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성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달성군은 1914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에 설치된 군으로, 1995년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 6읍 3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슬산맥과 낙동강을 중심으로 지형이 구분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한국폴리텍6대학 달성캠퍼스 등 교육기관과 대구 도시철도 1, 2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등의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또한, 이천시, 담양군과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싱시 난후구, 랑팡시와 교류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달성군 - 현풍군
현풍군은 신라시대부터 이어진 현풍 지역이 조선시대 현풍현을 거쳐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달성군에 편입되어 소멸되었고 현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의 일부이다. - 달성군 - 유가읍
유가읍은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한 읍으로, 2018년에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3개의 법정리와 행정리로 구성되어 있고 대구테크노폴리스와 유곡리공영차고지를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해 있으며 대구유가초등학교와 유가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군위군
군위군은 경상북도에 속했던 군으로, 2023년 7월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으며, 팔공산의 산악 지형과 위천, 사창천 유역의 농경지를 가진 중생대 백악기 경상 분지에 위치하고, 삼국 시대부터 이어진 역사와 대구경북신공항 건설 논란 끝에 편입되었으며, 1읍 7면으로 구성, 일연 스님의 삼국유사 완성지인 인각사가 있는 '삼국유사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다. - 대구광역시의 행정 구역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월경지 - 젤레노그라드
젤레노그라드는 1958년 모스크바 북서쪽에 건설된 계획 도시로, 전자 공학 기술 개발을 위해 조성되었으며, 러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고, 현재는 기술 혁신을 지원하는 특별 경제 구역이다. - 월경지 - 오가키시
오가키시는 기후현 노비 평야 북서부에 위치하며 풍부한 지하수로 '물의 도시'라 불리고 이비 강을 중심으로 발전, 이비덴 등 기업 본사가 위치한 활발한 경제 도시이자 오가키역을 중심으로 교통이 발달하고 역사 유적과 문화, 관광 자원이 풍부한 곳이다.
달성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달성군 |
로마자 표기 | Dalseong-gun |
한자 표기 | 達城郡 |
면적 | 426.68 km² |
인구 (2023년) | 262,084명 |
남자 인구 | 132,962명 |
여자 인구 | 129,122명 |
웹사이트 | 달성군청 |
방언 | 경상 방언 |
위치 | 대구광역시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 구역 | 6읍 3면 |
행정구역분류코드 | 22310 |
상징 | |
군목 | 은행나무 |
군화 | 국화 |
군조 | 비둘기 |
상징 동물 | 두루미 |
군화 (다른 표기) | 참꽃 |
군목 (다른 표기) | 이팝나무 |
정치 | |
군수 | 최재훈 (국민의힘) |
국회의원 | 추경호 (국민의힘, 달성군) |
기타 정보 | |
![]() | |
![]() | |
![]() | |
![]() |
2. 역사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개편하였다.[17][18][3][4] 당시 달성군은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해안면, 공산면,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논공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의 16개 면을 관할했다. 1917년 4월 1일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로 이관하고,[19] 유가면 가천동을 구지면에 환원하였다.
1938년 10월 1일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을 대구부로 이관하였다.[20][5] 1940년 7월 1일 해안면을 동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1월 1일 동촌면, 월배면, 성서면, 공산면, 가창면을 대구시로 이관하였다.[21][6] 1963년 1월 1일 대구시로부터 47개 법정동이 환원되어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을 다시 설치하였다.[22][7]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을 월배면에 편입하였다.[23][8]
1979년 5월 1일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승격하였고,[24][9] 1980년 12월 1일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승격하였다.[25][10] 1981년 7월 1일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각각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하였다.[26][11] 1983년 6월 20일 달성지방산업단지(1,241평)를 조성하였다.
1988년 5월 3일 동을 리로 일괄적으로 개칭하였으며,[27][12] 1989년 4월 3일 논공면에 공단출장소(남리·북리·본리리 관할)를 설치하였다.[28][13] 1992년 3월 1일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고,[29][14] 1995년 4월 20일 화원읍 구라리 일부를 달서구로 편입하였다.
