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와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와정은 일본 에히메현에 위치했던 자치체로, 현재는 세이요시에 통합되었다. 히지강 상류의 우와 분지와 주변 산간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벼농사가 이루어지는 농촌 지역이다. 중세 시대부터 '우와'라는 이름으로 존재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우와지마 번의 영지였다. 1889년 우노 정, 오니쿠보 촌, 이가가미 촌이 합병하여 우와정이 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합병을 거쳐 2004년 세이요시에 편입되어 소멸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요산 선 철도, 국도 56호선 등이 있으며, 에히메현립 우와 고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특산품으로는 우와 쌀, 밤, 귤 등이 있으며, 관광 명소로는 구개명학교, 에히메현 역사문화박물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히가시우와군 - 다노스지촌
다노스지 촌은 1889년 4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된 일본 에히메현의 촌으로, 우와 분지 동부에 위치하며 쌀을 주요 농산물로 생산했고, 1955년 우와정에 편입되었으며 아카시 사찰이 있다. - 히가시우와군 - 노무라정
노무라정은 에히메현 남서부에 위치했던 지방 자치체로, 2004년 세이요시에 합병되어 소멸되었으며, 시코쿠 산맥에 둘러싸여 히가시가와 강을 따라 마을이 형성되었고, 주요 산업은 양잠이었으며 1975년 노무라 댐이 완공되었다. - 세이요시의 역사 - 다노스지촌
다노스지 촌은 1889년 4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된 일본 에히메현의 촌으로, 우와 분지 동부에 위치하며 쌀을 주요 농산물로 생산했고, 1955년 우와정에 편입되었으며 아카시 사찰이 있다. - 세이요시의 역사 - 니시우와군
니시우와군은 에히메현에 위치했던 군으로, 여러 차례의 합병과 분리를 거쳐 2005년 이가타정으로 합병되면서 소멸되었다. - 에히메현의 폐지된 시정촌 - 다노스지촌
다노스지 촌은 1889년 4개 촌이 합병하여 성립된 일본 에히메현의 촌으로, 우와 분지 동부에 위치하며 쌀을 주요 농산물로 생산했고, 1955년 우와정에 편입되었으며 아카시 사찰이 있다. - 에히메현의 폐지된 시정촌 - 나가하마정 (에히메현)
에히메현에 위치했던 나가하마정은 히카와 강 하구에 자리 잡아 목재 집산지로 번영했으며, 장항대교와 시코쿠 여객철도 요산선 등의 교통망과 즈이류지의 목조 십일면관음입상 등의 문화재를 보유했으나, 2005년 합병으로 소멸하였다.
우와정 | |
---|---|
지리 정보 | |
기본 정보 | |
자치체 명칭 | 우와 정 |
한자 표기 | 宇和町 |
가나 표기 | うわちょう |
폐지일 | 2004년 4월 1일 |
폐지 사유 | 신설 합병 |
폐지 상세 | 우와 정, 노무라 정, 시로카와 정, 아케하마 정, 미카메 정 → 세이요 시 |
현재 자치체 | 세이요 시 |
위치 | 에히메 현 히가시우와 군 |
면적 | 132.53 |
인구 | 17,550 (2000년 10월 1일 기준) |
우편 번호 | 797-8501 |
주소 | 히가시우와 군 우와 정 우노마치 3초메 434번지 |
인접 자치체 | 오즈 시 야와타하마 시 니시우와 군 미카메 정 히가시우와 군 노무라 정, 아케하마 정 기타우와 군 요시다 정 (에히메 현), 미마 정 |
나무 | 檜 |
꽃 | 렌게 |
기 및 문장 | |
![]() | |
![]() | |
상징 | |
나무 | 檜 |
꽃 | 렌게 |
기타 정보 | |
참고 자료 | |
![]() |
2. 지리
肱川(히지 강) 상류의 우와분지와 그를 둘러싼 산간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분지는 해발 200~400m 정도, 주위 산들은 400~800m 정도의 높이이다.
산간 분지로, 여름에는 해안 지역보다 다소 서늘하고 겨울에는 눈이 내리기도 한다. 벼 수확 후 논에 짚 인형인 와라구로/わらぐろ일본어를 만드는 풍습이 있으며, 눈 덮인 풍경과 함께 관광 사진에 자주 등장한다. 안개가 자주 발생하며, 분지 특유의 일교차와 함께 쌀의 맛을 좋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3]
2. 1. 기후
우와정은 온난한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기온은 15°C 내외이다.[1][2]3. 역사
중세에는 '우와'라는 이름은 이요국에 14개 군이 놓였을 때부터 찾아볼 수 있다.
