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김태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김태권은 대한민국의 만화가, 칼럼니스트, 저술가이다.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서양고전학을 전공했으며,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만화계에 데뷔했다. 주요 작품으로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삽화 작업, 《르네상스 미술 이야기》 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한겨레》에 칼럼을 연재했다. 그는 인문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담은 작품을 선보이며, 특유의 풍자와 해학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압구정고등학교 동문 - 박수아
    박수아는 2010년 애프터스쿨의 멤버 '리지'로 데뷔하여 오렌지캬라멜 유닛 활동과 솔로 가수 활동을 거쳐 배우로 전향했으나, 2021년 음주운전 사고를 일으켰다.
  • 압구정고등학교 동문 - 전승우
    전승우는 1995년 록 밴드 컬트의 드러머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 작사가, 작곡가,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활동하며 S.E.S., 빅뱅, 아이유 등 다양한 가수들의 작품에 참여한 대한민국의 음악가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차명진
    차명진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 후 노동운동과 정치 활동을 거쳐 부천시 소사구에서 재선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MBN 뉴스 패널 및 칼럼니스트로도 활동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의 만화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서울대학교 동문 - 박주선
    박주선은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검사, 대통령비서실 법무비서관을 거쳐 국회의원, 국회 부의장, 당 대표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석유협회 회장으로 재직 중이다.
  • 서울대학교 동문 - 신장식
    신장식은 대한민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방송인으로, 진보신당과 정의당에서 활동했으며 조국혁신당에 합류하여 제22대 국회의원이 되었고, TBS FM과 MBC 표준FM에서 시사 평론가로도 활동했다.
김태권 - [인물]에 관한 문서
만화가 정보
이름김태권
직업만화가, 미학자
활동 기간2002년 -
장르만화, 미학
데뷔작《십자군 이야기》

2. 데뷔 및 학력

1994년 서울대학교 미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하였고[1] 같은 학교 서양고전학 전공 대학원에서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전공하였다.[2] 2002년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로 만화를 그리기 시작했다. 조지 W. 부시이라크를 침공하며 십자군을 자처한 것이 만화를 그리기로 결심한 이유가 되었다고 한다.[3] 만화가로 데뷔하면서 장정일의 《삼국지》 삽화 작업도 함께 하였다.

3. 주요 작품

김태권은 다양한 저서와 삽화 작업에 참여했다.


  • 저서
  •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1~6권)
  • 《르네상스 미술 이야기》 (한겨레출판, 2009년)[1]
  • 《어린왕자의 귀환》 (돌베개, 2009년)[2]
  •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3권) (비아북)
  • 《히틀러의 성공시대》 (1~2권) (한겨레출판사)
  • 《불편한 미술관 - 그림 속에 숨은 인권이야기》 (창비, 2018년)[3]
  • 《에라스뮈스와 친구들》 (아모르문디, 2018년)[4]

  • 삽화
  • 에라스무스의 《에라스무스 격언집》
  • 장정일의 《장정일 삼국지》
  • 《철학학교》
  • 《문화로 먹고살기》
  •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2][6]

3. 1.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는 2003년에 첫 권이 출판되었다. 1권과 2권이 출간된 후 6년 동안 연재가 중단되었다가 2011년부터 프레시안에 3권이 연재되기 시작했고[4], 2013년에는 제5권 〈사자심왕 리처드의 반격〉이 출간되었다.[5]

3. 2. 삽화

에라스무스의 《에라스무스 격언집》, 장정일의 《장정일 삼국지》, 《철학학교》, 《문화로 먹고살기》,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등 다양한 책의 삽화 작업에 참여했다.[2][6]

3. 3. 저서


  •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1~6권)
  • 《르네상스 미술 이야기》 (한겨레출판, 2009년)[1]
  • 《어린왕자의 귀환》 (돌베개, 2009년)[2]
  •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3권) (비아북)
  • 《히틀러의 성공시대》 (1~2권) (한겨레출판사)
  • 《불편한 미술관 - 그림 속에 숨은 인권이야기》 (창비, 2018년)[3]
  • 《에라스뮈스와 친구들》 (아모르문디, 2018년)[4]

4. 칼럼

김태권은 만화가로서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며 역사와 사회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시각을 제시해왔다. 특히 《한겨레》와의 협업은 그의 칼럼 활동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4. 1. 한겨레 칼럼

