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수폭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주 수폭전》은 1955년에 개봉한 미국 SF 영화로, 핵물리학자 칼 미첨 박사가 외계 행성 메탈루나의 엑세터라는 인물과 만나 자곤과의 전쟁에서 우라늄 부족으로 위기에 처한 메탈루나를 돕는 내용이다. 엑세터는 지구를 지배하려는 음모를 꾸미지만, 미첨 박사와 루스 아담스 박사를 돕고 멸망하는 메탈루나와 운명을 함께 한다. 이 영화는 특수 효과와 메탈루나 뮤턴트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이후 여러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행성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토르: 라그나로크
2017년 개봉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 《토르: 라그나로크》는 토르가 헬라에 맞서 싸우며 헐크, 발키리 등과 만나 새로운 힘을 각성하지만, 아스가르드는 멸망하고 생존자들은 지구로 향하던 중 타노스의 우주선과 마주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 가공의 행성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에이리언: 로물루스
2142년, 웨이랜드-유타니 탐사선이 노스트로모호 잔해에서 발견한 고치에서 시작된 《에이리언: 로물루스》는 잭슨 행성 광부 레인 캐러딘과 동료들이 낡은 기지 '르네상스'에서 제노모프, 페이스허거, 체스트버스터, 오프스프링과 사투를 벌이는 이야기로, 실제 특수효과, 연기, 긴박한 전개로 호평받았으나 디지털 복원 논란과 함께 흥행에도 성공했다. - 1955년 영화 - 아카딘 씨
오슨 웰스가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1955년 영화 아카딘 씨는 백만장자 그레고리 아카딘이 자신의 과거를 숨기기 위해 고용한 밀수업자를 통해 어두운 비밀을 감추려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다양한 등장인물과 여러 편집본 존재, 웰스의 창작 통제권 상실 등이 특징이다. - 1955년 영화 - 마티 (영화)
1955년 델버트 맨 감독의 영화 《마티》는 브롱크스에 사는 34세 이탈리아계 미국인 정육점 주인 마티가 댄스홀에서 만난 평범한 여교사 클라라와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로, 아카데미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각색상과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 SF 소설의 영화화 작품 - 클라우드 아틀라스 (영화)
《클라우드 아틀라스》는 2012년 개봉한 영화로, 1849년부터 2321년까지 시대를 넘나들며 옴니버스 형식으로 여러 인물들의 삶을 엮어 인류의 연결성, 윤회, 자유 의지를 탐구한다. - SF 소설의 영화화 작품 - 도서관 전쟁
《도서관 전쟁》은 미디어 양화법이라는 가상 검열법 하에서 도서관의 자유를 지키는 도서대원들의 이야기로, 주인공 카사하라 이쿠가 도서 특수부대에서 동료들과 함께 싸우며 성장하는 과정과 로맨스, 도서관 자유를 둘러싼 갈등을 그리고 있으며, 다양한 미디어 믹스로 제작되었다.
우주수폭전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조지프 M. 뉴먼 잭 아널드 (미등록) |
제작자 | 윌리엄 앨런드 |
각본 | 프랭클린 코엔 에드워드 G. 오캘러건 |
원작 | 레이먼드 F. 존스의 1952년 소설 This Island Earth |
출연 | 제프 모로 페이스 도머그 렉스 리즌 |
음악 | 조지프 거션슨 (감독) |
미등록 음악 | 헨리 맨시니 한스 J. 살터 허먼 스타인 |
촬영 | 클리포드 스타인 |
편집 | 버질 보글 |
스튜디오 | 유니버설-인터내셔널 |
배급사 | 유니버설-인터내셔널 |
개봉일 | }} |
상영 시간 | 86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80만 달러 (추정) |
2. 줄거리
저명한 핵물리학자인 칼 미첨 박사는 빌린 록히드 T-33 슈팅스타 제트기를 타고 자신의 연구실로 돌아가던 중이었다. 착륙 직전 엔진 고장으로 추락 위기에 처했으나, 기체를 감싼 불가사의한 녹색 광선 덕분에 무사히 착륙한다.
이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지구인 과학자들과 외계 행성 메탈루나에서 온 존재들이다.
연구실에 도착한 미첨 박사는 주문한 적 없는 특이한 전자 축전기 부품들이 배달된 것을 발견한다. 이 부품들은 미지의 파괴 불가능한 물질로 만들어진 듯 보였고, 함께 온 설명서를 통해 '인터로시터'라는 복잡한 통신 장치를 조립하게 된다. 미첨 박사나 그의 조수 조 윌슨 모두 들어본 적 없는 장치였지만, 그들은 즉시 조립에 착수한다. 장치가 완성되자 인터로시터 화면에 엑세터라는 의문의 남자가 나타나, 미첨 박사가 시험을 통과했으며 자신의 특별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할 자격이 있음을 알린다. 이후 엑세터는 원격으로 인터로시터를 파괴한다.
