며 백범 김구 선생을 기리는 백범기념관과 효창종합사회복지관 등도 위치해 있다. - 1959년 설치 - 서울남대문경찰서
서울남대문경찰서는 서울특별시 중구 일부를 관할하는 경찰서로, 1959년 남대문경찰서에서 2001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중구 주요 지역을 관할하고 7개 파출소와 다양한 부서로 구성되어 법 집행 과정에서 논란이 있었다. - 1959년 설치 - 옥수동
옥수동은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위치한 동으로, 옥정수에서 유래된 지명이며, 경의·중앙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 옥수역을 통해 대중교통 이용이 가능하다.
용산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한글 표기 | 용산동 |
한자 표기 | 龍山洞 |
로마자 표기 | Yongsan-d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 | Yongsan-tong |
국가 | 대한민국 |
수도 | 서울특별시 |
면적 | 1.96km² |
인구 | 12,612명 (2013년) |
인구 밀도 | auto |
행정 정보 | |
법정동 | 용산동2가, 용산동4가 |
통 | 20 |
반 | 127 |
동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신흥로 90 |
동 주민센터 홈페이지 | 용산구 용산2가동 주민센터 |
추가 정보 | |
두산백과 | 용산동 (Yongsan-dong 龍山洞) |
기타 정보 | |
세대 | 5,556 (2017년 6월 30일 기준) |
인구 (2022년 8월 기준) | 9,293 |
2. 역사
용산동은 용산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되었는데, 이는 용 같은 형체의 산을 의미한다. 이 지역은 남산의 연맥이 뻗어 내려간 구릉지대로, 조선시대 말까지도 수목이 울창하여 인가가 드문 곳이었다. 현재 이 지역 북쪽은 남산 정상의 엔서울타워 및 한양도성을 경계로 중구와 맞닿아 있으며, 남산으로 오르는 도로와 소월로가 동서로 관통한다. 이 길 북쪽은 산림이 우거져 있다.
2. 1. 조선시대
조선 초 한성부 성저십리에 속했으며, 1790년 한성부 남부 둔지방(성외)에 속하였고, 1890년에는 한남서 둔지방(성외) 둔지미계의 둔지미동으로 칭하였다.[5]2. 2. 일제강점기
1911년 4월 1일 경성부 한지면(漢芝面)으로 칭해졌다.[5] 1913년 12월 11일 경성부 서부에 편입되었다.[6] 1914년 4월 1일 경성부 한지통(漢芝通)으로 명명되었다.[7][8]2. 3. 광복 이후
8.15 광복과 더불어 해외에서 귀국한 동포와 38선을 넘어 온 월남민 등이 용산동2가(해방촌)에 임시로 거주하면서 '해방촌'이라는 별칭이 생겼다.[9] 함경도에서 월남해 온 사람은 함경도식 집을, 평안도에서 월남해 온 사람은 평안도식 집을 지어 마치 북녘 문화의 축소판을 재현해 놓은 것 같았으나, 지금은 주택개발사업 시행으로 그 모습을 찾아보기가 힘들다.[9]3. 법정동
용산동2가, 용산동4가가 있다.
4. 주요 시설
용산동에는 국립중앙박물관, 한국전쟁기념관[3], 국방부 청사[4] 등이 있다.
4. 1. 관광
용산동2가 지역 북쪽은 남산 정상의 엔서울타워 및 한양도성을 경계로 중구와 맞닿아 있다.[9]-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전쟁기념관[3]
4. 2. 박물관 및 기념관
- 국립중앙박물관
- 한국전쟁기념관[3]
4. 3. 정부 기관
국방부 청사가 있다.[4]5. 교통
6. 교육
참조
[1]
웹사이트
용산구청
http://www.yongsan.g[...]
[2]
웹사이트
용산동 (Yongsan-dong 龍山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3]
웹사이트
Seoul's best museums
http://www.cnngo.com[...]
2011-10-27
[4]
웹사이트
Location
http://www.mnd.go.k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14-01-01
[5]
간행물
경기도령 제3호
[6]
간행물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7]
간행물
경기도 고시 제7호
1914-04-01
[8]
웹사이트
용산동 유래 및 연혁
http://www.yongsan.g[...]
2017-07-09
[9]
웹사이트
용산동 지역특성
http://www.yongsan.g[...]
2017-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