1996년 9월 1일 논공면이 논공읍으로 승격하였고,[30][15] 1997년 11월 1일 다사면이 다사읍으로 승격하였다.[16] (3읍 6면) 2001년 3월 19일 다사읍에 서재출장소(서재리·세천리·방천리 관할)를 설치하였다. 2005년 5월 25일 달성군청 소재지를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 1583번지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번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3월 29일 현풍면 성하리에 달성종합스포츠파크를 개장하였다. 2018년 3월 1일 유가면이 유가읍으로 승격하였고,[31]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현풍면이 옥포읍, 현풍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2. 1. 고대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개편하였다.[17][18] 당시 달성군은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해안면, 공산면,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논공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의 16개 면을 관할했다. 1917년 4월 1일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로 이관하고,[19] 유가면 가천동을 구지면에 환원하였다.2. 2. 고려시대
달성군은 고려시대에 대한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2. 3. 조선시대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개편하였다.[17][18]16면 -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해안면, 공산면,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논공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1917년 4월 1일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로 이관하고,[19] 유가면 가천동을 구지면에 환원하였다.
1938년 10월 1일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을 대구부로 이관하였다.[20]
1940년 7월 1일 해안면을 동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1월 1일 동촌면, 월배면, 성서면, 공산면, 가창면을 대구시로 이관하였다.[21]
1963년 1월 1일 대구시로부터 47개 법정동이 환원되어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을 다시 설치하였다.[22]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을 월배면에 편입하였다.[23]
1979년 5월 1일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승격하였다.[24]
1980년 12월 1일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승격하였다.[25]
1981년 7월 1일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각각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하였다.[26]
1983년 6월 20일 달성지방산업단지(1,241평)를 조성하였다.
1988년 5월 3일 동을 리로 일괄적으로 개칭하였다.[27]
1989년 4월 3일 논공면에 공단출장소(남리·북리·본리리 관할)를 설치하였다.[28]
1992년 3월 1일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29]
1995년 4월 20일 화원읍 구라리 일부를 달서구로 편입하였다.
1996년 9월 1일 논공면이 논공읍으로 승격하였다.[30]
1997년 11월 1일 다사면이 다사읍으로 승격하였다.
2001년 3월 19일 다사읍에 서재출장소(서재리·세천리·방천리 관할)를 설치하였다.
2005년 5월 25일 달성군청 소재지를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 1583번지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번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3월 29일 현풍면 성하리에 달성종합스포츠파크를 개장하였다.
2018년 3월 1일 유가면이 유가읍으로 승격하였다.[31]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현풍면이 옥포읍, 현풍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2. 4. 근대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개편하였다.[17][18] 16면 -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해안면, 공산면, 가창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논공면, 현풍면, 유가면, 구지면으로 구성되었다. 1917년 4월 1일 수성면 대명동과 봉덕동의 각 일부를 대구부로 이관하고,[19] 유가면 가천동을 구지면에 환원하였다.1938년 10월 1일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을 대구부로 이관하였다.[20] 1940년 7월 1일 해안면을 동촌면으로 개칭하였다. 1958년 1월 1일 동촌면, 월배면, 성서면, 공산면, 가창면을 대구시로 이관하였다.[21] 1963년 1월 1일 대구시로부터 47개 법정동이 환원되어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을 다시 설치하였다.[22]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을 월배면에 편입하였다.[23]
1979년 5월 1일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승격하였고,[24] 1980년 12월 1일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승격하였다.[25] 1981년 7월 1일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각각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하였다.[26] 1983년 6월 20일 달성지방산업단지(1,241평)를 조성하였다.