에도 시대에는 우와지마 번의 영지로, 다다 조와 야마다 조에 속했다. 순수한 농촌 지대로서 번의 곡창 역할을 하였으며, 또한 가도변의 역참 마을로 발전하였다.
3. 1. 연표
- 중세에는 이요국에 14개 군이 설치되면서 '우와'라는 이름이 나타났다.
- 에도 시대에는 우와지마 번의 영지였다. 다다구미와 야마다구미에 속했다. 순수한 농촌 지역으로서 번의 미곡 창고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또한 가도변의 역참 마을로서 발전했다.
- 1651년(경안 4년) - 구로세 성 산록에 형성되어 있던 마쓰바마치를 다이넨지 산록으로 옮겨 역참 마을을 형성했다. 후에 마쓰바마치는 우노마치로 개칭되었다.
- 1833년(덴포 4년) - 니노미야 쿄사쿠가 우노마치에서 개업했다.
- 1863년(분큐 3년) - 신기당 개설(학교의 시작).
- 1870년(메이지 3년) - 신기당이 우와 향교가 되었다.
- 1872년(메이지 5년) - 개명학교가 개설되었다.
- 1889년(메이지 22년) 12월 15일 - 정촌제 시행에 따라 우노 정, 오니쿠보 촌, 이가가미 촌이 합병하여 동우와군 '''우와정'''이 성립되었다. 구사에 촌, 노다 촌, 오노다 촌, 에이나가 촌, 가미마쓰바 촌, 시모마쓰바 촌이 합병하여 동우와군 '''가미우와 촌'''이 성립되었다.
- 1890년(메이지 23년) 호케쓰 고개 도로 개량이 시작되었다.
- 1895년(메이지 28년) - 에이나가 지역을 시작으로 농지 정리가 시작되었다. 다이쇼 시대에 거의 완료되었다.
- 1922년(다이쇼 11년) 2월 11일 - 가미우와 촌과 합병하여 '''우와정'''이 되었다.
- 1941년(쇼와 16년) - 우노마치역 - 우와지마역 간 철도가 개통되었다.
- 1945년(쇼와 20년) - 우노마치역 - 하치만하마역 간 철도가 개통되었다.
- 1954년(쇼와 29년) 3월 - 다다무라, 나카가와무라, 이시키무라, 시모우와무라, 타노스지무라와 합병하여 신제 '''우와정'''이 발족했다.
- 1958년(쇼와 33년) - 오즈시의 일부(도리사카 및 쇼신)를 편입했다.
- 1970년(쇼와 45년) - 호케쓰 터널, 도리사카 터널이 개통되었다.
- 2004년(헤이세이 16년) 4월 1일 - 히가시우와군 4개 정(우와정·아케하마정·노무라정·시로카와정) 및 니시우와군 미카메정과 합병하여 '''세이요시'''가 성립되었다. 우와정은 자치단체로서 소멸했다.
3. 1. 1. 중세 이전
중세에는 이요국에 14개 군이 설치되면서 '우와'라는 이름이 나타났다.3. 1. 2. 근세
1651년(게이안 4년) - 구로세 성의 산록에 형성되어 있던 마쓰바 정을 다이묘지 산록으로 옮겨 역참 마을을 형성하였다. 후에 마쓰바 정은 우에노 정으로 개칭되었다.1833년(덴포 4년) - 니노미야 게이사쿠가 우에노정에서 개업하였다.
1863년(분큐 3년): 신기당 개설 (학교의 시작).
3. 1. 3. 메이지 이후
- 1870년(메이지 3년) - 신기당이 우와 향교가 되었다.
- 1872년(메이지 5년) - 개명학교가 개설되었다.
- 1889년(메이지 22년) 12월 15일 - 정촌제 시행에 따라 우노 정, 오니쿠보 촌, 이가가미 촌이 합병하여 동우와군 '''우와정'''이 성립되었다. 구사에 촌, 노다 촌, 오노다 촌, 에이나가 촌, 가미마쓰바 촌, 시모마쓰바 촌이 합병하여 동우와군 '''가미우와 촌'''이 성립되었다.
- 1890년(메이지 23년) 호케쓰 고개 도로 개량이 시작되었다.
- 1895년(메이지 28년) - 에이나가 지역을 시작으로 농지 정리가 시작되었다. 다이쇼 시대에 거의 완료되었다.
- 1922년(다이쇼 11년) 2월 11일 - 가미우와 촌과 합병하여 '''우와정'''이 되었다.
