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치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우치구는 타이중시 서쪽에 위치한 구로, 타이완 해협과 접하며 지형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낮아진다. 옛날에는 죽벌혈 또는 오차항으로 불렸으며, 현재의 지명은 '봉비오불서, 비영천불음, 비죽보불식'에서 유래했다. 청나라 강희제 말년에 한족에 의한 개발이 시작되었고, 일본 통치 시대에는 타이중주 다이쟈군 고세이코 가로 개칭되었으며, 중화민국으로 반환된 후 타이중현의 향으로, 2010년 타이중시와 통합되면서 구로 승격되었다. 주요 산업은 어업, 농업, 공업이며, 우치 어항, 관련 공업 지구 등이 위치해 있다. 교육 시설로는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가 있으며, 타이완 성도 1번, 12번, 17번, 61번과 타이중항이 지나간다. 호천사, 미쓰이 아울렛 파크 타이중 등 관광 명소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우치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2. 지리
우치 구는 타이중시 서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사루 구, 서쪽은 타이완 해협, 북쪽은 칭수이 구, 남쪽은 룽징 구와 각각 접하고 있다. 동서는 약 3.75km, 남북은 4.42km이며, 평균 해발 고도는 4.7m이고,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완만한 내리막 경사를 이루고 있다.
우치 구는 청나라 시대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일제강점기와 중화민국 시대를 거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3. 역사
3. 1. 명칭 유래
우치 구는 옛날에는 "죽벌혈(竹筏穴)" 또는 "오차항(五叉港)"으로 불렸다. 현재의 지명은 "봉(鳳)이 오동나무가 아니면 깃들지 않고, 영천(霊泉)이 아니면 마시지 않으며, 죽보(竹宝)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에서 유래했다.[1]
3. 2. 청나라 시대
우치에서 한족에 의한 개발은 청대 강희 말년에 시작되었다. 당시에는 천주부 안계, 진강, 남안 등지에서 온 소수의 이민에 의한 소규모 개발에 불과했다. 그러나 건륭 연간에 이르러 복건에서 대형 범선에 의한 해상 무역이 시작되면서 우치의 개발은 급속하게 진전되었다. 도광 연간에는 항구가 번성하여 잔교에 상선이 즐비하게 늘어섰고, 화물을 운반하는 소의 수레가 천 대에 이를 정도로 번영을 누렸다.[1]
도광 연간에는 "오서(鰲西)"라고 불리며 대독중보(大肚中堡)에 귀속되었으나, 1891년에 오치항(梧棲港)으로 개칭되어 현재의 지명이 되었다.[1]
3. 3. 일제강점기
1891년, 도광 연간에 "오서(鰲西)"라고 불리며 대독중보(大肚中堡)에 귀속되었으나 오치항(梧棲港)으로 개칭되어 현재의 지명이 되었다. 일본 통치 시대인 1920년에는 대만의 지방 행정 구역 개혁으로 오치와 사록의 압모료가 합병되어 타이중주대갑군 오치항가가 되었다. 또한 일본 정부에 의해 오치에 건항 건설(신고항)이 결정되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인해 공사 도중에 중단되었다.
3. 4. 중화민국 시대
1945년 중화민국으로 대만 반환 이후, 우치 구는 타이중현의 향으로 조직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중 현은 타이중시와 통합되었고, 우치 구는 특별시인 타이중 시의 구로 승격되었다.
