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월터 라우션부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월터 라우션부시는 1861년 뉴욕 로체스터에서 태어나 1918년 사망한 미국의 침례교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그는 사회 복음 운동의 주요 인물로, 빈곤과 불의에 맞서 싸우며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라우션부시는 로체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목사로 활동하며, 사회 개혁을 위한 킹덤 형제단을 결성했다. 그는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 등의 저서를 통해 기독교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하나님 나라를 사회 복음 신학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했다. 그의 사상은 마틴 루터 킹, 데스몬드 투투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

2. 생애

월터 라우션부시는 1861년 10월 4일 뉴욕주 로체스터에서 독일인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다. 17세에 종교적 개심을 경험했지만, 후에 이 경험이 사회적인 죄에 대한 회개는 부족했다고 느꼈다. 로체스터 대학교와 로체스터 신학대학원에서 공부했으며, 고등 비평을 접하며 성경 무오설과 대속 교리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으나, 이는 오히려 그의 믿음을 강화시켰다.

1886년 뉴욕 헬스 키친의 제2 독일 침례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하면서 도시 빈곤 문제에 직면하며 사회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6] 1892년에는 킹덤 형제단을 결성하여 사회 복음에 대한 논의와 실천을 이끌었다.[6] 1897년부터 로체스터 신학대학교에서 신약과 교회사를 가르쳤으며,[6] 1907년에는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를 출판하여 사회 복음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6] 1917년 출간된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은 자유주의 기독교 교회들을 사회 복음으로 결집시키는 데 기여했다.[6]

1918년 7월 25일 로체스터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저술은 마틴 루터 킹, 데스몬드 투투 등 여러 인물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정신을 기리는 단체들이 여전히 활동하고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월터 라우션부시는 1861년 10월 4일, 독일인 아우구스투스 라우션부시와 캐롤라인 럼프 사이에서 뉴욕주 로체스터에서 태어났다.

그는 젊은 시절 반항적인 시기를 겪었지만, 17세에 "영혼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인 종교적 개심을 경험했다. 그는 탕자와 같이 "나는 아버지께로 갔고, 도움을 구하는 기도를 시작했고, 도움을 받았다"라고 썼다. 그러나 그는 나중에 이 경험이 불완전했으며, 개인적인 죄에 대한 회개에 초점을 맞추었을 뿐 사회적인 죄에 대한 회개는 부족했다고 느꼈다.

고등학교 졸업 후, 그는 독일 귀터슬로에 있는 김나지움(예비학교와 유사)에서 공부했다. 그 후, 미국으로 돌아와 로체스터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1884년 문학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침례교회의 로체스터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하여 1886년 신학사 학위를 받았다.

로체스터 신학대학원 재학 당시, 그는 고등 비평을 접하며 성경 무오설에 대한 의문을 품게 되었다. 그는 "성경 무오설에 대한 물려받은 생각은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고 언급했다. 또한 대속 교리에 대해서도 "예수가 가르친 것이 아니며, 인간의 경험과 동떨어진 삼위일체 거래에 구원을 의존하게 하며, 인간의 감수성에 거스르는 신성한 정의의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그러나 이러한 의문은 오히려 그의 믿음을 강화시켰다.

2. 2. 사역

1886년 라우션부시는 뉴욕 헬스 키친의 제2 독일 침례교회에서 목회를 시작했다.[6] 도시 빈곤과 빈번한 어린이 장례식은 그를 사회 운동으로 이끌었다.[6] 그는 교회가 모든 집단과 개인 사이의 조직적인 불의에 맞서 싸우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6]

1892년 라우션부시는 몇몇 친구들과 킹덤 형제단을 결성했다.[6] 목사들과 지도자들은 이 조직에 참여하여 사회 복음에 대해 토론하고 실천했다.[6]

1897년 로체스터 신학대학교에서 신약을 가르치기 시작했고, 1902년부터는 교회사를 가르쳤다.[6]

1907년 여러 사회 복음 운동가들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책인 《기독교와 사회적 위기》를 출판했다.[6]