1988년 5월 3일 동을 리로 일괄적으로 개칭하였으며,[27] 1989년 4월 3일 논공면에 공단출장소(남리·북리·본리리 관할)를 설치하였다.[28] 1992년 3월 1일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하였다.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고,[29] 1995년 4월 20일 화원읍 구라리 일부를 달서구로 편입하였다.
1996년 9월 1일 논공면이 논공읍으로 승격하였고,[30] 1997년 11월 1일 다사면이 다사읍으로 승격하였다. (3읍 6면) 2001년 3월 19일 다사읍에 서재출장소(서재리·세천리·방천리 관할)를 설치하였다. 2005년 5월 25일 달성군청 소재지를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 1583번지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번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3월 29일 현풍면 성하리에 달성종합스포츠파크를 개장하였다. 2018년 3월 1일 유가면이 유가읍으로 승격하였고,[31]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현풍면이 옥포읍, 현풍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
2. 5. 현대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대구면 제외)와 현풍군을 통합하여, 경상북도 달성군으로 개편하였다.[17][18] 1938년 10월 1일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을 대구부로 이관하였다.[20]1958년 1월 1일 동촌면, 월배면, 성서면, 공산면, 가창면을 대구시로 이관하였다.[21] 1963년 1월 1일 대구시로부터 47개 법정동이 환원되어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을 다시 설치하였다.[22]
1979년 5월 1일 월배면이 월배읍으로, 1980년 12월 1일 성서면이 성서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24][25] 1981년 7월 1일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각각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하였다.[26]
1983년 6월 20일 달성지방산업단지(1,241평)를 조성하였다. 1992년 3월 1일 화원면이 화원읍으로 승격하였다.[29] 1995년 3월 1일 달성군 전역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었다.[29] 1996년 9월 1일 논공면이 논공읍으로, 1997년 11월 1일 다사면이 다사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30]
2005년 5월 25일 달성군청 소재지를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11동 1583번지에서 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 1313번지로 이전하였다. 2014년 3월 29일 현풍면 성하리에 달성종합스포츠파크를 개장하였다.
2018년 3월 1일 유가면이 유가읍으로, 2018년 11월 1일 옥포면, 현풍면이 옥포읍, 현풍읍으로 각각 승격하였다.[31]
3. 지리
달성군은 화원읍과 옥포읍을 거쳐 유가읍까지 내려오는 비슬산맥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산지와 낙동강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저지로 나뉜다. 비슬산맥에는 주봉인 비슬산과 함께 주암산, 청룡산, 산성산 등이 있다. 동부지역인 가창면에는 최정산, 상원산이 있고, 남부지역인 현풍읍에는 대니산, 북부지역인 다사읍에는 와룡산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퇴적암과 이를 관입한 불국사화강암이 주로 분포한다.
군의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지류인 금호강과 다사읍 남단에서 합류하여 총 7개 면의 서단을 흐른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왕선들, 옥공들, 현내들 등의 넓은 평야가 펼쳐져 곡창지대를 이룬다.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지점에도 쌀 생산지인 강창벌이 형성되어 있다. 낙동강 본류의 구간은 하빈면 묘리에서 구지면 대암리까지 55km에 이른다. 가창면에는 가창저수지(가창댐), 유가읍에는 달창저수지가 있다.
3. 1. 지형
달성군은 화원읍과 옥포읍을 거쳐 유가읍까지 내려오는 비슬산맥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산지와 낙동강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저지로 나뉜다. 비슬산맥에는 주봉인 비슬산과 함께 주암산, 청룡산, 산성산 등이 있다. 동부지역인 가창면에는 최정산, 상원산이 있고, 남부지역인 현풍읍에는 대니산, 북부지역인 다사읍에는 와룡산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퇴적암과 이를 관입한 불국사화강암이 주로 분포한다.군의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지류인 금호강과 다사읍 남단에서 합류하여 총 7개 면의 서단을 흐른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왕선들, 옥공들, 현내들 등의 넓은 평야가 펼쳐져 곡창지대를 이룬다.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지점에도 쌀 생산지인 강창벌이 형성되어 있다. 낙동강 본류의 구간은 하빈면 묘리에서 구지면 대암리까지 55km에 이른다. 가창면에는 가창저수지(가창댐), 유가읍에는 달창저수지가 있다.
