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류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류절은 묘령계의 두 번째 절로, 캄브리아기 중기에 해당한다. GSSP(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국제층서대 경계)는 중화인민공화국 구이저우성 먀오링산지에 위치한 카이리 층의 우류-쩡자야 섹션으로, 삼엽충 Oryctocephalus indicus의 첫 출현으로 정의된다. 우류절은 올레넬리드 생물군 경계로 알려진 삼엽충의 주요 멸종 사건을 특징으로 하며, 벤토스성 필석, 삼엽충, 알락꼬리충, 후르디아 등 다양한 판각류의 화석이 발견된다. 캐나다 버제스 셰일에서 발견되는 버제스 동물군 역시 이 시기에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류절 | |
---|---|
지질 시대 정보 | |
이름 | 우류절 |
크로노존 이름 | 해당 없음 |
층서 단위 | 절 |
이름 형식 | 정식 |
이름 승인 날짜 | 2018년 |
대체 철자 | 해당 없음 |
동의어 1 | 해당 없음 |
동의어 1 제정 | 해당 없음 |
동의어 2 | 해당 없음 |
동의어 2 제정 | 해당 없음 |
동의어 3 | 해당 없음 |
동의어 3 제정 | 해당 없음 |
별명 | 해당 없음 |
이전 이름 | 캄브리아기 제5절 |
제안된 이름 | 해당 없음 |
2. 층서학적 정의
우류절의 기저는 삼엽충 종 Oryctocephalus indicus|오리크토케팔루스 인디쿠스영어의 첫 출현으로 정의된다[18]。우류절의 종료는 드라미절기의 시작이며, 삼엽충 Ptychagnostus atavus|프티차그노스투스 아타부스영어가 지시 화석으로 사용된다[19]。
GSSP는 중화인민공화국구이저우성 먀오링산지에 분포하는 Kaili Formation|카이리 층영어의 우류-쩡자야 섹션으로 팔랑촌에 위치한다[20]。
2. 1. GSSP 후보지
GSSP 후보지로 세 곳이 논의되었다. 구이저우 성 발랑 인근의 Wuliu-Zengjiayan 단면(발랑층)(중국), 네바다 주 스플릿 마운틴 단면(미국)[7], 그리고 몰로도 강을 따라 위치한 "몰로도 강 단면"(사하 공화국, 러시아)이었다.[8] Wuliu-Zengjiayan 단면은 Wuliu 채석장에 있는 카이리 층의 노두이다. 우류절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후보는 삼엽충 ''Oryctocephalus indicus''였고, 두 번째 후보는 삼엽충 ''Ovatoryctocara granulata''였다.[9] Wuliu-Zengjiayan 단면은 2018년 공식적인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Oryctocephalus indicus''의 최초 출현이 GSSP의 결정적인 지표로 선택되었다.[1]2. 2. GSSP 선정
GSSP 후보로 구이저우 성 발랑 인근의 Wuliu-Zengjiayan 단면(발랑층)(중국), 네바다 주 스플릿 마운틴 단면(미국)[7], 몰로도 강을 따라 위치한 "몰로도 강 단면"(사하 공화국, 러시아)[8] 세 곳이 논의되었다. Wuliu-Zengjiayan 단면은 Wuliu 채석장에 있는 카이리 층의 노두이다. 우류절의 시작을 알리는 첫 번째 후보는 삼엽충 ''Oryctocephalus indicus''였고, 두 번째 후보는 삼엽충 ''Ovatoryctocara granulata''였다.[9]Wuliu-Zengjiayan 단면은 2018년 공식적인 기준으로 선정되었으며, ''Oryctocephalus indicus''의 최초 출현이 GSSP의 결정적인 지표로 선택되었다.[1] 우류절의 기저는 삼엽충 종 Oryctocephalus indicus|오리크토케팔루스 인디쿠스영어의 첫 출현으로 정의된다.[18]
3. 주요 사건
우류절의 기저(그리고 그에 따른 전체 묘령계 전체)는 올레넬리드 생물군 경계로 알려진 삼엽충의 첫 번째 주요 멸종으로 특징지어진다. 이 사건은 갑작스러운 음의 탄산염 탄소 이탈과 관련이 있다.[10]
4. 고생물학
벤토스성 필석은 우류절에 상당한 다양성에 도달했다. 이 시대의 가장 흔한 필석 속은 전 세계에서 발견된 견고한 군체를 가진 ''Sphenoecium''이다.[11] 삼엽충, 알락꼬리충, 후르디아 및 두순충류를 포함한 수많은 판각류가 우류절 퇴적물에서 알려져 있다.[12]
4. 1. 버제스 셰일 동물군
약 5억 500만 년 전 캐나다 버제스 셰일에서는 버제스 동물군이라고 불리는 동물군의 화석이 산출된다.[24] 아노말로카리스나 오파비니아와 같이 눈이나 갑각을 가진 동물로 대표되는 동물군이며, 이보다 약 1500만 년 더 오래된 청장 동물군과 공통적인 속도 있다. 버제스 동물군이나 청장 동물군으로 대표되는, 눈에 띄게 복잡한 구조의 생물은 시각 획득을 방아쇠로 하는 생존 경쟁에 자극받아 출현했다는 설이 유력하다.[24]참조
[1]
논문
Global Standard Stratotype-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conterminous base of the Miaolingian Series and Wuliuan Stage (Cambrian) at Balang, Jianhe, Guizhou, China
http://www.palaeonto[...]
