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는 셜리 잭슨의 소설로, 18세의 메리캐트 블랙우드가 언니 콘스턴스, 삼촌 줄리안과 함께 고립된 삶을 사는 이야기를 다룬다. 6년 전 가족들이 비소 중독으로 사망한 사건 이후, 마을 사람들에게 소외된 채 살아가는 블랙우드 자매에게 사촌 찰스가 방문하면서 균열이 생긴다. 소설은 고립, 광기, 여성 간의 유대, 가족의 의미를 탐구하며, 1962년 타임 매거진에서 "최고의 소설 10선" 중 하나로 선정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1966년 연극으로 각색되었고, 2019년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몬트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폴리아나
    폴리아나는 엘리너 H. 포터의 소설로, '기쁨 놀이'라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진 고아 소녀 폴리아나가 주변에 희망과 행복을 전파하는 이야기이며, 소설의 인기로 '폴리아나적'이라는 용어가 낙천주의를 의미하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각색 작품과 심리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 버몬트주를 배경으로 한 소설 - 더 스탠드
    스티븐 킹의 소설 《더 스탠드》는 전염병으로 문명이 붕괴된 후 선과 악으로 나뉜 생존자들의 대립을 통해 재난 이후의 사회와 인간 본성을 탐구하는 작품으로,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어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사이코패스 소설 - 양들의 침묵
    토머스 해리스의 스릴러 소설이자 조너선 드미 감독의 영화인 양들의 침묵은 FBI 수습 요원 클라리스 스탈링이 식인 살인마 한니발 렉터 박사의 도움을 받아 연쇄 살인범 '버팔로 빌'을 쫓는 이야기를 그리며, 영화는 아카데미상을 휩쓸었지만 트랜스포비아적 묘사로 비판받기도 했다.
  • 사이코패스 소설 - 한니발 라이징
    한니발 라이징은 토마스 해리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2007년 영화이자 한니발 렉터 시리즈의 프리퀄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끔찍한 사건으로 살인마가 되는 한니발 렉터의 어린 시절과 복수 과정을 그리고 있다.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
원제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저자셜리 잭슨
언어영어
장르미스터리
스릴러
고딕
출판사엘릭시르
발표일1962년 9월 21일
한국어 발행일2014년 1월 15일
쪽수324쪽
ISBN9788954623810
이전 작품힐 하우스의 유령》(1959)

2. 등장인물

이 소설에는 메리카트, 콘스턴스 블랙우드, 줄리안 블랙우드를 포함한 블랙우드 가문의 사람들이 등장한다. 이들은 6년 전 가족 몰살 사건의 생존자들이다. 또한, 찰스 블랙우드가 등장하여 블랙우드 가에 머물게 된다.[1]

2. 1. 메리 캐서린 "메리카트" 블랙우드

메리카트는 18세로, 블랙우드 가문의 생존자 중 막내이자 소설의 화자이다.[1] 12살 때 부모님, 고모, 남동생이 저녁 식사 중 독살당했다.[1] 메리카트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고 식료품을 사기 위해 마을에 나가는 유일한 블랙우드이다.[1] 이러한 심부름을 하는 동안 그녀는 종종 마을 사람들에게 괴롭힘을 당한다.[1] 가족을 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유물을 묻고 나무에 물건을 못 박는 공감 마법을 행한다.[1] 가족 고양이 조나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있다.[1] 찰스를 불신하고 그가 가족의 재산을 훔치고 마을 사람들을 이용하여 그들을 공격하려 한다고 의심한다.[1] 마을 사람들을 피해 숨어 있는 동안 콘스턴스와의 대면에서 메리카트는 설탕 그릇에 독을 넣었다고 자백하며 자신이 진정한 살인자임을 드러낸다.[1]

2. 2. 콘스턴스 블랙우드

메리카트의 28세 언니로 광장 공포증이 있다. 가족이 사망한 이후 블랙우드의 넓은 정원 밖으로 나간 적이 없다. 가족 몰살 사건의 살인 혐의로 체포되었지만, 나중에 무죄로 풀려났다. 그러나 그녀는 여전히 지역 주민들에게 비난을 받고 있다. 콘스턴스는 가족 중 유일하게 요리와 청소를 하며, 삼촌 줄리안도 돌본다. 찰스가 그녀의 신뢰를 얻지만, 그녀는 결국 그를 탐욕스럽고 이기적인 사람으로 본다.[1]

