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륵의 12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륵의 12곡은 가야의 악사 우륵이 가실왕의 명을 받아 가야금을 제작하고, 가야의 방언과 풍속을 반영하여 작곡한 12개의 가야금 곡을 의미한다. 가야금은 중국의 쟁을 모방하여 제작되었으며, 12곡은 12개의 현을 가진 가야금으로 연주되어 1년 12달의 세시풍속과 농경문화를 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륵은 신라로 귀화한 후 자신의 제자들에게 12곡을 전수했으나, 번다하고 음란하다는 평가를 받아 5곡으로 축소되었다. 우륵의 12곡은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받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된다.
우륵은 6세기 가야국의 악사였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우륵은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 정정골에서 공인들을 데리고 가야금을 제작했다.[3] 우륵은 가실왕의 명을 받아 중국의 쟁(箏)을 본떠 가야금을 만들었다.
《신라고기(新羅古記)》에 따르면, 가야국(伽倻國) 가실왕(嘉實王)은 당나라 악기를 보고 가야금을 제작하면서 악사(樂師) 우륵(于勒)에게 12곡을 만들도록 명했다. 가실왕은 "여러 나라의 방언(方言)이 각각 다른데 그 성음(聲音)이 어찌 같을 수 있겠는가?"라고 말하며 우륵에게 각 지역의 특색을 담은 음악을 만들도록 지시했다.[1]
2. 우륵의 생애와 가야금 창제
《신라고기》에는 가야국 가실왕이 당나라 악기를 보고 제작한 것으로 잘못 알려질 수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1]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을 보면, 가실왕이 중국의 진쟁(秦箏)을 본떠서 거문고를 만들어 가야금이라고 불렀으며, 우륵이 가야금을 제작한 곳은 지금의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 정정골이라고 한다.[3]
조선시대 충주목 관할 지역에는 상가라제(음성군 금왕읍), 하가라제(음성군 금왕읍), 가야곡제(음성군 대소면) 등 가야 계통의 지명들이 나타난다. 우륵의 출생지로 전해지는 제천시 청풍면과 제천 의림지 설화 등을 고려할 때, 우륵이 12곡을 만든 곳은 충주지역일 가능성도 제기된다.[4]
2. 1. 가야금 제작 배경
가야국(伽倻國) 가실왕(嘉實王)은 당나라 악기를 보고 가야금을 제작했다. 가실왕은 '여러 나라의 방언(方言)이 각각 다른데 그 성음(聲音)이 어찌 같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며, 악사(樂師) 성열현(省熱縣) 사람 우륵(于勒)에게 명하여 12곡(曲)을 만들게 하였다.[1]
가실왕은 중국 진(秦)나라의 쟁(箏)을 모방했지만, 가야의 성음에 맞게 12현으로 개량하였다.[2] 《악학궤범》에서 인용한 《문헌통고》에 따르면, 쟁은 원래 5현이었으나 13현으로 개량된 사례가 있었다. 가실왕은 1년 사시(四時)의 농경문화를 반영하여 12월을 상징하는 12현으로 악기를 제작했다.[2]
2. 2. 가야금 제작 장소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우륵은 고령군 대가야읍 쾌빈리 정정골(지금의 고령현)에서 공인(工人)들을 데리고 가야금을 제작했다.[3]
3. 우륵의 12곡
우륵이 작곡한 12곡은 가야 각 지역의 방언과 풍속을 반영했으며, 1년 12달의 세시풍속, 특히 농경문화와 관련된 악곡으로 추정된다.
3. 1. 12곡의 내용과 성격
우륵이 작곡한 12곡은 가야금의 현주(絃柱)가 12월을 상징하는 것처럼, 1년 12달의 세시풍속, 특히 농경문화와 관련된 악곡으로 추정된다.[5] 《삼국사기》에 "여러 나라의 방언이 각각 다른 성음(諸國方言各異聲音)"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우륵의 12곡이 가야 각 지역의 방언과 풍속을 반영했음을 시사한다.
《악학궤범》에서 인용한 《문헌통고》에 따르면, 중국 진(秦)나라의 악기인 쟁(箏)은 12개의 현주(絃柱)를 가지고 있어 12월을 상징한다. 우륵은 이러한 쟁의 영향을 받아 가야금을 제작하면서, 12현으로 구성된 가야금에 1년 사시(四時)의 농경문화를 담아낸 것으로 보인다. 《풍속통》에는 쟁이 본래 5현이었으나 13현으로 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 우륵은 가야의 성음에 맞게 12현으로 악기를 개작하고 12곡을 작곡한 것으로 해석된다.
12곡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추정된다.
