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규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규승은 대한민국의 건축가로, 서울대학교에서 건축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컬럼비아 대학교와 하버드 대학교에서 건축학 및 도시설계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경력을 시작하여 Kyu Sung Woo Architects, Inc.를 설립했으며,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부교수와 하버드 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2008년 호암상 예술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건축가 협회(AIA)의 펠로우이다. 모더니즘 건축과 한국 전통 건축의 융합을 시도하며, 장소성과 환경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건축 철학을 가지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환기미술관, 10 아크론 스트리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건축가 - 김영종 (1953년)
    김영종은 대한민국의 건축가이자 민선 5·6·7기 종로구청장을 역임한 정치인으로, 건축사로서 다수의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종로구청장 재임 시절에는 한복 문화 조성에 힘썼다.
  • 대한민국의 건축가 - 김수근 (건축가)
    김수근은 한국 현대 건축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건축가로, 한국적 정체성을 담은 건축물 설계, 문화예술 활동 기여, 군사정권 시절 국가 주도 프로젝트 수행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 호암 예술상 수상자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호암 예술상 수상자 - 박경리
    박경리는 1926년 통영에서 태어나 한국 전쟁 중 남편과 아들을 잃는 아픔을 겪었으며, 소설가 김동리의 추천으로 등단하여 《김약국의 딸들》, 대하소설 《토지》 등 개인적인 경험과 시대적 아픔을 담은 작품을 발표하고, 말년에 폐암으로 투병하다 2008년 사망한 소설가이다.
  • 서울대학교 동문 - 김태권
    김태권은 서울대학교에서 미학과 서양고전학을 전공한 대한민국의 만화가이자 작가로,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데뷔하여 역사, 인문학, 사회 비판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인문학적 깊이와 풍자, 해학을 통해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작품들을 발표해왔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우규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우규승
한자 표기禹圭昇
로마자 표기U Gyuseung
인물 정보
국적대한민국
출생일1941년
출생지일제강점기 조선 경기도 경성부
학력
출신 대학서울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경력
소속우규승 건축사무소(대표)
주요 건축물환기미술관
88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캔자스시 넬슨 앳킨스 미술관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기숙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수상호암상

2. 생애 및 경력

우규승은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에서 건축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67년 미국으로 건너가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1968), 하버드 대학교에서 도시설계학 석사(1970) 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여러 디자인 및 컨설팅 직책을 거쳤으며, MIT 부교수 및 하버드 대학교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1990년 Kyu Sung Woo Architects, Inc.를 설립했고,[1] 2008년 호암상 예술상을 수상했다. 미국 건축가 협회(AIA) 펠로우이다.

2. 1. 한국에서의 초기 생애 및 교육 ( ~ 1967)

우규승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건축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고, 1967년 미국으로 건너갔다.[1]

2. 2. 미국 유학 및 초기 경력 (1967 ~ 1990)

우규승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에서 건축공학 학사 및 석사 학위를 받은 후, 1967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1968), 하버드 대학교에서 도시설계학 석사(1970)를 받았다. 미국 내 여러 디자인 및 컨설팅 직책을 거쳐 1990년 Kyu Sung Woo Architects, Inc.를 설립했다.[1]

2. 3. Kyu Sung Woo Architects, Inc. 설립 이후 (1990 ~ 현재)

1990년, 우규승은 자신의 건축사무소인 Kyu Sung Woo Architects, Inc.를 설립했다.[1] 2008년에는 호암상 예술상을 수상했으며, 미국 건축가 협회(AIA)의 펠로우이다.

