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대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원대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이다. 신라 시대 화랑들의 숙식소였던 대노원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조선 시대에는 원대동/용천동으로 불렸다. 1895년 대구부 대구군에 편입된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1997년 현재의 원대동으로 통합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새마을금고, NH농협은행, 대구서부경찰서 비원지구대, 원대동 행정복지센터, 대구달성초등학교, 대구경일중학교, 원대신시장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서구의 행정동 - 상중이동
상중이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10년 대구부 달서면 일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8년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이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대구의료원, 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 서대구역, 대구중리초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롯데캐슬, 상리그린빌 등 주요 기관, 학교,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상중이동
상중이동은 대구광역시 서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1910년 대구부 달서면 일부에서 시작하여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1998년 상리동, 중리동, 이현동이 통합되어 현재에 이르렀으며, 대구의료원, 서부경찰서 이현지구대, 서대구역, 대구중리초등학교, 계성고등학교, 롯데캐슬, 상리그린빌 등 주요 기관, 학교, 주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대구 서구의 행정 구역 - 서구 (대구광역시)
대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섬유, 염색, 기계공업 중심의 경제 지역이고 대구 도시철도 2, 3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이 위치한 곳이다. - 1963년 폐지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1963년 폐지 - 대한민국 심계원
대한민국 심계원은 1948년 헌법에 따라 설치되어 1949년부터 1963년 감사원 신설 시까지 운영된 국가기관으로, 회계 감사 등의 업무를 수행했으며, 명제세, 함태영, 노진설 등이 역대 심계원장을 역임했다.
원대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원대동 | |
![]() | |
기본 정보 | |
한자 표기 | 院垈洞 |
영문 표기 | Wondae-dong |
광역시도 | 대구광역시 |
시군구 | 서구 |
면적 | 0.62 |
세대 | 5,028 |
세대 조사 | 2023.11 |
인구 | 9688 |
인구 조사 | 2023년 11월 |
법정동 |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
통 | 20 |
반 | 144 |
동주민센터 | 대구광역시 서구 달서로257(원대동) |
홈페이지 | 원대동 행정복지센터 |
2. 유래
삼국시대 신라는 삼국통일을 이루기 위해 화랑도의 심신 단련을 중요하게 여겼다. 화랑들은 전국의 명소를 찾아다니며 수련했는데, 이들이 머물며 숙식하던 장소를 '원(院)' 또는 '노원(魯院)'이라고 불렀다. 원대동 지역에는 과거 '대노원(大魯院)'이라는 큰 규모의 노원이 있었던 터(垈)였으므로, 이를 따서 '원대(院垈)'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것이 동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
wikitext
원대동에는 주민들의 생활 편의를 위한 다양한 시설이 자리 잡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금융 기관, 관공서, 교육 기관 등이 있다.
3. 역사
시기 소속/명칭 변경 비고 조선시대 원대동/용천동 1895년 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 [1]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 [2]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서중면 원대동/용천동 [3]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 [4]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 [5] 1938년 11월 2일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 서부출장소 관할[6]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원대동 서부출장소 관할[7]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원대동 [8] 1963년 12월 1일 서구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원대동에서 분동[9] 1966년 1월 1일 서구 원대동3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 원대동3가에서 분동[10] 1975년 10월 1일 서구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원대동2가 일부 및 원대동4·5·6가를 북구에 편입[11], 잔여 지역 개편[12]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서구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13]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 [14] 1997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동 원대동1·2·3가 통합[15]
4. 주요 시설
4. 1. 금융 기관
4. 2. 관공서
4. 3. 교육 기관
참조
[1]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https://ko.wikisourc[...]
1895-05-26
[2]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7호
https://ko.wikisourc[...]
1910-10-01
[4]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12-29
[5]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6]
법령
부조례 제22호
1938-11-02
[7]
법령
법률 제32호
1949-07-04
[8]
법령
법률 제1174호
1962-11-21
[9]
법령
시조례 제333호
1963-12-01
[10]
법령
시조례 제416호
1965-11-10
[11]
법령
대통령령 제7816호
1975-09-23
[12]
법령
시조례 제918호
1975-10-01
[13]
법령
법률 제3424호
1981-04-13
[14]
법령
법률 제4789호
1994-12-20
[15]
법령
구조례 제391호
1996-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