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행정 구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 (행정 구역)는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타이완), 홍콩,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행정 구역 단위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광역시에 자치구와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에 일반구를 설치하며, 자치구는 지방 자치 단체로서 구청장과 구의회를 주민이 직접 선출한다. 일본의 구는 도쿄 23구와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로 나뉘며, 특별구는 시정촌과 동급의 기초자치단체이고 행정구는 시의 하부 기관이다. 중화민국에서는 직할시와 시 아래에, 홍콩에서는 홍콩섬, 가우룽반도, 신제 지역에 구를 설치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직할시, 특별시, 대도시에 구역을 설치하며, 그 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러시아 등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구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 특별시
특별시는 특정 도시에 특별한 지위와 권한을 부여하여 운영되는 행정구역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서울특별시가 유일하며 광역지방자치단체와 동급이지만 시장은 장관급으로 더 높은 지위를 갖는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 - 법정동
법정동은 행정 기능이 아닌 전통적 지역 구분 단위로, 주소 및 지적 분야에서 활용되며, '○○동' 또는 일제강점기 유래 가로명으로 명명되고, 동행정복지센터가 관할한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정령지정도시
정령지정도시란 일본에서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 중 총무대신이 지정하는 도시로, 도도부현과 유사한 권한을 가지며 국가와 직접 소통이 가능하고 지방선거도 같은 시기에 실시되지만, 특별구는 지정될 수 없고 지역 불균형, 과도한 개발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일본의 행정 구역 - 도 (행정 구역)
도는 여러 국가에서 행정 구역 단위로 사용되며, 중국에서는 시대에 따라 행정구역의 지위가 변화했고, 한반도에서는 조선의 8도 체제가 남북한의 도 체계의 기반이 되었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만 '도' 명칭을 사용하고, 이탈리아와 스페인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각기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구 (행정 구역) | |
---|---|
개요 | |
명칭 | 구 (區) |
로마자 표기 | Gu |
영어 | Ward 또는 Borough |
설명 | 대한민국 및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는 행정 구역의 한 종류이다. |
한국의 구 (대한민국) | |
유형 | 자치구 일반구 |
자치구 | 특별시, 광역시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 |
일반구 | 특별자치시 및 인구 50만 이상의 시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 |
기능 | 자치구는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일반구는 시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
일본의 구 (일본) | |
유형 | 정령지정도시의 하위 행정 구역 도쿄도의 특별구 |
정령지정도시의 구 | 시의 행정 및 주민 서비스 기능을 분담한다. |
도쿄도의 특별구 | 기초 지방 자치 단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
기타 국가의 구 | |
프랑스의 구 | 프랑스에서는 파리 등의 대도시에 구 (arrondissement)가 존재한다. |
독일의 구 | 독일에서는 일부 대도시에 구 (Bezirk)가 존재한다. |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구는 서울특별시와 광역시에 설치되는 지방자치단체인 자치구와 인구 50만 명 이상의 대도시에 설치할 수 있는 지방자치단체가 아닌 일반구가 있다.[1]
일본의 구는 특별구, 행정구, 지역자치구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1]
3. 일본
현행 행정 구역으로서의 구는 지방자치법상, 도(이론상으로는 도쿄도에 한정되지 않음)의 구인 특별구(제281조)와 정령지정도시에 설치되는 구(제252조의20)가 있다. 정령지정도시의 구는 행정구라고도 불린다.[1]
특별구는 시정촌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가진 지방 자치체(특별 지방 공공 단체)이다. 반면, 정령지정도시의 구(행정구)는 시의 하부 기관에 불과하다.[1]
일본 도시의 구는 특별구·행정구 모두 "ward"로 영문 번역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별구는 시와 동등함을 반영하여 "city"로 번역되기도 한다.[1]
역사적으로는, 1878년의 군구정촌편제법에 따라 도시 지역에 군에서 분리된 구가 설치되었다. 도쿄, 교토, 오사카의 삼시에는 각각 여러 개의 구가, 그 외의 대도시에는 각각 1개의 구가 설치되었다. 1889년부터의 시제 하에서는, 삼시의 구는 시의 하위 지방 자치 단체가 되었고, 그 외의 구는 그대로 시가 되었다. 그 후, 나고야시 (1908년~), 요코하마시 (1927년~), 고베시 (1931년~)에 자치권이 없는 행정 구획으로서 구가 설치되었다.
