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우즈베키스탄의 기독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즈베키스탄의 기독교는 역사적으로 동방 기독교가 존재했으나, 14세기 전염병과 이슬람교 개종으로 쇠퇴했다. 1867년 러시아 제국 점령 이후 러시아 정교회가 다시 전파되었으며, 2020년에는 인구의 약 2.2%가 정교회 신자였다. 개신교 신자는 0.15% 미만이며, 다양한 교단이 존재한다. 여호와의 증인은 법적 등록이 제한된 상태이다. 2005년부터 2020년까지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는 우즈베키스탄을 "주요 우려 대상"으로 지정했으나, 2019년 정부의 조치로 "관심 대상"으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즈베키스탄의 기독교
기본 정보
기독교 십자가
기독교 십자가
위치우즈베키스탄
종교기독교
기독교인 수약 345,000명
기독교 비율1% 이상
교파
주요 교파러시아 정교회
개신교 (침례교, 오순절교회, 장로교 등)
기타 교파로마 가톨릭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기타 소수 교파
역사
초기 기독교초기 기독교 공동체 존재 (사도 시대부터)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전파
러시아 제국 시대러시아 정교회 영향력 확대
소련 시대종교 탄압
독립 이후종교 자유 제한적인 보장, 선교 활동 규제
법적 지위
헌법헌법상 종교의 자유 보장 (제31조)
"모두는 양심의 자유를 보장받는다. 각자는 어떤 종교를 믿거나, 믿지 않을 권리가 있다. 종교적 견해를 강요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O'zbekiston Respublikasi Konstitutsiyasi)
종교 단체 등록정부의 엄격한 규제 하에 등록 필요
선교 활동불법적인 선교 활동 금지
박해
박해 지수오픈도어즈 "세계 기독교 박해 순위"에서 높은 순위 기록
박해 유형정부의 감시 및 통제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의 위협
사회적 차별 및 혐오
주요 박해 사례기독교 서적 압수 및 반입 금지
교회 건물 폐쇄
기독교인 구금 및 처벌
추가 정보
관련 사이트오픈도어즈 우즈베키스탄

2. 역사

역사적으로 우즈베키스탄 지역에는 합성론과 관련된 네스토리우스파나 야곱파 등 동방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다.[16][3] 그러나 14세기경 전염병의 확산과 이슬람교로의 개종, 그리고 티무르 제국 시기 티무르와 그의 손자 울루그 베그의 박해 등으로 인해 기독교 공동체는 점차 쇠퇴하였다.[16][3] 이 지역 기독교 쇠퇴의 정확한 과정에 대해서는 신뢰할 만한 기록이 부족하여 불분명한 점이 많다.[16][3]

1867년 러시아 제국이 우즈베키스탄을 점령하면서 러시아 정교회의 형태로 기독교가 다시 전파되었다. 주로 러시아 및 유럽 출신 이주민들을 위해 주요 도시들에 정교회 교회가 세워졌다.[16][3]

현대에 이르러 우즈베키스탄의 기독교 신자 대부분은 러시아 정교회 소속이며, 주로 민족적으로 러시아인이다.[17][2] 그러나 이들의 해외 이주 등으로 인해 정교회 신자의 비율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8] 한편, 우즈베키스탄의 종교 자유 상황은 국제적인 관심을 받아왔으며, 과거 미국 국무부 등에 의해 우려 대상으로 지정되기도 했으나, 최근 일부 개선 조치가 이루어지기도 했다.[19][20]

2. 1. 이슬람 이전

역사적으로 우즈베키스탄 지역에는 이슬람 전파 이전에 동방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다. 이들은 주로 동방 교회의 네스토리우스파(아시리아 동방 교회)나 시리아 정교회(역사적으로 단성설과 연관된 야곱파) 신자들이었다.[16][3][11] 이슬람 왕조가 들어선 초기에는 비교적 신앙의 자유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14세기경부터 기독교는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3][11]

쇠퇴의 주요 원인으로는 먼저 해당 지역에 퍼진 전염병으로 인해 기독교 공동체 인구가 크게 감소한 점을 들 수 있다.[16][3] 살아남은 이들 중 일부는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이슬람교로 개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3] 또한, 1400년티무르 제국티무르가 기독교에 대한 대규모 탄압을 시행하면서 정치적 상황이 크게 악화되었다.[16][3][11] 결국 사마르칸트중앙아시아에 남아있던 마지막 기독교 공동체는 티무르의 손자인 울루그 베그의 박해로 인해 거의 사라졌으며, 그가 마지막 교회들을 파괴했다고 전해진다.[16][3][11]