4. 행정 구역
우치 구의 행정 구역은 딩랴오(頂寮), 샤랴오(下寮), 중정(中正), 중허(中和), 원화(文化), 안런(安仁), 차오난(草湳), 난젠(南簡), 푸더(福徳), 다좡(大庄), 다춘(大村), 싱농(興農), 용닝(永寧), 융안(永安)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2]
지구 | 리(里) |
---|---|
우치강가(梧棲港街) | 딩랴오리(頂寮里), 샤랴오리(下寮里), 중정리(中正里), 중화리(中和里), 문화리(文化里), 안런리(安仁里) |
차오난(草湳) | 차오난리(草湳里) |
난젠(南簡) | 난젠리(南簡里), 푸더리(福徳里) |
다좡(大庄) | 다좡리(大庄里), 다춘리(大村里), 싱눙리(興農里) |
야무랴오(鴨母寮) | 융닝리(永寧里), 융안리(永安里) |
5. 경제
우치구는 농업, 어업, 목축업, 공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1980년 8.5억신 대만 달러가 투자되어 우치 어항이 대규모로 정비되었고, 1984년 5월부터 정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우치 어항은 대만 최고 수준의 규모를 자랑하는 대형 어항으로, 수역 면적 27acre, 육지 면적 2.4acre이며, 50t 이하의 어선 245척을 수용할 수 있다.[1]
어항 사용 초기에는 상항법 제약으로 어선 출항에 불편함이 있었으나, 점차 규제가 완화되어 1989년 자유 통행이 실현되면서 각종 어업 시설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1992년 8월 28일, 대만성 어업국(현 행정원 농업위원회 어업서)은 우치 어항을 정식으로 타이중항만국의 관할로 이관하여 항만 수요에 대응함과 동시에 레저 관광업 발전을 계획했다. 현재 어항에는 도매 시장, 어민 센터, 휴일 어시장, 어구 판매 구역, 어망 정비장, 어선 정비 시설, 창고, 주차장, 관광객 휴게소, 어항 공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신선한 생선과 건어물 외에도 각종 해산물 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이 있다.[1]
우치 어항에는 현지 어선이 많지 않았지만, 휴일 어시장과 어구 판매 구역이 설치되면서 어항 내에서 수산물을 판매하여 이익을 올리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타이둥이나 펑후의 어선들이 선적을 옮기고, 어민 스스로도 이적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우치 항적의 어선은 50척을 넘어섰으며, 대부분 50t 이하의 소형 선박으로 근해 어업에 종사하고 있다. 양안 관계 개선에 따라 중국 본토 관련 어업 자원을 취급할 가능성을 갖는 등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1]
5. 1. 농업
우치구의 농업은 벼, 채소, 난이 중심이다. 벼 재배는 주로 남간(南簡), 복덕(福德), 대장(大庄), 대촌(大村), 흥농(興農), 영녕(永寧), 영안(永安) 지역에서 이루어지며, 경작 면적은 600acre를 넘는다. 채소는 잎채소를 중심으로 전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 우치구 농업의 특징으로 알려진 것은 난 재배이다. 현재는 양란을 중심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전문화와 하이테크화를 목표로 하는 농업 모델로 기대되고 있다.5. 2. 어업
정부는 대만 중부의 어업 진흥을 목적으로 1980년에 8.5억신 대만 달러를 투자하여 우치 어항을 대규모로 정비하였고, 1984년 5월부터 정식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우치 어항은 대만에서 최고 수준의 규모를 자랑하는 대형 어항으로, 수역 면적 27acre, 육지 면적 2.4acre이며, 50t 이하의 어선 245척을 수용할 수 있다.[1]어항 사용 초기에는 상항법의 제약으로 어선 출항에 불편함이 있었지만, 점차 규제가 완화되어 1989년 자유 통행이 실현되면서 각종 어업 시설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당시 대만성 어업국(현 행정원 농업위원회 어업서)은 1992년 8월 28일, 우치 어항을 정식으로 타이중항만국의 관할로 이관하여, 항만 수요에 대응함과 동시에 레저 관광업 발전을 계획했다. 현재 어항에는 도매 시장, 어민 센터, 휴일 어시장, 어구 판매 구역, 어망 정비장, 어선 정비 시설, 창고, 주차장, 관광객 휴게소, 어항 공원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신선한 생선과 건어물 외에도 각종 해산물 요리를 제공하는 음식점이 있다.[1]
우치 어항에는 현지 어선이 많지 않았지만, 휴일 어시장과 어구 판매 구역이 설치되면서 어항 내에서 수산물을 판매하여 이익을 올리려는 움직임이 강해졌다. 타이둥이나 펑후의 어선들이 선적을 옮기고, 어민 스스로도 이적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현재 우치 항적의 어선은 50척을 넘어섰다. 대부분은 50t 이하의 소형 선박이며, 근해 어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양안 관계 개선에 따라 중국 본토 관련 어업 자원을 취급할 가능성을 갖는 등 잠재적인 발전 가능성은 여전히 크다.[1]
5. 3. 목축업
도시화가 진행되고 인구가 증가한 우치구에서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소규모 축산업, 즉 양돈장, 양계장, 오리 사육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 대만이 WTO에 가입하고, 환경 보전 설비 정비가 행정에 의해 지도되면서 고액의 설비 투자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은 업체는 도태되고 있다. 앞으로는 생산성을 높이고 국제 경쟁력을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가 과제가 되고 있다.[1]5. 4. 공업
1980년에 143acre의 관련 공업 지구가 우치구 내에 완공되었으며, 현재 100개 이상의 공장이 가동되어 5,000명 이상의 고용을 창출하고, 1조신 대만 달러 (약 3.5조엔)의 생산액을 자랑한다. 관련 공업 지구 내의 산업은 식품 가공, 플라스틱 제조, 지기 관련, 화학, 전자 전기, 방직, 목재 가공, 금속 가공, 자동차 수리가 대부분이며, 그중에서도 유리를 생산하는 타이보 공업의 규모가 가장 커서 30acre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그 외 대규모 공장으로는 아이디야, 푸따 면업, 셩샹전, 화위안 식품 등이 있다.[1]6. 교육
우치구에는 타이중 시립 중강 고급중학교, 타이중시 우치 국민중학교 등 여러 중학교와 타이중시 우치구 우치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우치구 중정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우치구 우난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우치구 중강 국민소학교, 타이중시 우치구 영녕 국민소학교 등 여러 초등학교가 있다.