1917년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 출판은 많은 자유주의 기독교 개신교 교회를 사회 복음의 대의에 결집시켰다.[6] 이 책에서 그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인간이 되신 전능하신 분과 같이, 모든 사람과 동등하게 함께하며 사람들을 사랑과 봉사의 대상으로 여겨야 한다고 설명했다.[6]

2. 3. 죽음과 유산

월터 라우션부시는 1918년 7월 25일 로체스터에서 5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라우션부시의 저술은 마틴 루터 킹, 데스몬드 투투, 루시 랜돌프 메이슨, 라인홀드 니버, 노먼 토마스, 조지 맥거번,[4] 제임스 매클렌든, 그리고 그의 손자인 리처드 로티 등에게 영향을 미쳤다.[5] 21세기에도 라우션부시의 이름은 뉴욕의 라우션부시 메트로 미니스트리(Rauschenbusch Metro Ministries)와 시애틀의 라우션부시 정신과 행동 센터(Rauschenbusch Center for Spirit and Action)와 같은 단체를 포함하여 그의 삶과 업적에 경의를 표하는 특정 사회 정의 사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사우스다코타주 수폴스에 있는 북미 침례교 회의 기록 보관소와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미국 침례교 역사 협회는 모두 라우션부시 관련 자료를 광범위하게 소장하고 있다. 뉴욕주 그리스에 있는 오차드 커뮤니티 교회(Orchard Community Church)의 기록 보관소에는 월터의 최초 세례 기록과 그의 아내와 아버지의 회원 기록이 보관되어 있다.

1929년경에 에드먼드 라이언 부인이 로체스터에 있는 앤드루스 스트리트 침례 교회(1918년까지는 퍼스트 저먼 침례 교회)에 스테인드글라스 창문을 기증했다. 1960년대 후반에 이 건물은 비어 있었고 일부 창문이 도난당했는데, 라우션부시 창문의 일부도 포함되어 있었다. 새로운 교회가 그 건물을 구입했고 스테인드글라스 전문가가 일부 창문을 수리하고 재창조했지만, 라우션부시 창문의 상단 부분은 원본과 실질적으로 다르다. 1951년에 교회의 100주년 기념 행사를 위해 출판된 소책자에 원본 창문의 사진이 실려 있다.

3. 기독교에 대한 관점

라우션부시는 기독교의 목적이 "불과 유황" 설교가 아닌, 그리스도와 같은 삶을 통해 하나님 나라를 전파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예수의 죽음을 대속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인간 사회의 기반을 이기심에서 사랑으로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했다.[6] 그는 "기독교는 본질적으로 혁명적"이라고 썼으며, 하나님 나라는 개인을 천국으로 인도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상의 삶을 천국의 조화로 변화시키는 것이라고 가르쳤다.[6]

라우션부시는 젊은 시절, 주류 개신교 교회가 아동 노동과 강탈자 자본가들의 지배와 같은 행위를 사실상 지지하는 사회 및 정치 기득권과 대체로 연합한 것을 보았다. 많은 교회 지도자들은 이러한 문제와 자신들의 신도들 간의 연관성을 인식하지 못했고, 따라서 고통을 해결하기 위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그러나 라우션부시는 목사이자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사회적 조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통해 사랑으로 행동하는 것이 자신의 의무라고 생각했다.

3. 1. 사회적 책임

라우션부시는 1907년에 출간한 《기독교와 사회 문제》에서 종교와 사회생활을 분리하는 것은 예수를 이해하지 못한 것이라고 주장했다.[6] 그는 개인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사회적 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통해 사랑을 실천해야 한다고 믿었다.