3. 건축 스타일 및 철학

우규승은 건물이 위치한 장소의 특성과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건물의 외관과 구성을 결정해야 한다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그는 환기미술관 설계 당시 "공공 건물이자 미술관으로서 주변 지역의 규모, 지형, 자연 환경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고려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5]

3. 1. 모더니즘과 한국 전통 건축의 융합

우규승의 작품에서 단순화된 정형 형태와 볼륨을 자주 사용하는 것은 그를 모더니즘 운동과 연결시킨다. 또한 그의 스타일의 여러 측면은 한국과 미국에서 생활한 그의 문화적 경험에서 비롯된다.[2] 한국의 동료 건축가 강홍빈은 "우규승이 '한국' 건축가인지 '미국' 건축가인지 묻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는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으며, 동시에 둘 다이기 때문이다. 그는 미국 건축계에 '동양적' 특성을 팔려고 하지도 않고, 한국인들에게 최신 서양 건축을 소개하려고 하지도 않는다."라고 말했다.[3] 이러한 두 문화적 영향은 우규승의 퓨트넘 마운틴 하우스에서 볼 수 있는데, 이곳은 경사진 뉴잉글랜드 스타일의 지붕과 함께 한옥의 야외 안뜰로 이어지는 미닫이 유리문과 유사한 대형 미닫이 유리문을 특징으로 한다.[4]

더욱이, 우규승은 종종 건물의 부지에서 요구되는 사항이 건물의 외관과 구성을 어떻게 형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관점에서 그의 디자인 철학을 명확히 한다. 우규승은 환기 미술관에 대해 논의하면서, "… 나는 공공 건물이자 미술관의 존재가 주변 지역의 규모, 지형, 자연 환경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고려하려고 노력했다."라고 말했다.[5]

3. 2. 장소성과 환경과의 조화

우규승은 건물이 위치하는 장소의 특성과 주변 환경이 건물의 외관과 구성을 결정해야 한다는 디자인 철학을 가지고 있다. 그는 환기미술관에 대해 "공공 건물이자 미술관으로서 주변 지역의 규모, 지형, 자연 환경에 어떻게 부합하는지를 고려하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5]

환기미술관은 서울 부암동 계곡에 위치한 미술관/전시 복합 시설로, 1992년에 한국의 현대 화가 김환기를 기념하기 위해 건설되었다.[9] 이 복합 단지는 김환기의 작품을 전시하는 공간과 임시 예술 전시 공간, 카페, 상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계곡의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10]

우규승은 환기미술관을 설계하면서 "전시 공간에서 건축적 경험은 예술에 종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건축은 수동적인 역할을 할 필요는 없다. … 건축에 의해 활성화된 자연과 맥락과의 가끔의 연결은 예술 작품에 대한 경험을 향상시키고, 예술과 건축 모두에 대한 감상을 더욱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13]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 대학교 캠퍼스 내에 있는 10 아크론 스트리트(10 Akron Street)는 LEED 골드 인증을 받은 기숙사이다. 찰스 강둑에 자리 잡고 있으며, 호세 루이스 세르트(우규승이 하버드에서 사사한 건축가)가 설계한 22층 규모의 주거 타워인 피보디 테라스(Peabody Terrace)의 기슭에 위치해 있다.[14]

이 기숙사는 U자형 평면을 가진 약 10683.85m2 규모의 건물로, 2008년 마이클 반 발켄버그(Michael Van Valkenburgh)가 설계한 안뜰 정원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우규승은 캠퍼스 입구에 위치한 이 건물의 높은 공공성 때문에 건물의 규모와 매스를 주변 커뮤니티 및 조망과 조화시키고자 했다.[15]

우규승은 10 아크론 스트리트의 설계에 대해 "나는 이 건물이 매스와 규모 면에서 피보디 테라스와 관계를 맺고 이를 보완하길 원했다. … 아크론 기숙사는 도시와 캠퍼스의 변화하는 조건 속에서 전통과 혁신을 유지하려는 시도였다"고 언급했다.[16]

4. 주요 작품

우규승의 작품은 소규모 주택부터 대규모 주거 단지, 공공 건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를 아우른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

4. 1.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 (1988)

우규승 건축사무소(이후 규승우 건축사로 변경)에서 일하면서, 우규승은 1985년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24회 올림픽 경기의 선수 및 기자들을 위한 주거 단지를 설계하는 국제 공모전에 참여했다. 우규승의 디자인이 선정되어 1988년에 완공되었다.