2. 3. 줄리안 블랙우드

메리카트와 콘스턴스의 삼촌이자, 존 블랙우드의 형제이다. 가족 몰살 사건의 생존자로, 비소 중독에서 살아남았으나 이 사건으로 아내 도로시를 잃고 휠체어 신세가 되었다.[1] 다른 등장인물들은 줄리안을 "괴짜"라고 묘사하며, 그는 자신의 회고록을 위해 독살 사건에 대해 반복적으로 집착하여 쓰고 있지만, 주변 환경과 기억에 대해 자주 혼란스러워한다.[1] 맏조카 콘스턴스가 그를 돌보고 있으며, 둘 다 6년 동안 가족 소유지를 떠나지 않았다.[1]

2. 4. 찰스 블랙우드

찰스 블랙우드는 메리카트와 콘스턴스의 사촌이자 줄리안의 조카로, 존과 줄리안의 형제인 아서의 아들이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찰스는 블랙우드 저택을 방문하기 위해 도착하지만, 메리카트와 줄리안은 그를 신뢰하지 않으며 의문을 제기한다. 줄리안은 그가 가족의 재산을 훔치려 한다고 의심한다. 찰스는 콘스턴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기 시작하고 그녀의 순진함을 이용한다.[1]

3. 줄거리

메리카트는 위험한 변화가 다가오고 있다고 느꼈지만, 콘스턴스에게 경고하기도 전에 사촌 찰스가 방문한다.

저녁 식사 전날 밤, 콘스턴스가 메리카트를 손을 씻으라고 위층으로 보냈을 때, 메리카트는 화가 나서 찰스의 담뱃대를 신문이 가득 찬 쓰레기통에 밀어 넣는다. 이것은 곧 가족의 집을 삼켜버리는 대규모 화재를 일으킨다. 마을 사람들이 도착하여 불을 끄는 것을 돕지만, 그들은 블랙우드 가문에 대한 오랫동안 억눌린 적대감을 집을 파괴하고 약탈하는 것으로 분출한다. 메리카트와 콘스턴스는 마을 사람들의 위협을 받아 밖으로 쫓겨나 숲으로 도망치고, 줄리안은 화재 중 심부전으로 사망하고 찰스는 가족의 금고를 가져가려 한다.[1]

그날 밤, 메리카트와 콘스턴스는 메리카트가 은신처로 만든 나무 아래에서 몸을 숨긴다. 다음 날, 콘스턴스는 메리카트가 가족을 독살한 범인이라는 것을 항상 알고 있었다고 고백한다.[1]

3. 1. 고립된 삶

메리 캐서린 "메리카트" 블랙우드는 언니 콘스턴스와 병든 삼촌 줄리안과 함께 넓은 부지에 있는 대저택에서 인근 마을과 격리된 채로 살고 있다. 콘스턴스는 6년 동안 집 밖으로 한 발자국도 나가지 못했고, 넓은 정원을 벗어나지 않았다. 휠체어를 사용하는 줄리안 삼촌은 자서전을 위해 메모를 강박적으로 쓰고 고쳐 쓰는 반면, 콘스턴스는 그를 돌본다.[1]

6년 전, 콘스턴스와 메리카트의 가족들이 비소에 중독되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줄리안은 중독되었지만 살아남았다. 메리카트는 당시 저녁 식사 벌로 쫓겨나 집에 없었다. 설탕을 블랙베리에 넣지 않은 유일한 사람인 콘스턴스는 살인 혐의로 체포되어 기소되었지만 무죄로 풀려났다. 마을 사람들은 콘스턴스가 살인을 저지르고도 처벌을 면했다고 믿고 따돌렸다.[1]

그 후 남은 세 명의 블랙우드는 고립에 익숙해져 조용하고 행복한 삶을 살고 있다. 메리카트는 가족과 외부 세계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이다. 일주일에 두 번 마을로 걸어가 식료품과 도서관 책을 가져온다. 이 과정에서 마을 사람들의 적대감에 직접적으로 직면하고, 종종 독이 든 설탕에 대한 비난조의 노래를 부르는 아이들에게 놀림을 받는다. 메리카트는 언니를 보호하고 집 주변의 경계를 유지하는 공감 마법을 사용한다.[1]

3. 2. 찰스의 등장

사촌 찰스가 방문을 위해 나타나 집에 들어온다. 찰스는 빠르게 콘스턴스와 친밀한 관계를 맺고 그녀의 신뢰를 얻는다. 찰스는 메리카트의 적대감을 알고 점점 더 그녀에게 무례하게 대하고 줄리안의 약점에 참을성이 없어진다. 그는 자매들이 아버지의 금고에 넣어둔 돈에 대해 여러 번 언급하며 점차 콘스턴스와 동맹을 맺어 그녀가 집을 떠나도록 부추긴다. 메리카트는 찰스를 위협으로 인식하고 그를 집에서 내쫓기 위해 다양한 마법적이고 방해적인 수단을 시도한다. 삼촌 줄리안은 점점 더 찰스에게 혐오감을 느끼고 찰스가 블랙우드의 재산을 노리고 왔다고 의심한다.[1]