1917년에 출간한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에서는 세례자 요한세례가 개인 구원을 위한 의례적 행위가 아니라 종교적, 사회적 운동에 헌신하는 행위였다고 주장했다.[6]

3. 2. 악의 문제와 사회적 죄

라우션부시는 악의 문제를 개인의 죄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정치적 제도인 "초개인적 실체"에서 찾았다. 그는 초개인적 악의 네 가지 주요 지점으로 군국주의, 개인주의, 자본주의, 민족주의를 지적하고, 이에 대응하는 선의 네 가지 제도적 구현으로 평화주의, 집단주의, 사회주의, 국제주의를 제시했다. 예수가 십자가에서 짊어진 여섯 가지 "사회적 죄"로 종교적 편견, 부정부패와 정치 권력의 결합, 정의의 부패, 폭도 정신과 폭도 행위, 군국주의, 계급 멸시를 언급하며, 이는 개인의 죄와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다.[6]

4.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

사회 복음 운동은 통일되거나 초점이 맞춰진 운동이 아니었으며, 운동 내부에서도 서로 다른 의견들이 존재했다. 라우션부시는 이 운동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신학이 필요하며, 마찬가지로 신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사회 복음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6]

1917년에 출간된 『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에서 그는 사회 복음에 부합하는 체계적인 신학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는 사회 복음이 기독교 발전에 한 획을 긋는 영구적인 변화라고 믿었다.[6] 개인주의적인 복음은 개인의 죄악은 명확하게 했지만, 제도화된 죄악에 대해서는 밝히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인류 사회의 영구적인 제도를 압제와 강탈의 상속된 죄에서 구원하려는 하나님의 의지와 능력에 대한 믿음을 불러일으키지 못했다."라고 썼다.[6] 이러한 그의 사상은 해방 신학자들과 마틴 루터 킹 주니어와 같은 시민권 운동가 및 지도자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4. 1. 하나님 나라

라우션부시는 하나님 나라를 사회 복음 신학의 핵심 개념으로 제시했다. 그는 예수 그리스도가 항상 말씀하신 하나님 나라의 이념과 교리가 교회에 의해 점차 대체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독교인들에게 하나님 나라의 교리로 돌아갈 것을 촉구했다. 하나님 나라를 강조하는 것은 교회의 함정에 빠지지 않고, 교회를 시험하고 바로잡을 수 있으며, 예언적이고 미래 지향적인 이념이자 혁명적이며 사회적, 정치적 힘이며, 문제적이고 죄 많은 사회 질서를 구원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보았다.[6]

5. 저서


  • Das Leben Jesu|예수의 삶de. 클리블랜드, 1895년.
  • 아이라 생키와 함께 편집한 Gospel Hymns|복음 성가영어 1 & 2 (mit Deutschen Kernliedern|독일어 찬송가de). 시카고: Bigelow and Main Co., 1904년.
  • Christianity and the Social Crisis|기독교와 사회 문제영어. 뉴욕: 맥밀란, 1907년.
  • For God and the People: Prayers of the Social Awakening|신과 사람을 위하여: 사회 각성의 기도영어. 보스턴: 순례자 출판사, 1910년.
  • Unto Me|"나에게로"영어. 보스턴: 순례자 출판사, 1912년.
  • 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사회 질서의 기독교화영어. 뉴욕: 맥밀란, 1912년.
  • "여성 운동의 몇 가지 도덕적 측면," ''성서 세계,'' 제42권 (1913년 10월 1일), 195–199쪽.
  • Dare We Be Christians|과연 우리가 기독교인이 될 수 있는가영어. 보스턴: 순례자 출판사, 1914년.
  • A Theology for the Social Gospel|사회 복음을 위한 신학영어. 뉴욕: 애빙던 출판사, 1917년.
  • The Social Principles of Jesus|예수의 사회적 원리영어. 뉴욕: 협회 출판사, 1918년.

참조

[1] 웹사이트 Wrestling with Rauschenbusch http://www.somarevie[...] 2012-11-29
[2] 웹사이트 Bio: Paul Raushenbush http://www.beliefnet[...] 2019-01-30
[3] 서적 Origins of Walter Rauschenbusch's Social Ethics McGill-Queen's Press - MQUP 1994
[4] 웹사이트 The Piquant Social Gospel of Senator George McGovern http://omgcenter.com[...] 2012-10-24
[5] 뉴스 Richard Rorty, 75; Leading U.S. Pragmatist Philosopher https://www.washingt[...] 2020-02-02
[6] 서적 Generous justice : how God's grace makes us just https://www.worldcat[...] Dutton, Penguin Group US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