- 1941년(쇼와 16년) - 우노마치역 - 우와지마역 간 철도가 개통되었다.
- 1945년(쇼와 20년) - 우노마치역 - 하치만하마역 간 철도가 개통되었다.
3. 1. 4. 우와 정 성립 이후
4. 행정
헤이세이 시대의 시정촌 합병에서 히가시우와 군에서 인구가 가장 많고, 철도와 간선 국도가 있어 교통의 중심지였던 우와 정은 합병에 적극적이었다. 합병 협의 과정에서도 청사 등이 본 정에 위치하는 것은 확실하다고 여겨졌지만, 다른 정촌에 대한 배려도 소홀히 하지 않고, 과도하게 자기 주장을 하지 않아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5. 교육
에히메현립 우와 고등학교가 있다.
6. 교통
6. 1. 철도
시코쿠 여객철도(JR 시코쿠) 요산 선이 우와 정을 지난다. 이요이와키 역 - 가미우와 역 - 우노마치 역 - 시모우와 역 구간을 운행하며, 우노마치 역은 마쓰야마 역 - 우와지마 역 간 특급 '우와카이'가 정차하는 중심역이다. 장거리 통근자나 출장객도 자주 이용하며, 주변에는 대규모 주차장이 있다. 다른 역들은 보통열차만 정차하는 전형적인 지역 역이다.6. 2. 도로
국도 56호선은 우와 정을 남북으로 관통하는 주요 국도로, 도로변에는 주유소와 대형 슈퍼마켓이 다수 입점해 있다. 현도 제25호, 현도 제29호, 현도 제30호, 현도 제45호도 우와 정을 지난다.구 정 시대에는 정내에 고속도로가 없었으나, 사이요시가 된 직후인 2004년 4월 17일에 마쓰야마 자동차도 사이요우와 나들목이 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이전에는 자동차로 2시간 정도 걸리던 마쓰야마시까지의 접근 시간이 절반으로 단축되었다.
6. 3. 버스
우와지마 자동차는 미카메, 아케하마, 오즈, 우와지마, 노무라 등 인근 지역을 운행한다. 과거에는 JR 버스가 노무라 방면 등 일부 지역을 담당했지만, 이용객 감소로 1997년에 철수하여 우와지마 자동차의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7. 출신 인물
가시모토 마나부(만화가)는 학급왕 야마자키, 고로케! 등을 대표작으로 하는 만화가이다. 야마구치 마이코는 조금만 더 힘냅시다 등을 그린 만화가이다. 코노 미라이는 2016년부터 아이테레비 소속으로 활동하는 아나운서이다.
8. 특산품 및 특산 과자
우와정은 남예 지방에서 쌀 산지로 알려진 우와 쌀이 특산품이다. 밤, 귤, 포도 등도 재배하며, 수확 시기에는 유료 체험 농장을 운영하는 농가도 많다. 이나미 게이사쿠(니노미야 게이사쿠)에서 유래한 일본 전통 과자인 게이사쿠 떡과 야마다야 만주도 우와정의 특산 과자이다. 야마다야 만주의 본사 공장은 마쓰야마시에 있지만, 남예 지방에서 전국으로 홍보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9. 관광 명소
구개명학교(開明学校)는 흰 벽과 아치형 창문이 특징이며, 나가노현의 구 개지학교(旧開智学校)와 자매 학교이다.[3] 다카노 나가히데(高野長英)의 은신처는 나카마치(中町)에 있으며, 나가히데가 숨어 살았다고 전해진다. 에히메현 역사문화박물관(愛媛県歴史文化博物館)이 있다. 쌀 박물관은 구 우와 정 소학교 교사였으며, 109m 긴 복도에서 걸레질 경주 'Z-1 그랑프리'가 개최된다.[3] 덮밥관(どんぶり館)은 특산품 판매장으로, 도로역(道の駅)으로 등록되어 있다. 간논수(観音水)는 명수백선(名水百選)에 선정되었으며, 4월부터 9월까지 소면 흘리기가 진행된다. JR 우노마치역(卯之町駅)에는 여름에는 풍경(風鈴), 겨울에는 사랑의 큰 화로(火鉢)가 설치된다. 메이세키지(明石寺)는 시코쿠 88개소(四国八十八箇所) 영장 43번째 참배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MA
2022-03-03
[2]
웹사이트
https://www.data.jma[...]
JMA
2022-03-03
[3]
간행물
【ニッポン探景】旧宇和町小の長い廊下(愛媛県西予市)教育熱 町の歴史の象徴
読売新聞
2019-1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