2013년부터 2016년까지 《한겨레》 토요판에 〈김태권의 인간극장〉을 연재하였다.[7] 이 칼럼은 한국 현대사의 인물들에 대한 조형물과 함께 간략한 약력 소개와 비평을 담았으며, 첫 회에서는 문익환 목사를 소개하였고[8], 2016년 6월 25일 마지막 회에서는 운동권이었다가 뉴라이트로 전향한 허현준을 다루었다.[9]

2016년부터는 《한겨레》에 역사적 사건과 인물을 평하는 〈나는 역사다〉 시리즈[10]와 음식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ESC: 김태권의 고기고기 여행〉을 연재하고 있다.[11]

5. 작품 세계 및 관점

김태권은 《어린왕자의 귀환》에서 “‘자연스러운’ 경제논리를 정치논리로 재단하지 마라”와 같은 주장에 대해 경제논리 역시 이데올로기일 뿐이라며 “시장원리나 경제논리는 오늘날 반대자의 입을 틀어막고 진지한 문제제기를 금한다”고 비판한다.[12] 또한 《히틀러의 성공시대》에서 "대상을 잘못 잡은 증오가 얼마나 위험한가"를 드러내기 위해 온갖 진상을 떠는 히틀러를 묘사하였다. 여기에는 정치적 이념과 관계없이 상대를 타자화하고 증오하는 것은 잘못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관점이 실려 있다.[13]

김태권은 《불편한 미술관》에서 그림의 소재가 된 여성과 소수자는 그것을 바라보는 남성과 강자의 시선을 중심으로 묘사된 경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하였다.[14] 예를 들어 성희롱을 당한 성서 다니엘서수산나[15]를 소재로 삼은 작품들은 성서의 이야기를 전하는 듯하지만 많은 경우 관음증적인 시선을 드러내어 관객을 2차 가해의 공범으로 끌어들이는 시점에서 제작되었다. 반면에 여성작가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가 그린 같은 소재의 작품은 피해자인 수산나의 고통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16]

렘브란트의 수산나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의 수산나

6. 평가

김태권은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를 통해 "인문학 전문 만화가"로 불리게 되었고[3] 특유의 풍자와 해학으로 십자군에 대한 서구 중심의 관점을 해체하여 "현재와 미래의 폭력에 대치"하였다는 평을 받았다.[17] 그의 작품에 들어있는 독특한 해학과 풍자는 "김태권표"라고 불리지만[18] 동음이의를 이용한 해학은 기존 텍스트를 알아야 이해가 되는 요소들이 많고 좀 썰렁하지만 집요한 비판적 개그에 익숙해지는데 시간이 걸린다는 비판이 있다.[19] 스스로도 “개그쪽은 실패했다”고 자평한 바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전공소개 동영상 http://admission.snu[...]
[2] 웹사이트 김태권 http://www.changbi.c[...] 2019-04-20
[3] 뉴스 부시 전 대통령, 한국 만화가를 데뷔시키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011-01-14
[4] 뉴스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3권, 단독 연재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0-12-14
[5] 서적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5 - 사자심왕 리처드의 반격 비아북 2013-08-02
[6] 웹사이트 마키아벨리를 위한 변명 군주론,나의 고전 읽기 23 https://book.naver.c[...]
[7] 웹사이트 김태권의 인간극장 http://www.hani.co.k[...]
[8] 웹사이트 김태권의 인간극장 - 문익환 (1918~1994) http://www.hani.co.k[...]
[9] 웹사이트 김태권의 인간극장 - 청와대에 들어간 허현준(1969~ ) http://www.hani.co.k[...]
[10] 웹사이트 나는 역사다 http://www.hani.co.k[...]
[11] 웹사이트 ESC: 김태권의 고기고기 여행 http://www.hani.co.k[...]
[12] 웹사이트 김태권 http://www.yes24.com[...]
[13] 뉴스 “오빠 믿지? 잇힝!”… ‘교태부리는 히틀러’의 성공시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12-22
[14] 뉴스 프로불편러의 시각으로 보는 『불편한 미술관』 http://www.readersne[...] 독서신문 2018-03-30
[15] 웹사이트 다니엘서 13장 http://www.holybible[...]
[16] 서적 불편한 미술관 - 그림 속에 숨은 인권이야기 창비 2018
[17] 뉴스 인터넷 서점 알라딘, ‘김태권의 십자군 이야기’ 단독 연재 http://www.newswire.[...] NewsWire 2011-08-02
[18] 뉴스 히틀러 키운 독일, 무슨 일이 있었던 거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11-30
[19] 뉴스 블로그 - 2009 최고 만화로 이 5편을 꼽았던 이유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1-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