6. 1. 고등학교
타이중 시립 중강 고급중학교6. 2. 중학교
- 타이중시 우치 국민중학교
6. 3. 초등학교
학교 이름 |
---|
타이중시 우치구 우치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우치구 중정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우치구 우난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우치구 중강 국민소학교 |
타이중시 우치구 영녕 국민소학교 |
7. 교통
우치구는 성도 1번, 12번, 17번, 61번이 통과한다.
종류 | 노선명 |
---|---|
성도 | 1번 성도 |
성도 | 12번 성도 |
성도 | 17번 성도 |
성도 | 61번 성도 |
8. 관광
- 호천사
- 미쓰이 아울렛 파크 타이중
- 진무사
- 우치 라오제
- 다좡 하오톈궁
- 우치 진무궁
- 옛 우치 관공서 및 관사
- 신톈디 레스토랑
- 타이중항
9. 기후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평균 최고 기온 (℃) | 19.2 | 19.6 | 22.3 | 26.0 | 28.9 | 31.1 | 32.2 | 31.9 | 30.8 | 28.0 | 25.1 | 21.2 | - |
평균 기온 (℃) | 16.1 | 16.4 | 18.9 | 22.7 | 25.8 | 28.1 | 29.2 | 28.9 | 27.6 | 24.7 | 21.8 | 18.1 | - |
평균 최저 기온 (℃) | 13.7 | 14.0 | 16.1 | 19.9 | 23.2 | 25.6 | 26.7 | 26.4 | 25.1 | 22.2 | 19.3 | 15.6 | - |
역대 최고 기온 (℃) | 29.4 | 30.2 | 31.7 | 33.7 | 34.3 | 35.2 | 36.9 | 36.5 | 35.3 | 33.9 | 31.8 | 29.3 | - |
역대 최저 기온 (℃) | 2.4 | 5.2 | 4.9 | 9.4 | 14.8 | 16.7 | 20.6 | 22.3 | 16.2 | 13.0 | 9.5 | 5.6 | - |
강수량 (mm) | 32mm | 60.4mm | 81.5mm | 106.7mm | 202.2mm | 208.1mm | 183.5mm | 242.3mm | 91mm | 20.3mm | 23.1mm | 33.1mm | - |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 | 5.4 | 7.0 | 9.3 | 9.4 | 10.2 | 10.9 | 9.0 | 10.9 | 6.0 | 2.4 | 3.3 | 4.6 | - |
평균 상대 습도 (%) | 78.4 | 79.9 | 77.9 | 77.6 | 78.5 | 78.2 | 76.2 | 77.4 | 75.9 | 73.8 | 76.1 | 76.0 | - |
월간 일조시간 | 148.2 | 122.4 | 143.5 | 146.8 | 175.1 | 191.9 | 242.5 | 213.1 | 208.1 | 222.6 | 168.5 | 160.8 | - |
10. 유명 인물
- 스린춘, 위생부 부장 (1986–1990)
참조
[1]
서적
遊臺中學英語: 讓臺中最夯的景點成為你的英語教室
https://books.google[...]
希伯崙股份有限公司
2019-04-16
[2]
웹사이트
http://vote2014.nat.[...]
[3]
웹사이트
Monthly Mean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3-02-09
[4]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3-02-09
[5]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高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3-02-09
[6]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3-02-09
[7]
웹사이트
氣象站各月份最低氣溫統計(續)
https://www.cwb.gov.[...]
Central Weather Bureau
2023-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