3. 1. 특별구
도쿄도에 설치된 23개의 구로, 시정촌과 거의 동등한 기능을 가진 지방 자치체(특별 지방 공공 단체)이다.[1] 특별구의 구장은 주민 직선으로 선출되며, 구의회도 구성된다.[1] 과거에는 도쿄도 외에도 설치될 가능성이 있었으나, 현재는 도쿄도에만 존재한다.[1]
3. 2. 행정구
정령지정도시에 설치되는 구로, 시의 하부 기관에 해당한다. 행정구의 구청장은 시장이 임명하며, 구의회는 구성되지 않는다. 요코하마시, 오사카시 등 인구 70만 이상인 20개 시에 설치되어 있다.[1]
일본 도시의 구는 특별구·행정구 모두 "ward"로 영문 번역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별구는 시와 동등함을 반영하여 "city"로 번역되기도 한다.[1]
3. 3. 지역 자치구
地域自治区일본어는 시정촌(지정 도시 포함)에 설치되는 자치 기구로, 주민 참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1] 니가타현 조에츠시에서 처음 도입되었다.[1]
4. 중화민국(타이완)
중화민국의 구는 직할시와 시 아래에 설치되는 행정 구역이다. 가오슝시(高雄市: 고웅시)에는 38개 구, 신베이시(新北市: 신북시)에는 29개 구, 타이난시(臺南市: 대남시)에는 37개 구, 타이베이시(臺北市: 대북시)에는 12개 구, 타이중시(臺中市: 대중시)에는 29개 구, 타오위안시(桃園市: 도원시)에는 13개 구가 있다. 신주시(新竹市: 신죽시)에는 3개 구, 자이시(嘉義市: 가의시)에는 2개 구, 지룽시(基隆市: 기륭시)에는 7개 구가 있다.[1]
5. 홍콩
홍콩의 구는 홍콩섬, 주룽반도, 신제 지역에 설치되어 있다.
지역 | 구 이름 | 중국어 표기 | 한국어 발음 |
---|---|---|---|
홍콩섬 | 쫑사이구 | 中西區|중서구중국어 | |
완차이구 | 灣仔區|만자구중국어 | ||
둥구 | 東區|동구중국어 | ||
남구 | 南區|남구중국어 | ||
주룽반도 | 야우침몽구 | 油尖旺區|유첨왕구중국어 | |
삼수이포구 | 深水埗區|심수부구중국어 | ||
까울롱씽구 | 九龍城區|구룡성구중국어 | ||
웡타이신구 | 黃大仙區|황대선구중국어 | ||
군통구 | 觀塘區|관당구중국어 | ||
신제 | 사틴구 | 沙田區|사전구중국어 | |
사이콩구 | 西貢區|서공구중국어 | ||
타이포구 | 大埔區|대부구중국어 | ||
북구 | 北區중국어 | ||
윈롱구 | 元朗區|원랑구중국어 | ||
튄문구 | 屯門區|둔문구중국어 | ||
췬완구 | 荃灣區|전만구중국어 | ||
콰이칭구 | 葵靑區|규청구중국어 | ||
레이도구 | 離島區|이도구중국어 |
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구역은 직할시, 특별시와 대도시에 설치되는 행정 구역이다. 2020년까지 시·군과 동격으로 도에 직속하면서, 동 지역과 리 지역이 포함되는 구가 존재했으나 모두 군으로 전환되었다. 다른 나라의 구에 해당하는 행정 구역의 이름은 구역이다.[1]
구의 예로는 함경남도 수동구가 있었으나, 2020년 9월 이후 수동군으로 변경되었다.[3] 지구의 예로는 평안남도 득장지구가 있다.[3]
7. 기타 국가
미국의 도시나 타운에는 구(ward)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으나, 행정 구역보다는 선거구로서의 역할이 강한 경우가 많다. 뉴욕시에는 5개의 구(borough)가 설치되어 있다.
잉글랜드 도시의 구는 borough(버러)라고 불린다. borough는 전통적으로 자유 도시를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구분을 위해 metropolitan borough라고 한다. 맨체스터, 머지사이드, 사우스 요크셔, 타인 앤 위어, 웨스트 미들랜즈, 웨스트 요크셔의 6개 도시 주에 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은 1972년 지방 정부법(Local Government Act 1972)에 의해 1974년부터 설치되었다. 런던(그레이터 런던)에도 33개의 구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들은 1963년 런던 정부법(London Government Act 1963)에 의해 1965년에 설치되었다.
도시주인 베를린과 함부르크에는 행정 구역인 구(Bezirk)가 설치되어 있다.
프랑스의 도시 구는 arrondissement|아롱디스망프랑스어이라고 불린다.[3] 파리, 리옹, 마르세유의 3개 도시에 구가 설치되어 있다. 파리는 4개의 지구로 나뉘며, 지구는 총 20개의 구로 나뉜다.
상트페테르부르크, 볼고그라드 등 몇몇 대도시에는 구(районru, 라욘)가 설치되어 있다. 모스크바에는 10개의 구(округа, административные округа, АОru)가 설치되어 있다. 구는 다시 라욘으로 나뉜다. 라욘은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 제도화된 행정 구역으로, 구소련의 여러 국가에서 현존한다.
참조
[1]
문서
ward 발음
[2]
문서
borough 발음
[3]
문서
arrondissement 발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