3. 3. 메리카트의 자백

메리카트는 언니 콘스턴스에게 자신이 비소를 이용해 가족들을 독살한 범인이라고 고백한다. 메리카트는 콘스턴스가 설탕을 먹지 않을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설탕 그릇에 독을 넣었다고 순순히 인정한다.[1]

3. 4. 파국과 새로운 시작

메리카트와 콘스턴스는 화재로 폐허가 된 블랙우드 저택으로 돌아와 남은 물건들을 챙긴다. 쓸 수 없을 정도로 망가진 방들을 닫아 버리고, 남은 좁은 공간에서 새로운 삶을 꾸려나가기 시작한다. 지붕이 사라진 집은 "하늘을 향해 탑이 솟아 있는" 성과 같은 모습이 되었다. 콘스턴스와 메리카트는 집을 뒤덮을 정도로 자라난 덩굴에 숨겨진 틈으로 바깥 세상을 몰래 지켜보며 많은 시간을 보낸다.[1]

마을 사람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죄책감을 느끼고 블랙우드 자매의 집 문 앞에 음식을 가져다 놓기 시작했으며, 그 집에 대한 민간 전승과 같은 이야기가 생겨났다. 찰스는 다시 한번 찾아와 콘스턴스와의 관계를 되돌리려 하지만, 콘스턴스는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블랙우드 자매는 세상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은 채, 단둘이 남겨지는 것을 택한다.[1]

4. 주제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의 주요 주제는 뉴잉글랜드의 작은 마을에서 '다름'을 보이거나 이방인이 된 사람들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박해이다. 이는 셜리 잭슨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주제이며, 힐 하우스의 유령해시계에서도 나타난다.[5] 조너선 레덤은 이러한 마을이 잭슨과 그녀의 남편 스탠리 에드가 하이먼이 "반사적인 반유대주의반지성주의"를 경험했던 버몬트주 노스 베닝턴과 닮아 있다고 말했다.[5]

잭슨의 작품은 "일상의 악과 광대한 친밀함"이 "마을, 가족,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묘함을 다룬다.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에서는 만연한 불안함과 기이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헌신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루어진다. 콘스탄스의 여동생과 그녀의 범죄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야기 전체에서 메리캣이 언니를 깊이 사랑하고 아낀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소설은 광장공포증에 대한 찬가로 묘사되기도 하며,[6] 작가 자신의 광장공포증과 신경 상태가 소설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7]

4. 1. 소외와 고립

셜리 잭슨의 소설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는 뉴잉글랜드의 작은 마을에서 '다름'을 가진 사람들에 대한 박해를 주요 주제로 다룬다. 이는 잭슨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주제로, 힐 하우스의 유령, 해시계 등에서도 나타난다. 이 작품들에서 주인공들은 넓은 부지에 홀로 있는 집에 살며, 마을 사람들과 물리적, 사회적, 이념적으로 분리되어 있다.[5]

조너선 레덤은 2006년 펭귄 클래식스 판 서문에서, 소설 속 마을이 잭슨과 남편 스탠리 에드가 하이먼이 "반사적인 반유대주의반지성주의"를 경험했던 버몬트주 노스 베닝턴과 유사하다고 언급했다.[5] 잭슨의 작품은 "일상의 악과 광대한 친밀함"이 "마을, 가족,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묘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특히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에서는 불안함과 기이함 속에서도 사랑과 헌신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루어진다. 콘스탄스의 여동생과 범죄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는 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메리캣이 언니를 깊이 사랑하고 아낀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소설은 잭슨의 전기 작가 주디 오펜하이머에 의해 "광장공포증에 대한 찬가"로 묘사되었으며,[6] 잭슨 자신의 광장공포증과 신경 상태가 소설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7]

잭슨은 두 주인공이 자신의 딸들을 자유롭게 허구화한 것이며, 메리캣과 콘스탄스가 "셜리 내면의 자아의 음과 양"이라고 언급했다.[8] 이 소설은 믿을 수 없는 화자에 의해 쓰였으며, 두 주인공이 외부인보다 서로를 더 선호하여 집에서 영원히 살기로 선택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레덤은 이를 메리캣의 "승리"라고 부른다.