3. 2. 지질
달성군은 화원읍과 옥포읍을 거쳐 유가읍까지 내려오는 비슬산맥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산지와 낙동강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저지로 나뉜다. 비슬산맥에는 주봉인 비슬산과 함께 주암산, 청룡산, 산성산 등이 있다. 동부지역인 가창면에는 최정산, 상원산이 있고, 남부지역인 현풍읍에는 대니산, 북부지역인 다사읍에는 와룡산이 있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경상계퇴적암과 이를 관입한 불국사화강암이 주로 분포한다.군의 서쪽 경계를 따라 흐르는 낙동강은 지류인 금호강과 다사읍 남단에서 합류하여 총 7개 면의 서단을 흐른다. 이들 하천 유역에는 왕선들, 옥공들, 현내들 등의 넓은 평야가 펼쳐져 곡창지대를 이룬다. 낙동강과 금호강이 합류하는 지점에도 쌀 생산지인 강창벌이 형성되어 있다. 낙동강 본류의 구간은 하빈면 묘리에서 구지면 대암리까지 55km에 이른다. 가창면에는 가창저수지(가창댐), 유가읍에는 달창저수지가 있다.
4. 행정 구역
달성군의 행정 구역은 6읍 3면, 255개의 행정리와 95개의 법정리로 구성되어 있다.[32] 면적은 426.67 km2이며, 인구는 2020년 1월 초 주민등록 기준으로 25만6792 명, 10만4092 가구이다.[32] 2010년대에 대구광역시의 기초자치단체 중 거의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증가 속도도 빨라서 2008년에 17만명이었던 인구가 2021년에 26만명까지 늘었다.
읍·면 | 한자 | 면적 (km ²) | 인구 | 세대 |
---|---|---|---|---|
화원읍 | 花園邑 | 27.68 | 46,661 | 19,933 |
논공읍 | 論工邑 | 43.87 | 16,454 | 8,551 |
다사읍 | 多斯邑 | 36.66 | 92,260 | 36,245 |
유가읍 | 瑜伽邑 | 57.37 | 30,629 | 11,929 |
옥포읍 | 玉浦邑 | 48.94 | 23,908 | 10,926 |
현풍읍 | 玄風邑 | 24.47 | 22,110 | 11,879 |
가창면 | 嘉昌面 | 111.17 | 7,329 | 3,651 |
하빈면 | 河濱面 | 36.70 | 3,353 | 1,957 |
구지면 | 求智面 | 39.75 | 19,380 | 9,118 |
달성군 | 達城郡 | 426.67 | 262,084 | 114,189 |
- 인구·세대는 2023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
각 읍, 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읍·면 | 법정리 |
---|---|
화원읍 (花園邑) | 川内里, 九羅里, 城山里, 舌化里, 椧谷里, 本里里 |
논공읍 (論工邑) | 芦耳里, 金圃里, 三狸里, 渭川里, 上里, 下里, 南里, 北里, 本里里 |
다사읍 (多斯邑) | 伊川里, 達川里, 朴谷里, 坊川里, 鋤斎里, 世川里, 竹谷里, 梅谷里, 釜谷里, 汶陽里, 汶山里 |