그러나 이러한 쇠퇴 과정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기록이 부족하여, 우즈베키스탄 지역 동방 기독교의 소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전히 불분명한 부분이 많다.[16][3]

2. 2. 이슬람 왕조의 침략과 기독교의 쇠퇴

역사적으로 우즈베키스탄 지역에는 합성론과 연관된 네스토리우스파나 야곱파 등 동방 기독교 공동체가 존재했다.[16][3] 14세기경 지역에 퍼진 전염병으로 인해 기독교 공동체의 인구가 크게 줄어들면서 기독교는 자연스럽게 쇠퇴하기 시작했다.[16][3] 살아남은 기독교인들은 경제적인 이유로 이슬람교로 개종했을 것으로 추정된다.[16][3]

티무르 제국 시기에 기독교를 둘러싼 정치적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16][3] 특히 1400년티무르는 자신의 제국 내에서 기독교에 대한 대규모 탄압을 실시했으며, 이 시기를 거치며 기독교 신자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11] 사마르칸트중앙아시아에 남아 있던 마지막 기독교인들은 티무르의 손자인 울루그 베그에 의해 박해를 받았고, 마지막 교회들도 그에 의해 파괴되었다고 전해진다.[16][3][11]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 대한 신뢰할 만한 기록이 부족하여, 우즈베키스탄 지역에서 기독교가 정확히 어떻게 쇠퇴하였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전히 불분명하다.[16][3]

2. 3. 러시아 제국 시대

1867년 러시아 제국우즈베키스탄을 점령한 이후, 기독교러시아 정교회의 형태로 다시 보급되었다. 러시아와 유럽에서 온 이주민 및 장교들을 위해 주요 도시에는 러시아 정교회 교회가 세워졌다.[16][3]

2. 4. 현대

1867년 러시아 제국이 우즈베키스탄을 점령한 이후, 러시아 정교회 형태로 기독교가 다시 전파되었다. 주로 러시아인과 유럽 출신 이주민 및 장교들을 위해 큰 도시에는 정교회 교회가 세워졌다.[16][3]

2009년 미국 국무부 자료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약 5%가 정교회를 믿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민족적으로 러시아인이다.[17][12] 2010년 퓨 리서치 센터는 인구의 2.5%가 정교회를 믿는다고 발표했다.[13][1]

그러나 정교회 신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2019년 중반 미국 국무부는 우즈베키스탄 인구의 약 93% ~ 94%가 이슬람교를 믿는 반면, 러시아 정교회 신자는 3.5%에 불과하다고 보고했다. 이는 러시아인 등 정교회 신자들의 해외 이주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18] 2020년 조사 결과에서는 기독교 인구가 전체의 약 2% (약 34만 5천 명)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4] 같은 해 정부 통계에서도 정교회 신자는 인구의 2.2%이며, 대부분 민족 러시아인이라고 밝혔다.[2]

정교회 외에도 약 4,000명의 로마 가톨릭 신자가 우즈베키스탄에 거주하고 있다.[4]

한편, 우즈베키스탄의 종교 자유 상황은 국제적인 감시 대상이 되어 왔다. 2006년 법 개정으로 종교 서적을 인쇄한 자에게 최대 3년의 징역형을 부과할 수 있게 되면서, 일부 기독교 신자들은 이를 박해로 여기기도 했다.[12]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USCIRF)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을 "특별 우려 대상 국가"(en: Country of Particular Concern, CPC)로 지정하였다.[19] 그러나 2019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경찰 등 사법 집행 기관의 종교 공동체 급습 및 탄압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는 등 일부 개선 노력을 보이자, USCIRF는 우즈베키스탄을 CPC 명단에서는 제외하고 "특별 감시 목록"(en: Special Watch List, SWL)에 포함시켰다.[19][20]

3. 개종

2015년 연구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기독교 신자 중 약 1만 명은 이슬람교 배경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대부분은 복음주의파 또는 카리스마파 개신교 공동체에 속해 있다.[21][5] 무슬림 배경 출신 기독교인들은 외딴 지역에서 강한 압력을 받고 있다.[2]

4. 개신교

개신교를 믿는 신자는 전체 인구의 1% 미만이다.

4. 1. 교단

개신교를 믿는 신자는 전체 인구의 1% 미만이며, 2020년 기준으로는 약 0.15%를 차지했다.[6] 복음주의 루터교회는 우즈베키스탄 내에 7개의 교구를 두고 있다. 주교좌는 타슈켄트에 있으며, 시노드 의장은 길다 라즈포포바이다.

4. 2. 주요 교파

개신교를 믿는 신자는 전체 인구의 1% 미만이다. 우즈베키스탄 내 주요 개신교 교파는 다음과 같다.