4. 2. 광기와 정상성

이 소설의 주요 주제는 뉴잉글랜드의 작은 마을에서 '다름'을 보이거나 이방인이 된 사람들에 대한 마을 사람들의 박해이다. 이는 셜리 잭슨의 작품에서 반복되는 주제로, 힐 하우스의 유령해시계에서도 나타난다. 이 작품들에서 주요 등장인물들은 넓은 부지에 홀로 서 있는 집에 살며, 마을 사람들과 물리적, 사회적, 이념적으로 분리되어 있다.[5] 조너선 레덤은 이러한 마을이 잭슨과 그녀의 남편 스탠리 에드가 하이먼이 "반사적인 반유대주의반지성주의"를 경험했던 버몬트주 노스 베닝턴과 닮아 있다고 말했다.[5]

잭슨의 작품은 "일상의 악과 광대한 친밀함"이 "마을, 가족, 자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묘함을 다룬다. 특히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에서는 만연한 불안함과 기이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헌신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루어진다. 콘스탄스의 여동생과 그녀의 범죄에 대한 무비판적 태도는 정상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메리캣이 언니를 깊이 사랑하고 아낀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소설은 광장공포증에 대한 찬가로 묘사되기도 하며,[6] 작가 자신의 광장공포증과 신경 상태가 소설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7] 잭슨은 두 젊은 여성들이 자신의 딸들을 자유롭게 허구화한 버전임을 인정했고, 메리캣과 콘스탄스는 "셜리의 내면의 자아의 음과 양"이라고 언급되었다.[8] 이 소설은 믿을 수 없는 화자에 의해 쓰여졌으며, 두 주인공이 외부인들보다 서로를 더 선호하여 집에서 영원히 살아가기로 선택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4. 3. 여성 간의 유대

이 소설에서 콘스탄스는 여동생의 범죄에 대해 완벽하게 비판적이지 않은 태도를 보이며, 이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야기 전체에서 메리캣이 언니를 깊이 사랑하고 아낀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4. 4. 가족의 의미

The Haunting of Hill House영어와, 정도는 덜하지만 The Sundial영어에서도 이 테마는 이야기의 심리에 중심을 이룬다. 이 모든 작품에서, 주요 등장인물들은 넓은 부지에 홀로 서 있는 집에 살고 있으며, 마을의 주요 거주민들과 물리적, 사회적, 그리고 이념적으로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에서만, 이야기 전체에 걸쳐 만연한 불안함과 기이한 성격에도 불구하고, 사랑과 헌신에 대한 깊은 탐구가 이루어진다. 콘스탄스의 여동생과 그녀의 범죄에 대한 완벽한 무비판적 태도는 지극히 정상적이고 평범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야기 전체에서 메리캣이 언니를 깊이 사랑하고 아낀다는 것이 분명하게 드러난다.

이 소설은 잭슨의 전기를 쓴 주디 오펜하이머에 의해 "광장공포증에 대한 찬가"로 묘사되었으며,[6] 작가 자신의 광장공포증과 신경 상태가 소설의 심리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7] 잭슨은 이야기 속 두 젊은 여성들이 자신의 딸들을 자유롭게 허구화한 버전임을 기꺼이 인정했고, 오펜하이머는 메리캣과 콘스탄스가 "셜리의 내면의 자아의 음과 양"이라고 언급했다.[8] 교묘하게 단순한 언어로 쓰여진 이 소설은, 전적으로 믿을 수 없는 화자에 의해 쓰여졌으며, 두 주인공이 외부인들보다 서로를 더 선호하기 때문에, 집의 남은 세 방에서 영원히 살아가기로 선택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5. 평가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영어는 평론가들로부터 다양한 평가를 받았으며,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특히, 소설의 첫 문단은 독자를 사로잡는 강렬함으로 인해 "최고의 첫 문단" 중 하나로 언급되기도 한다.[12] 타임지는 이 소설을 1962년 "최고의 소설 10선" 중 하나로 선정했으며,[9] 북 매거진은 메리 캐서린 블랙우드를 1900년 이후 "최고의 소설 등장인물" 71위로 선정했다.[10] 굿 리즈에서는 독자 투표로 "1962년에 출판된 가장 인기 있는 책" 목록에서 4위를 기록했다.[11]

5. 1. 긍정적 평가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영어는 1962년 타임 매거진에서 "최고의 소설 10선"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9]

2002년 3월, 북 매거진은 메리 캐서린 블랙우드를 1900년 이후 "최고의 소설 등장인물" 71위로 선정했다.[10] 굿 리즈에서, 이 소설은 웹사이트 사용자들의 투표로 선정된 "1962년에 출판된 가장 인기 있는 책" 목록에서 4위를 기록했다.[11]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영어의 첫 문단은 어떤 소설의 "최고의 첫 문단"이라고 불린다. 그 언어는 "강압적"이라고 묘사되며, 독자들이 "계속 읽지 않을 수 없게" 만들 정도로 강력하다.[12]