유가읍 (瑜伽邑) | 陰里, 陽里, 龍里, 鳳里, 双渓里, 草谷里, 上里, 琴里, 油谷里, 道義里, 佳泰里, 寒亭里, 本末里 |
옥포읍 (玉浦邑) | 新塘里, 橋項里, 江林里, 松村里, 干京里, 奇世里, 盤松里, 金興里, 本里里 |
현풍읍 (玄風邑) | 上里, 中里, 釜里, 下里, 城下里, 院橋里, 自慕里, 午山里, 池里, 大里, 新基里 |
가창면 (嘉昌面) | 龍渓里, 梧里, 亭垈里, 冷泉里, 杏亭里, 上院里, 丹山里, 大逸里, 蛛里, 玉盆里, 三山里, 友鹿里 |
구지면 (求智面) | 倉里, 応岩里, 高峰里, 加川里, 坪村里, 禮峴里, 柳山里, 牧丹里, 台岩里, 內里, 花山里, 修理里, 迲里, 烏舌里, 道東里 |
하빈면 (河浜面) | 霞山里, 竗里, 基谷里, 大坪里, 武等里, 県内里, 甘文里, 桐谷里, 鳳村里 |
5. 인구
1963년 1월 1일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이 대구시로부터 환원되었다.[33] 1981년 7월 1일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하였다.[33]
연도 | 총인구 | 비고 | |
---|---|---|---|
1960년 | 79,844명 | ||
1965년 | 133,511명 | 월배면·성서면·공산면·가창면이 대구시로부터 환원 (1963년 1월 1일) | |
1970년 | 130,842명 | ||
1975년 | 138,021명 | ||
1980년 | 158,548명 | ||
1985년 | 79,619명 | 월배읍·성서읍·공산면을 대구직할시 남구·서구·동구로 이관 (1981년 7월 1일) | |
1990년 | 91,548명 | ||
1995년 | 117,022명 | ||
2000년 | 143,626명 | ||
2005년 | 156,503명 | ||
2010년 | 176,399명 | ||
2015년 | 185,062명 | ||
2016년 | 193,669명 | ||
2017년 | 220,233명 | ||
2018년 | 244,550명 | ||
2019년 | 252,035명 | ||
2020년 | 256,792명 |
6. 정치
6. 1. 역대 군수
달성군수는 달성군수 선거를 통해 선출된다.6. 2. 국회의원
7. 교육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한국폴리텍6대학 달성캠퍼스(논공읍)가 있다.
다사고등학교(다사읍), 달서고등학교(하빈면),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구지면), 대원고등학교(화원읍),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유가읍)가 있다. 심인고등학교(다사읍), 포산고등학교(현풍읍), 현풍고등학교(현풍읍), 비슬고등학교(현풍읍), 화원고등학교(화원읍)가 있다.
서동중학교는 다사읍에, 달서중학교는 하빈면에, 구지중학교는 구지면에, 천내중학교와 달성중학교는 화원읍에, 포산중학교는 유가읍에 있다. 가창중학교는 가창면에, 현풍중학교는 현풍읍에, 논공중학교와 북동중학교는 논공읍에, 다사중학교와 서재중학교, 심인중학교와 왕선중학교는 다사읍에, 유가중학교는 유가읍에, 화원중학교는 화원읍에, 경서중학교는 옥포읍에, 한울안중학교는 현풍읍에 있다.