  • 우즈베키스탄 침례교 연합
  • 러시아, 우크라이나, 카자흐스탄 및 중앙아시아 복음주의 루터교회 (루터교)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의 여러 개신교 교단들도 우즈베키스탄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특히 고려인들을 중심으로 선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대표적인 한국 관련 교단은 다음과 같다.

또한 고려인 사회를 중심으로 형성된 교파들도 존재한다.

루터교의 경우, 우즈베키스탄에는 7개의 복음 루터교 교구가 있다. 감독의 자리는 타슈켄트에 있으며, 교회 회의 의장은 길다 라즈포포바이다.

5. 여호와의 증인

여호와의 증인우즈베키스탄이 1991년 독립 국가가 되기 수십 년 전부터 우즈베키스탄에 존재해 왔다. 1992년 이후 우즈베키스탄 당국은 치르치크에 있는 한 곳을 제외하고 모든 여호와의 증인 회중의 법적 등록을 거부하고 있다.[22][23][24][7][8][9] 치르치크에만 약 500명 이상의 신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우즈베키스탄 법에 따르면, 여호와의 증인왕국회관에서만 모임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종교 선전은 금지된다.[25][10]

6. 종교의 자유

미국 국제 종교 자유 위원회(USCIRF)는 2005년부터 2020년까지 우즈베키스탄을 종교 자유 침해가 심각한 '주요 우려 대상 국가'(Country of Particular Concern, CPC)로 지정하였다. 그러나 2019년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경찰 등 사법 집행 기관의 종교 공동체 급습 및 탄압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면서 상황 개선의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그 해 8월 USCIRF가 지적했던 문제이기도 했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 USCIRF는 우즈베키스탄의 지정 등급을 '주요 우려 대상 국가'에서 한 단계 낮은 '특별 감시 목록'(Special Watch List, SWL) 국가로 변경하였다.

미국 국무부 역시 우즈베키스탄을 특별 감시 대상 국가 목록에 포함시킨 바 있다.[12]

한편, 2006년에 개정된 법률에 따라 종교 관련 서적을 인쇄할 경우 최대 3년의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게 되었다.[12] 이러한 법 조항은 우즈베키스탄 정부가 기독교 신자들을 박해하는 근거가 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Religions in Uzbekistan {{!}} PEW-GRF http://www.globalrel[...] 2020-06-06
[2] 웹사이트 Uzbekistan US State Dept 2022 report https://www.state.go[...]
[3] 서적 Nestorian Christianity in Central Asia
[4] 웹사이트 Catholics and Culture website https://www.catholic[...] 2023-08-08
[5] 논문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10-30
[6] 웹사이트 The ARDA website https://www.thearda.[...] 2023-08-08
[7] 웹사이트 Legal & Human Rights Facts: Jehovah's Witnesses in Uzbekistan https://www.jw.org/e[...]
[8] 웹사이트 Jehovah's Witness Delegation Visits Uzbekistan | Eurasianet https://eurasianet.o[...]
[9] 간행물 European Association of Jehovah's Christian Witnesses, Statement dated October 2012 https://www.osce.org[...]
[10] 웹사이트 "Stay Neutral." Life of Jehovah's Witnesses in Uzbekistan https://cabar.asia/e[...] 2019-05-06
[11] 서적 Nestorian Christianity in Central Asia
[12] 웹사이트 http://www.state.gov[...]
[13] 웹인용 Religions in Uzbekistan {{!}} PEW-GRF http://www.globalrel[...] 2020-06-06
[14] 웹인용 Uzbekistan https://www.opendoor[...] 2022-10-21
[15] 웹인용 O'zbekiston Respublikasi Konstitutsiyasi https://constitution[...]
[16] 서적 Nestorian Christianity in Central Asia
[17] 웹인용 Uzbekistan https://2009-2017.st[...] 2018-05-16
[18] 웹인용 2019 Report on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Uzbekistan https://www.state.go[...]
[19] 웹인용 Uzbekistan Country Update https://www.uscirf.g[...] 2022-10-21
[20] 웹인용 Country Update: Uzbekistan https://www.uscirf.g[...] 2022-10-21
[21] 저널 Believers in Christ from a Muslim Background: A Global Census https://www.academia[...] 2015
[22] 웹인용 Legal & Human Rights Facts: Jehovah's Witnesses in Uzbekistan https://www.jw.org/e[...]
[23] 웹인용 Jehovah's Witness Delegation Visits Uzbekistan | Eurasianet https://eurasianet.o[...]
[24] 간행물 https://www.osce.org[...] 2022-03
[25] 웹인용 "Stay Neutral." Life of Jehovah's Witnesses in Uzbekistan https://cabar.asia/e[...] 2019-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