5. 2. 부정적 평가

''우리는 언제나 성에 살았다''영어는 소설의 모호성, 비현실성, 불편한 주제 의식 등을 이유로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6. 각색

이 소설은 휴 휠러에 의해 1966년 연극으로 각색되어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되었으나, 11회 공연 후 막을 내렸다.[13] 2010년에는 애덤 보크와 토드 아몬드에 의해 예일 레퍼토리 극장에서 뮤지컬로도 각색되어 공연되었다.[14]

2009년 마이클 더글러스의 제작사 퍼더 필름스가 영화화 판권을 획득하여, 2018년 LA 영화제에서 초연, 2019년에 브레인스톰 미디어를 통해 개봉하였다.[15]

6. 1. 연극

휴 휠러가 1966년에 이 소설을 연극으로 각색했으며, 헤더 멘지스, 셜리 나이트, 앨런 웹이 출연했다. 이 연극은 1966년 10월 19일 에델 배리모어 극장에서 브로드웨이 초연을 가졌고, 10월 26일까지 총 11회 공연되었다.[13]

6. 2. 뮤지컬

애덤 보크와 토드 아몬드가 2010년 예일 레퍼토리 극장(코네티컷주 뉴헤이븐)에서 뮤지컬 버전을 무대에 올렸으며, 9월 23일부터 10월 9일까지 공연되었다.[14]

6. 3. 영화

2009년 8월, 마이클 더글러스의 제작사 퍼더 필름스는 이 소설의 영화화 판권을 획득했다. 마크 크루거가 각본을 쓰고 잭슨의 아들 로렌스 하이먼이 지원했다.[15] 영화는 퍼더 필름스와 알빈 미디어에서 제작했으며, 2016년 8월부터 9월까지 아일랜드 브레이와 더블린에서 촬영되었다. 스테이시 패슨이 감독을 맡고, 세바스찬 스탠이 찰스 역, 타이사 파미가가 메리카트 역, 알렉산드라 다다리오가 콘스탄스 역, 크리스핀 글러버가 줄리안 삼촌 역으로 출연했다.[16] 이 영화는 2018년 9월 22일 LA 영화제에서 초연되었고,[17][18] 2019년 5월 17일 브레인스톰 미디어에서 개봉했다.

참조

[1] 뉴스 Books—Authors https://timesmachine[...] The New York Times 1962-10-05
[2] 웹사이트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by Shirley Jackson on iBooks https://itunes.apple[...] 2006-10-31
[3] 간행물 The Haunted Mind of Shirley Jackson https://www.newyorke[...] 2016-10-17
[4] 웹사이트 "'Captain America's' Sebastian Stan to Star in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Movie" https://variety.com/[...] 2016-08-09
[5] 간행물 The Witchcraft of Shirley Jackson http://www.nybooks.c[...] 2009-10-08
[6] 서적 Private Demons: The Life of Shirley Jackson https://archive.org/[...] Columbine Trade 1989-05
[7] 웹사이트 Flavorwire Author Club: Shirley Jackson's Haunting Final Novel,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http://flavorwire.co[...] 2014-03-27
[8] 웹사이트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by Shirley Jackson – a house of ordinary horror https://www.theguard[...] 2015-12-21
[9] 서적 Shirley Jackson's American Gothic SUNY Press 2003-01-01
[10] 웹사이트 100 Best Characters in Fiction Since 1900 https://www.npr.org/[...] 2002-03
[11] 웹사이트 Most Popular Books Published in 1962 https://www.goodread[...] 2020-03-30
[12] 문서 A Close Reading of the Best Opening Paragraph of All Time https://getpocket.co[...] Literary Hub 2017-12-15
[13] 웹사이트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 Ethel Barrymore Theatre http://www.playbill.[...]
[14] 뉴스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bows at Yale Rep" http://www.ctpost.co[...] 2010-09-21
[15] 웹사이트 Further Films visits the 'Castle' http://www.hollywood[...] 2009-08-17
[16] 웹사이트 Alexandra Daddario, Taissa Farmiga Join Sebastian Stan in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http://www.hollywood[...] 2016-08-10
[17] 웹사이트 LA Film Festival to Open With Music Doc 'Echo in the Canyon' https://www.hollywoo[...] 2018-08-15
[18] 웹사이트 We Have Always Lived in the Castle https://tickets.laf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