7. 1. 대학교
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한국폴리텍6대학 달성캠퍼스(논공읍)가 있다.7. 2. 고등학교
다사고등학교(다사읍), 달서고등학교(하빈면), 대구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구지면), 대원고등학교(화원읍),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유가읍)가 있다. 심인고등학교(다사읍), 포산고등학교(현풍읍), 현풍고등학교(현풍읍), 비슬고등학교(현풍읍), 화원고등학교(화원읍)가 있다.7. 3. 중학교
서동중학교는 다사읍에, 달서중학교는 하빈면에, 구지중학교는 구지면에, 천내중학교와 달성중학교는 화원읍에, 포산중학교는 유가읍에 있다. 가창중학교는 가창면에, 현풍중학교는 현풍읍에, 논공중학교와 북동중학교는 논공읍에, 다사중학교와 서재중학교, 심인중학교와 왕선중학교는 다사읍에, 유가중학교는 유가읍에, 화원중학교는 화원읍에, 경서중학교는 옥포읍에, 한울안중학교는 현풍읍에 있다.8. 교통
8. 1. 철도
대구교통공사 관할 대구 도시철도 노선이 달성군을 지난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설화명곡역 - 화원역 - 대곡역을 지난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문양역 - 다사역 - 테실역을 지난다. 대곡역은 달서구에 있지만, 달성군과의 경계에 걸쳐있다.8. 2. 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광주대구고속도로가 달성군을 지난다.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은 현풍 분기점에서 시작되어 화원옥포 나들목까지 이어진다. 현풍 분기점은 중부내륙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을 연결하며, 옥포 분기점은 광주대구고속도로와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을 연결한다. 논공휴게소는 광주대구고속도로 상에, 현풍휴게소는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상에 위치한다. 달성 나들목은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상에 있다.9. 문화
9. 1. 관광 명소
우루리(友鹿里)는 가창면(嘉昌面)에 있는 관광 명소이다.9. 2. 문화재
10. 자매 도시
wikitable
지역 & 국가 | 도시 | |
---|---|---|
대한민국 | ||
```
달성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저장성 자싱시 난후구 및 허베이성 랑팡시와 교류하고 있다.
10. 1. 국내
지역 & 국가 | 도시 | |
---|---|---|
경기도 | 이천시(2004.11.30) | |
전라남도 | 담양군(1984.8.8) |
10. 2. 국외
달성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저장성 자싱시 난후구 및 허베이성 랑팡시와 교류하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2]
뉴스
달성군 청사 대명동 시대 마감(嶺南日報 2005年3月28日)
http://www.yeongnam.[...]
嶺南日報
2005-03-28
[3]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11号
1913-12-29
[4]
법률
慶尚北道令第2号
1914-03-16
[5]
법률
朝鮮総督府令第196号
1938-09-27
[6]
법률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7]
법률
法律第1175号 市・郡の管轄区域変更及び面の廃置に関する法律
1962-11-21
[8]
법률
大統領令第6542号 市・郡・区・邑・面の管轄区域変更に関する規定
1973-03-12
[9]
법률
大統領令第9409号 渼金邑等53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79-04-07
[10]
법률
大統領令第10050号 京畿道始興郡儀旺邑等35個邑設置に関する規定
1980-10-21
[11]
법률
法律第3424号 大邱直轄市と仁川直轄市の設置に関する法律
1981-04-13
[12]
법률
達城郡条例第1134号
[13]
법률
達城郡条例第1265号
[14]
법률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15]
법률
達城郡条例第1589号
[16]
법률
達城郡条例第2506号
[17]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8]
법률
경상북도령 제2호
1914-03-16
[1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9호
1917-02-15
[20]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21]
법률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22]
법률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23]
법률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4]
법률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04-07
[25]
법률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6]
법률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04-13
[27]
법률
달성군 조례 제1134호
[28]
법률
달성군 조례 제1265호
[29]
법률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광진구등9개자치구설치및특별시·광역시·도간관할구역변경등에관한법률
1994-12-22
[30]
법률
달성군 조례 제1589호
[31]
법률
달성군 읍‧면‧리 및 반의 명칭과 관할구역 등에 관한 조례
[3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27.101.213.4/[...]
행정안전부
2020-01-01
[33]
통계자료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대구경북 내일까지 많은 곳 200㎜ 이상 비…453명 사전대피
7월16일 알림
[영상] 연기 가득한데 선생님과 아이들 20명이…사람 구하러 화염 속 홀로 달려간 경찰
'달성군 소싸움 대회' 앞두고 동물권단체 "폐지하라"
‘유물 무더기로 나왔지만 도로는 닦아도 된다?’···공사 재개에 환경단체 반발
대구 달성군 산불 12시간여 만에 진화…피해 규모 조사 중
대구 달성군 함박산 8부 능선서 불…산불 대응 1단계 발령
구제역에 청도 소싸움 잠정 중단…동물권단체 “대구 달성군도 취소하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