곡 순위 | 곡명 | 곡명의 비정 | 무용극 |
---|---|---|---|
1곡 | 하가라도(下加羅都) | 수전농업 관계 향가 | 구지가(龜旨歌) |
2곡 | 상가라도(上加羅都) | 수전농업 관계 향가 |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결혼 |
3곡 | 보기(寶伎) | 금환의 유희 향가 | 공 기예놀이 |
4곡 | 달이(達已) | 달회의 논둑다지기 향가 | 신녀(神女) 묘견의 춤 |
5곡 | 사물(思勿) | 벼농사 김매기 두레 유희적 농악놀이 향가 | 순장 |
6곡 | 물혜(勿慧) | 우기에 논물 지혜 관리 두레기 농악 향가 | 숨결의 춤 |
7곡 | 하기물(下奇物) | 희악(喜樂)의 농악 향가 | 우륵(于勒) 무악(舞樂) |
8곡 | 사자기(師子伎) | 사자 탈춤의 유희 향가 | 가락동자와 사자춤 |
9곡 | 거열(居烈) | 거주민 벼수확 환희심 향가 | 니문 3곡 메추라기, 까마귀, 쥐 |
10곡 | 사팔혜(沙八兮) | 춤사위 사람 인원 유희 향가 | 철기군의 춤 |
11곡 | 이사(爾赦) | 대풍작 갈무리 갈등 사면 향가 | 여전사의 춤 |
12곡 | 상기물(上奇物) | 희악(喜樂)의 향가 | 아가(鵝歌) |
2009년에는 우륵 12곡을 바탕으로 창작 무용극이 만들어지기도 했다.[6]
3. 2. 12곡의 목록과 해석
악사 우륵이 작곡한 곡명은 가야금 현주(絃柱)가 12월에 비긴 것으로, 12곡은 1년 12월 세시풍속의 농경문화와 관련된 악곡[5]으로 유추된다. 2009년 우륵이 지은 우륵 12곡을 바탕으로 창작 무용극[6]이 만들어졌다.순위 | 곡명 | 비정 | 무용극 |
---|---|---|---|
1 | 하가라도 | 수전농업 관계 향가 | 구지가(龜旨歌) |
2 | 상가라도 | 수전농업 관계 향가 | 김수로왕과 허황후의 결혼 |
3 | 보기 | 금환의 유희 향가 | 공 기예놀이 |
4 | 달이 | 달회의 논둑다지기 향가 | 신녀(神女) 묘견의 춤 |
5 | 사물 | 벼농사 김매기 두레 유희적 농악놀이 향가 | 순장 |
6 | 물혜 | 우기에 논물 지혜 관리 두레기 농악 향가 | 숨결의 춤 |
7 | 하기물 | 희악(喜樂)의 농악 향가 | 우륵(于勒) 무악(舞樂) |
8 | 사자기 | 사자 탈춤의 유희 향가 | 가락동자와 사자춤 |
9 | 거열 | 거주민 벼수확 환희심 향가 | 니문 3곡 메추라기, 까마귀, 쥐 |
10 | 사팔혜 | 춤사위 사람 인원 유희 향가 | 철기군의 춤 |
11 | 이사 | 대풍작 갈무리 갈등 사면 향가 | 여전사의 춤 |
12 | 상기물 | 희악(喜樂)의 향가 | 아가(鵝歌) |
3. 3. 12곡에서 5곡으로의 축소
우륵의 12곡은 신라로 전해진 후, 신라의 대내마 주지(법지), 계고, 대사 만덕에 의해 5곡으로 축소되었다.[7][8] 세 사람은 12곡을 전해받고 나서 "번다하고 음란하여 우아하고 바르다고 할 수 없다"라고 평가했다. 이에 5곡으로 요약하였는데, 우륵은 처음에 화를 냈지만, 5곡의 음악을 듣고는 눈물을 흘리며 "즐거움이 넘치지 않고 애절하면서 슬프지 않으니 가히 바르다고 이른다"라며 감탄했다.[7][8] 이는 번다하고 음란한 부분을 제거하고 우아하고 바른 음악으로 재탄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9]4. 우륵 12곡조 지명 비정 논란
우륵의 12곡조 지명 비정과 관련된 논란은 현재까지도 학계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악곡명과 관련된 지명의 비정은 역사적 사실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지만, 사료 부족 등의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4. 1. 이사(爾赦) 지명 비정 논란
우륵의 제11곡 〈이사〉(爾赦)는 《삼국사기》 1512년 정덕본, 1537년 옥산서원본, 1760년 을해목활자본(현종실록자본)에서 모두 ‘사’(赦) 자는 알 수 없다고 하였는데, 일본인 전중준명은 우륵을 왜의 사이기국[10] 사람으로 규정하기 위해 의령군 부림면으로 비정했다.5. 우륵의 출생지와 12곡 작곡 장소 추정
우륵의 출생지로 전해지는 제천시 청풍면과 제천 의림지 설화가 있다. 그리고 조선 시대 충주목 관할에 우륵의 12곡과 이름이 비슷한 상가라제(음성군 금왕읍), 하가라제(음성군 금왕읍), 가야곡제(음성군 대소면), 가라곡제, 상가라곡제, 하가라곡제(이상 음성군 삼성면) 등 가야 계통의 이름들이 남아있는 것을 볼 때, 우륵이 열두 곡을 만든 곳은 충주 지역으로 추정된다.[4]
참조
[1]
서적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2]
서적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
2013
[3]
간행물
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제29권 고령현
재단법인 민족문화추진회
2013
[4]
웹사이트
탄금대의 눈물
http://www.riverguid[...]
국토교통부 4대강 이용도우미
[5]
서적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
2013
[6]
웹사이트
고령디지털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7]
서적
三國史記 卷第三十二 雜志 第一 樂
[8]
데이터베이스
한국사데이터베이스
국사편찬위원회
[9]
서적
청풍 성열현인 악성 우륵의 사료집성
2013
[10]
서적
大加耶聯盟の興亡と任那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