2024-03-28
[2]
논문
Global Standard Stratotype-Section and Point (GSSP) for the conterminous base of the Miaolingian Series and Wuliuan Stage (Cambrian) at Balang, Jianhe, Guizhou, China
http://www.palaeonto[...]
[3]
논문
The Global boundary Stratotype Section and Point (GSSP) of the Drumian Stage (Cambrian) in the Drum Mountains, Utah, USA
http://www.palaeonto[...]
2024-03-28
[4]
웹사이트
ChronostratChart2018-08
http://www.stratigra[...]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5]
웹사이트
GSSP Table - Paleozoic Era
https://engineering.[...]
2024-03-28
[6]
웹사이트
Subcommission on Cambrian Stratigraphy Annual Report 2017
http://www.palaeonto[...]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2024-03-28
[7]
웹사이트
The Geologic Time Scale 2012
https://engineering.[...]
[8]
논문
The 13th International Field Conference of the Cambrian Stage Subdivision Working Group
http://www.episodes.[...]
2024-03-28
[9]
논문
Detailed trilobite biostratigraphy across the proposed GSSP for Stage 5 ("Middle Cambrian" boundary) at the Wuliu-Zengjiayan section, Guizhou, China
2011-09-22
[10]
논문
Chemostratigraphic correlations across the first major trilobite extinction and faunal turnovers between Laurentia and South China
2019-11-22
[11]
논문
Benthic graptolites (Graptolithina, Pterobranchia) in the Miaolingian (Cambrian Series 3)
https://www.research[...]
2023-12-08
[12]
논문
New soft-bodied panarthropods from diverse Spence Shale (Cambrian; Miaolingian; Wuliuan) depositional environments
https://www.research[...]
[13]
문서
基底年代の数値では、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
[14]
문서
百万年前
[15]
문서
「始生代」の新名称、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
[16]
웹사이트
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国際年代層序表)
http://www.geosociet[...]
日本地質学会
2020-04-20
[17]
웹사이트
地質系統・年代の日本語記述ガイドライン_改訂履歴
http://www.geosociet[...]
日本地質学会
2020-04-20
[18]
논문
Proposal of a reference section and point for the Cambrian Series 2-3 boundary in the Mediterranean subprovince in Murero (NE Spain) and its intercontinental correlation
2011-12-01
[19]
웹사이트
GSSP for Drumian Stage
https://engineering.[...]
Geologic TimeScale Foundation
2012-11-16
[20]
웹사이트
ISCS Annual Report 2017.pdf
http://www.palaeonto[...]
国際層序委員会
2020-04-21
[21]
웹사이트
GSSP Table - Paleozoic Era
https://engineering.[...]
Geologic TimeScale Foundation
2012-11-15
[22]
논문
The 13th International Field Conference of the Cambrian Stage Subdivision Working Group
https://www.research[...]
[23]
논문
Detailed trilobite biostratigraphy across the proposed GSSP for Stage 5 ("Middle Cambrian" boundary) at the Wuliu-Zengjiayan section, Guizhou, China
2011-09-22
[24]
서적
サメ帝国の逆襲 海洋生命5億年史
文藝春秋
2018-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