호기심과 불안감을 동시에 느낀 미첨 박사는 엑세터의 지시에 따라 안개 낀 공항에서 창문 없는 무인 더글러스 DC-3 항공기에 탑승한다. 조지아주의 외딴 지역에 도착한 그는 그곳에서 옛 연인이었던 루스 아담스 박사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저명한 과학자들을 만난다. 하지만 루스가 자신을 알아보지 못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자, 칼은 엑세터와 그의 조수 브래크를 의심하기 시작한다. 감시가 소홀한 틈을 타 아담스와 또 다른 과학자 스티브 칼슨은 미첨에게 자신들의 의구심을 털어놓는다.
미첨과 아담스는 칼슨과 함께 탈출을 시도하지만, 그들의 차는 공격을 받고 칼슨은 목숨을 잃는다. 미첨과 아담스는 스틴슨 108 경비행기를 타고 이륙하여 연구 시설 전체가 소각되는 것을 목격한다. 그러나 그들의 비행기는 곧 밝은 녹색 광선에 이끌려 거대한 비행 접시 안으로 끌려 들어간다. 비행 접시 안에서 엑세터는 자신들이 메탈루나 행성에서 왔으며, 자곤 행성과의 오랜 전쟁으로 위기에 처해 있다고 설명한다. 메탈루나인들은 행성 방어막으로 자곤의 공격을 막고 있었지만, 방어막 가동에 필요한 우라늄이 고갈되어 가고 있었다. 그들은 지구의 과학자들을 이용해 납을 우라늄으로 변환하려 했으나 시간이 부족했던 것이다. 엑세터는 미첨과 아담스를 메탈루나로 데려가기로 결정하고, 행성 간의 기압 차이에 적응시키기 위해 특수 캡슐에 넣는다.
그들은 무사히 메탈루나에 도착하지만, 행성은 이미 자곤 우주선들이 유도하는 유성 폭탄 공격으로 격렬한 폭격을 받고 있었다. 행성의 방어막인 '이온화 층'은 거의 무력화되었고, 전쟁은 마지막 국면에 접어든 상태였다. 메탈루나의 지도자인 '모니터'는 미첨과 아담스에게 메탈루나인들이 지구로 이주하여 지구를 지배할 계획임을 밝힌다. 그는 두 지구인이 이 계획에 복종하도록 '사고 전이 장치'를 통해 정신 개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지구 정복 후 인류 전체의 운명이 될 것임을 암시한다. 엑세터는 이러한 계획이 비도덕적이며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미첨과 아담스가 정신 개조 장치로 보내지기 직전, 엑세터는 그들의 탈출을 돕는다. 탈출 과정에서 엑세터는 돌연변이 경비병의 공격을 받아 심각한 부상을 입는다. 그들이 비행 접시를 타고 메탈루나를 떠나는 동안, 행성의 이온화 층은 완전히 붕괴된다. 끊임없는 자곤의 폭격으로 메탈루나는 점점 뜨거워져 결국 생명체가 살 수 없는 불타는 태양과 같은 행성으로 변해버린다. 한편, 비행 접시에 몰래 타고 있던 돌연변이 경비병이 루스를 공격하지만, 지구 대기권으로 진입하면서 발생한 기압 차이로 인해 죽는다.
지구 대기권에 거의 도달했을 때, 엑세터는 미첨과 아담스를 그들이 타고 왔던 스틴슨 경비행기에 태워 돌려보낸다. 자신은 죽어가고 있으며 비행 접시의 에너지도 거의 고갈되었다는 이유로 함께 가기를 거부한다. 미첨과 아담스가 탄 비행기가 멀어지자, 엑세터가 탄 비행 접시는 바다 위를 빠르게 날아가 화염에 휩싸인 채 추락하여 폭발한다.
3. 등장인물
핵심 인물은 유능한 물리학자 '''칼 미첨 박사'''와 그의 옛 연인이자 동료 과학자인 '''루스 아담스 박사'''이다. 이들은 메탈루나 행성에서 온 '''엑시터'''라는 인물에게 이끌려 미스터리한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다. 엑시터는 자신의 행성이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구 과학자들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만, 메탈루나의 지도자인 '''모니터'''는 다른 의도를 가지고 있다. 이들 외에도 칼의 조수 '''조 윌슨''', 동료 과학자 '''스티브 칼슨''', 엑시터의 조수 '''브래크'''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3. 1. 주연
기타후지모토 조
이시모리 타츠유키
이토 히로시
테라시마 미키오
타카무라 쇼코연출 야마다 에츠시 번역 야마다 미노루 효과 조정 제작 글로비전 해설 초회 방송 1975년10월 24일
『골든 양화 극장』
21:00-22:541969년10월 11일
『토요 영화 극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