이 단지는 도시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5,540개의 주거 유닛과 부대시설을 포함하고 있다. U자형 갤러리와 공공 광장에서 주거 유닛이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부채꼴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건물들은 그릇 모양의 지형에 맞춰 배치되어 있으며, 주거 타워는 중앙 광장에서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진다.[6] 올림픽 기간 동안 13,000명의 선수와 7,000명의 기자들이 이 단지에 머물렀다.[7]

올림픽이 끝난 후, 이 단지는 영구적인 도시 커뮤니티로 용도가 변경되었다.[8] 이 커뮤니티에는 지하철역, 3개의 학교, 종교 시설, 문화 시설, 레크리에이션 시설 및 소매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4. 2. 환기미술관 (1992)

환기미술관은 서울 부암동 계곡에 위치한 미술관/전시 복합 시설이다. 이 건물은 한국의 현대 화가 김환기를 기념하기 위해 1992년에 건설되었다.[9] 이 복합 단지는 두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하나에는 김환기의 작품이, 다른 하나에는 임시 예술 전시 공간, 카페, 상점이 있다. 이 단지는 계곡의 동서 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10]

미술관 건물의 중앙 홀은 우규승의 디자인에서 통일된 공간 역할을 한다.[11] 높이 8미터의 큐브 형태 공간은 부분적으로 지하에 위치하며, 아래 벽면에 그림을 전시할 수 있도록 나누어져 있다. 상단 벽면은 기둥으로 조각되어 공간을 감싸는 계단통을 드러낸다. 홀은 인공 조명과 중앙 채광창을 통해 직접적으로, 인접한 메자닌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명이 된다.[12]

미술관을 설계하면서 우규승은 김환기의 예술과 자신의 건축 사이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전시 공간에서 건축적 경험은 예술에 종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여기와 다른 곳에서 건축은 수동적인 역할을 할 필요는 없다. 예술을 흡수하는 과정은 미술관 전체에서 발생하는 집단적이고 지속적인 경험이며, 휴식이 필요한 강렬한 활동이다. 건축에 의해 활성화된 자연과 맥락과의 가끔의 연결은 예술 작품에 대한 경험을 향상시키고, 예술과 건축 모두에 대한 감상을 더욱 의미 있고 풍부하게 만들 수 있다."[13]

4. 3. 10 아크론 스트리트 (2008)

10 아크론 스트리트(10 Akron Street)는 매사추세츠 주 케임브리지에 있는 하버드 대학교 캠퍼스 내의 LEED 골드 인증을 받은 기숙사이다.[14] 이 건물은 찰스 강둑에 있으며, 호세 루이스 세르트(우규승이 하버드에서 사사한 건축가)가 설계한 22층 규모의 주거 타워인 피보디 테라스(Peabody Terrace) 기슭에 있다.[14]

이 기숙사는 평면이 U자형인 약 10683.85m2 규모의 건물이다. 2008년에 마이클 반 발켄버그가 설계한 안뜰 정원을 중심으로 건설되었다. 캠퍼스 입구에 있어 공공성이 높은 이 건물의 특성 때문에, 우규승은 건물의 규모와 매스를 주변 커뮤니티 및 조망과 조화시키고자 했다.[15]

우규승은 10 아크론 스트리트 설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나는 이 건물이 매스와 규모 면에서 피보디 테라스와 관계를 맺고 이를 보완하길 원했다. 하지만 이 두 프로젝트는 50년의 시간차를 두고 설계되었으며 각 시대의 반영이다. 혁신은 주거 유형, 건설, 기술 및 미학 측면에서 피보디 테라스의 본질이었다. 반면 아크론 기숙사는 도시와 캠퍼스의 변화하는 조건 속에서 전통과 혁신을 유지하려는 시도였다."[16]

4. 4. 기타 주요 작품

5. 수상

참조

[1] 서적 Whanki Museum Rockport 1999
[2] 뉴스 Creating New Roots https://www.wsj.com/[...] 2023-04-11
[3] 서적
[4] 뉴스 Creating New Roots
[5] 서적
[6] 서적 Contemporary Asian Architects Taschen 1995
[7] 웹사이트 Kyu Sung Woo Architects http://kswa.com/ 2012-02-29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간행물 10 Akron Street Cambridge, Massachusetts 2010
[15] 간행물
[16] 간행물
[17] 뉴스 우규승 http://youlhwadang.c[...] 열화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